[묻고답하기 이용안내]

Sintered 4000

조회 수 1924 추천 수 0 2015.06.18 20:14:53

안녕하세요.

이번에 저렴한 데크하나가 있어 질렀는데 베이스가 Sintered 4000 입니다.

Sintered 가 그냥 좋다라고 여기저기서 들었고 그냥 그렇다고 생각하다 갑자기 궁금해지네요.

검색해봐도 잘 않나와서 질문글 올려봐요...

 

Sintered가 어떤방식으로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알겠는데

뒤에 숫자 4000 이런건 뭘 의미하는 건가요?

4000번을 가공했다는걸 의미하나요?

 

감사합니다~

엮인글 :

강정님

2015.06.18 20:17:42
*.29.122.93

일반적으로 신터드와 익스트루트는 제조 공정에 따라 나뉘어지구요


신터드 뒤에 붙는 숫자는 분자구조와 관련된 수치로 보통 숫자가 높으면 활주성이 더 좋다고 보시면 될꺼에요.

미친늑대

2015.06.18 21:31:33
*.197.196.19

정성스러운 답글 감사합니다^^ 어떤의미인지 이해했습니다

GATSBY

2015.06.18 21:10:02
*.62.203.107

피텍스 사의 신터드 베이스 입니다. 왁스도 잘먹고 활주력은 100점 만점중 90점대 초반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미친늑대

2015.06.18 21:31:50
*.197.196.19

갓츠비님 감사합니다^^

스팬서

2015.06.19 01:19:11
*.214.198.172

polyethylene pellet 을 압력을 통해서 강제로 밀착하여 고결하는 방식을  sintering (소결) 이라 합니다. 


신터링(소결)을 통해 만들어진 베이스가 신터드 베이스 이고

4000은 분자량입니다.  분자량 숫자는 제곱인치당 혹은  제곱센티미터당 분자량 인지 여부는 제조처가  

규격을 정해서 분자량을 기입하는것이므로 

같은 베이스라 해도 p-tex, iso , durasurf 에 따라 모두 분자량 숫자 표시가 달라집니다. 


신터드는 소결로 만들어지므로 스키, 스노보드 베이스 제작 혹은 수리가 직업인 사람들은 분자량 표기보다 직접 

확대경으로 확인하는 밀도성(density)을 중요시 여긴다는군요.


그리고  숫자가 높다고 꼭 활주성이 좋아지는게 아닙니다. 단순히 생각하면 분자량의 숫자가 높은것에 불과한데

분자량이 높다는것은 베이스에 비정형 구멍이 많아지므로 왁스의 잔존량이 높아지니깐 

왁스가 제공하는 활주성이 오래가기에 그렇게 느껴지는것 이라 생각합니다.


가격이 비싼것도 우리는 이만큼 고운 폴리에틸렌 펠렛을 사용해서 소결 한 것이라서 비싸게 받겠다는 거죠.



GATSBY

2015.06.19 02:53:11
*.62.203.107

1. 숫자는 분자량이 아니라 표기 그레이드 입니다.
ISO사의 가장 기본적인 신터드 베이스 등급은 7200입니다.ISO SINTERED 7500이 가장 널리 통용되는 신터드 베이스 소재이며, 그 위에는 7700 그리고 7700 CC 라는 고분자에 빛투과율이 우수한 베이스 소재도 있습니다. Iso 사에서는 이 기본적인 7200, 7500, 7700 이 세가지들만 숫자가 높을수록 왁스 흡수율이 높습니다. CB 7515라는 카본 신터드 베이스도 있구요. 레이싱용 NHS 2112베이스, NHS 그라파이트 레이싱 베이스 그리고 제 브랜드에 사용하는 NHS 7816레이싱 베이스도 있습니다. ISO사에서 나오는 베이스 소재종류가 21가지가 넘습니다.

