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이번에 저렴한 데크하나가 있어 질렀는데 베이스가 Sintered 4000 입니다.
Sintered 가 그냥 좋다라고 여기저기서 들었고 그냥 그렇다고 생각하다 갑자기 궁금해지네요.
검색해봐도 잘 않나와서 질문글 올려봐요...
Sintered가 어떤방식으로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알겠는데
뒤에 숫자 4000 이런건 뭘 의미하는 건가요?
4000번을 가공했다는걸 의미하나요?
감사합니다~
polyethylene pellet 을 압력을 통해서 강제로 밀착하여 고결하는 방식을 sintering (소결) 이라 합니다.
신터링(소결)을 통해 만들어진 베이스가 신터드 베이스 이고
4000은 분자량입니다. 분자량 숫자는 제곱인치당 혹은 제곱센티미터당 분자량 인지 여부는 제조처가
규격을 정해서 분자량을 기입하는것이므로
같은 베이스라 해도 p-tex, iso , durasurf 에 따라 모두 분자량 숫자 표시가 달라집니다.
신터드는 소결로 만들어지므로 스키, 스노보드 베이스 제작 혹은 수리가 직업인 사람들은 분자량 표기보다 직접
확대경으로 확인하는 밀도성(density)을 중요시 여긴다는군요.
그리고 숫자가 높다고 꼭 활주성이 좋아지는게 아닙니다. 단순히 생각하면 분자량의 숫자가 높은것에 불과한데
분자량이 높다는것은 베이스에 비정형 구멍이 많아지므로 왁스의 잔존량이 높아지니깐
왁스가 제공하는 활주성이 오래가기에 그렇게 느껴지는것 이라 생각합니다.
가격이 비싼것도 우리는 이만큼 고운 폴리에틸렌 펠렛을 사용해서 소결 한 것이라서 비싸게 받겠다는 거죠.
그 숫자표시가 단순하게 등급번호 일거라는 추측을 하긴 하는데
그 숫자표시가 1 제곱인치당 혹은 1 제곱센티당 고결된 분자량으로 구분 하는 회사도 있다는
의견도 있어서 저는 양쪽 다 비중을 두고 있습니다.
제가 궁금한것중 하나가 분자량 표시는 어떤 방식으로 산출 되는것인가 입니다.
보통 스노보드 베이스 판매단위가 320 - 330mm 폭 x 길이 1m x 두께 1.2mm - 1.6mm 규격에서
가격을 매겨서 판매를 하죠.
예를들면 Black Sintered racing base Durasurf 4001이 폭 330mm x 두께 1.4mm x 길이 1미터당
16달러에 판매가 되고 있는데 860만 분자량을 가지고 있다는 설명이 붙어 있습니다.
폭 330mm x 두께 1.4mm x 길이 1미터에 860만의 폴리에틸렌과 첨가성분 분자를 가지고 있다는 건지
여부는 설명이 없지요.
예를하나 더 들자면
요넥스 코리아가 배포하는 정보를 보면 자사의 모 스노보드 제품이 1050만 분자량을 가지고 있다는 설명이 붙습니다.
그 산출 단위는 어느정도의 폭 x 길이 x 두께 를 통해서 1050만 이라는 숫자가 나왔는지 설명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역시 설명을 볼 수가 없는데 혹시 이런것들에 대한 정보가 있으면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아~~~스펜서 님과 토론하기 너무 좋습니다.^^
신터드 베이스의 분자는 1gram 당 얼마 크기의 분자가 있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단위 표기 방법은 분자 크기(무게) x 10제곱 입니다.
스펜서 님이 언급하신 몇백만개의 분자량 보다는 얼마나 큰(무거운) 분자가 얼마나 조밀하게
베이스 구조를 지니느냐 생각하시면 쉬울 겁니다.
요넥스에 쓰이는 ISO NHS Graphite 베이스는 1050만 분자량의 계산 결과가 맞습니다.
카달로그에 보면 분자량으로 표기 되어있지 않고, Everage Molar weight / Gram 이라고 표기됩니다.
애초에 신터드 베이스를 만드는 폴리 에틸렌은 UHMWPE (Ultra High Molcular Weighted Poly Ethylene)
으로 명명 하며, 익스트루디드 베이스는 그냥 PE(Poly Ethylene) 라고 명명 됩니다.
ISO 표기 기준 예를 몇가지 들겠습니다.
- 제가 사용하는 IS NHS(Nano High Speed) 7816 Race 베이스는 10.5 x 10의 6제곱
- 기존의 NHS 그라파이트 레이싱은 10.5 x 10의6제곱.
- 카본이 들어간 IS CB7515는 9.2 x 10의6제곱
- ISO 7500베이스는 9.2 x 10의6제곱
- ISO Sintered 7200은 5 x 10의 6제곱
- ISO 익스트루디드 4400 베이스는 6 x 10의5제곱
- ISO 익스트루디드 1320베이스는 3 x 10의 5제곱
입니다.
더 간단히 풀자면 분자 크기(무게) x 분자밀도 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군요.
신터드 베이스의 최고 등급은 NHS이 붙습니다. 즉.나노 하이 스피드 베이스 이며,
분자크기(무게) x 분자밀도가 계산 결과가 1000만을 넘어야 붙여지는 등급입니다.
제가 사용하는 NHS 7816베이스나 ,NHS 그라파이트 베이스나 모두 1050만
신터드 카본과 7500 베이스는 920만
신터드 7200은 500만
익스트루디드 4400베이스는 60만
익스트루디드 1320베이스는 30만 입니다.
분자가 크고 무거운 것들끼리 옹기종기 모여있을 수록, 분자들 사이에 모공이 더 커지며 왁스 흡수율이 높아집니다.
그리고 분자가 작고 가벼운 것들끼리 모여있을 수록, 분자들 사이에 모공이 더 작아서 왁스 흡수율이 낮아집니다.
내 마모성 까지 설명하자면 A4 용지 두장반은 더 필요하므로 여기서 줄이겠습니다.^^
제 블로그에 오시면 내 마모성에 대해서 더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왁스 흡수율과 내마모성은 여기에 나와 있어요.
저는 제작년 세미나 했을때, 베이스 이야기만 1시간 20분을 떠들었었네용~
일반적으로 신터드와 익스트루트는 제조 공정에 따라 나뉘어지구요
신터드 뒤에 붙는 숫자는 분자구조와 관련된 수치로 보통 숫자가 높으면 활주성이 더 좋다고 보시면 될꺼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