반면 피텍스 사의 베이스는 숫자가 높을수록
활주력과 등급이 높아집니다. 기억하기 쉽습니다.
종류도 7~8가지 밖에 없구요.
피텍스사의 베이스를 낮은 순서부터 열거하자면
익스트루디드 1000,
고분자 익스트루디드 1500,
신터드 2000
신터드 2000 일렉트라.
신터드 4000
신터드 4000 갈륨+인듐.
신터드 4000 일렉트라

이렇게 인데, 피텍스는 숫자가 높을수로 모공이 많아져 왁스 흡수력이 높습니다.

따라서 베이스 등급을 볼때도 피텍스사냐 Iso사냐에 따라 달리 봐야할것이죵.
ISO사에서 고분자 익스트루디드4400 베이스가 많이들 쓰이는데 이는 피텍스 사의 고분자 익스트루디드 1500과 비슷한 등급입니다.

스팬서

2015.06.19 03:46:27
*.214.198.172

그 숫자표시가 단순하게 등급번호 일거라는 추측을 하긴 하는데 

그 숫자표시가 1 제곱인치당 혹은 1 제곱센티당 고결된 분자량으로 구분 하는 회사도 있다는 

의견도 있어서 저는 양쪽 다 비중을 두고 있습니다.


제가 궁금한것중 하나가 분자량 표시는 어떤 방식으로 산출 되는것인가 입니다.


보통 스노보드 베이스 판매단위가  320 - 330mm 폭 x 길이 1m  x 두께 1.2mm - 1.6mm 규격에서

가격을 매겨서 판매를 하죠.  

예를들면 Black Sintered racing base Durasurf 4001이  폭 330mm x  두께 1.4mm x 길이 1미터당 

16달러에 판매가 되고 있는데 860만 분자량을 가지고 있다는 설명이 붙어 있습니다. 

폭 330mm x  두께 1.4mm x 길이 1미터에 860만의 폴리에틸렌과 첨가성분 분자를 가지고 있다는 건지

여부는 설명이 없지요. 


예를하나 더 들자면

요넥스 코리아가 배포하는 정보를 보면 자사의 모 스노보드 제품이 1050만 분자량을 가지고 있다는 설명이 붙습니다.

그 산출 단위는 어느정도의 폭 x 길이 x 두께 를 통해서 1050만 이라는 숫자가 나왔는지 설명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역시 설명을 볼 수가 없는데 혹시 이런것들에 대한 정보가 있으면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ㅁㄴㅇㅎㄻㄴㅇㄹ

2015.06.19 08:42:24
*.247.149.100

뒷숫자가 높다고해서 빠른게 아니라

 

어느제조회사의 어느모델이냐에 따라서 달라짐...

 

iso 의 신터드 7500 과

 

피텍스 신터드 4000 은 숫자로 보면 엄청나게 차이나 보이지만... 제조회사가 틀리다능...

 

GATSBY

2015.06.19 09:48:57
*.145.226.28

아~~~스펜서 님과 토론하기 너무 좋습니다.^^


신터드 베이스의 분자는  1gram 당 얼마 크기의 분자가 있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단위 표기 방법은 분자 크기(무게) x 10제곱 입니다.


스펜서 님이 언급하신 몇백만개의 분자량 보다는 얼마나 큰(무거운) 분자가 얼마나 조밀하게

베이스 구조를 지니느냐 생각하시면 쉬울 겁니다.

요넥스에 쓰이는 ISO NHS Graphite 베이스는  1050만 분자량의 계산 결과가  맞습니다.

카달로그에 보면 분자량으로 표기 되어있지 않고, Everage Molar weight / Gram 이라고 표기됩니다.  


애초에 신터드 베이스를 만드는 폴리 에틸렌은 UHMWPE (Ultra High Molcular Weighted Poly Ethylene)

으로 명명 하며, 익스트루디드 베이스는 그냥 PE(Poly Ethylene) 라고 명명 됩니다.


ISO 표기 기준 예를 몇가지 들겠습니다.


- 제가 사용하는 IS NHS(Nano High Speed) 7816 Race 베이스는 10.5 x 10의 6제곱

- 기존의 NHS 그라파이트 레이싱은 10.5 x 10의6제곱.

- 카본이 들어간 IS CB7515는 9.2 x 10의6제곱

- ISO 7500베이스는 9.2 x 10의6제곱

- ISO Sintered 7200은 5 x 10의 6제곱

- ISO 익스트루디드 4400 베이스는 6 x 10의5제곱

- ISO 익스트루디드 1320베이스는 3 x 10의 5제곱

입니다.


더 간단히 풀자면  분자 크기(무게) x 분자밀도 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군요.


신터드 베이스의 최고 등급은 NHS이 붙습니다. 즉.나노 하이 스피드 베이스 이며,

분자크기(무게) x 분자밀도가 계산 결과가 1000만을 넘어야 붙여지는 등급입니다.


제가 사용하는 NHS 7816베이스나 ,NHS 그라파이트 베이스나 모두 1050만

신터드 카본과 7500 베이스는 920만

신터드 7200은 500만

익스트루디드 4400베이스는 60만

익스트루디드 1320베이스는 30만 입니다.


분자가 크고 무거운 것들끼리 옹기종기 모여있을 수록, 분자들 사이에 모공이 더 커지며 왁스 흡수율이 높아집니다.

그리고 분자가   작고 가벼운 것들끼리 모여있을 수록, 분자들 사이에 모공이 더 작아서 왁스 흡수율이 낮아집니다.


내 마모성 까지 설명하자면 A4 용지 두장반은 더 필요하므로 여기서 줄이겠습니다.^^


제 블로그에 오시면 내 마모성에 대해서 더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스팬서

2015.06.19 10:55:26
*.214.198.172

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ㅎㅎ  

GATSBY

2015.06.19 11:28:46
*.145.226.28

http://www.hungryboarder.com/index.php?_filter=search&mid=Colum&search_keyword=gatsby&search_target=nick_name&document_srl=31936591


왁스 흡수율과 내마모성은 여기에 나와 있어요.


저는 제작년 세미나 했을때, 베이스 이야기만 1시간 20분을 떠들었었네용~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9] Rider 2017-03-14 96429
127674 보통 일본 직구하면 얼마가 더 추가되는건가요? [10] 네넹 2015-06-19 1179
127673 데크선택과 조합 질문이요~ [2] 찐코 2015-06-19 612
127672 가벼운 라이딩용 바인딩은 뭐가 있을까요? [7] wintermocha 2015-06-19 1870
127671 부츠 문의드리고 싶습니다 [2] 아쿠아소살 2015-06-19 641
127670 데크 스티커 제거 방법 [11] 강원도촌놈 2015-06-19 1598
127669 부츠 추천해주세요~ [11] 2123 2015-06-19 993
127668 [문의] 데크사이즈 및 입문 부츠 등 관련... [5] 우산한박스 2015-06-19 907
127667 살로몬 오피셜, 말라뮤트 붓아웃 [4] 둘녕 2015-06-18 1933
127666 헝글분들 힐턴 질문드립니다. [20] H9 2015-06-18 1373
127665 테크앞벌어짐 수리가능한가요. 사진첨부 file [21] 짜샷 2015-06-18 1130
» Sintered 4000 [11] 미친늑대 2015-06-18 1924
127663 오가사카 fc-l 바인딩 질문요~ [3] nigal 2015-06-18 965
127662 웅플 질문입니다. [10] 금사철 2015-06-18 762
127661 프리라이딩에 적합한.... [8] 한긍정 2015-06-18 1080
127660 테크 엣지앞쪽 벌어짐 [10] 보드초봅자 2015-06-18 947
127659 부츠 사이즈 [7] 강원도촌놈 2015-06-18 769
127658 캠락 캠버와 W 캠버의 차이가 뭔가요? file [6] 꾹꾹2 2015-06-18 3747
127657 스노우 보드 장비 조합 부탁드립니다 (초보) [6] 깜방이 2015-06-18 696
127656 공동구매는 언제쯤? [4] 보드사랑빠돌이 2015-06-18 832
127655 셀프왁싱킷은 어디서구매하나요.? [20] 둿발차기만3... 2015-06-18 1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