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제가 알기론


JSBA : 일본


CASI : 캐나다


WSF : 한국


KSIA : 한국 (스키협회 내부의 보드종목 자격증)


생활체육지도자 ?급 : 보드 종목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자격증 종류가 이렇게 있는걸로 알고있는데


JSBA와 CASI는 언어의 장벽때문에 힘들것 같고


우리나라 언어로 시행하는 자격증이 따고싶은데


1>국가공인 자격증은 없는거죠?


2>KSIA 와 WSF 중 어느쪽이 더 인지도가 있는건지


3>WSF 쪽에 맘이 가긴 하는데 (리키님때문에요 ㅎ) 우리나라에 WSF 3,4레벨 가지고 계신분이 많이 있나요?


    프로필에 2레벨은 많이봤습니다만 3레벨은 본적이 없는것 같네요..3레벨 영어때문에 많이 안계실것 같기도


알려주세요 ㅎㅎ

엮인글 :

판때기타는강아지

2015.07.27 16:26:48
*.235.9.106

3레벨 본거 같은데요?? 잘못 본건가... 휘팍인가 용평 리프트 탈때 강상 PR 현수막에서 본거 같아여


저도 슬며시 탑승~

guycool

2015.07.27 17:05:36
*.78.218.61

아마도 노력한 만큼의  약간의 금전적 보답을 기대할 자격증은 없을 듯 합니다.

워낙 제대로된 강습을 받지 않는 문화이니까요.

달째

2015.07.30 14:50:21
*.1.114.12

씁쓸하지만 비싼 리조트 이용금액도 한몫 하겠지요

개스피드

2015.07.28 00:51:39
*.62.3.103

우리나라 자격증은 다 자기만족용이지요

소리조각

2015.07.28 09:22:59
*.90.74.125

1. 국가공인 자격증은 없습니다. 한국의 보드환경이 워낙 자생적으로 만들어진 부분이 커서... 딱히 협회 입김이 별로 통하지 않거든요. 생활체육지도사도 스키만 있고, 보드는 없을겁니다.


2. 인지도라면 WSF와 KSIA가 제일 낫습니다. 다만 KSIA의 경우 원래 스키지도자연맹에서 보드종목에 대한 자격증을 발급하는 형태이고, WSF의 경우 세계스노우보드연맹에서 한국에 자격증 라이센스(?)를 준 형태라고나 할까요? 그래서 KOSF에서 이 자격증 발급을 주관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최근에는 WSF 인지도가 많이 올라갔습니다.


차이점이라면 WSF는 시험만 보는게 아니라, 2박3일 연수를 하면서 강습스킬과 라이딩 스킬, 이론등에 대한 내용을 연수받구요. 그내용을 토대로 테스트를 합니다. 때문에 신청비용이 꽤 들어갑니다.(한 30만원?) 의외로 쉽지않아서, 합격율이 높지않은 편입니다. 제가 시험볼땐 50%가 안됐던것 같네요.


KSIA는 딱 시험만 봅니다. 그래서 응시료가 WSF보다는 저렴하구요.(한 5만원 정도였던 듯?) 대신 이런경우 심사위원의 판단기준을 한번에 캐치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죠. 최근에는 어떻게 시험을 보는지 모르겠지만, 각 리조트별로 날짜를 정해서 테스트를 진행하구요. 이것도 쉽지않다고 들었습니다.


그리고 안좋은 쪽으로 인지도가 높은 KASBI(대한스노우보드강사협회)가 있습니다. 뭐 헝글에서도 논란이 된 문제가 많고, 레벨테스트 진행상의 여러가지 문제점(숙식해결문제등)들도 보고되고있지만, 가장 큰 문제점이 협회 지도자들의 실력이나 경력이 좀 떨어진다는 겁니다... 심지어 동호회수준도 안된다는 얘기도 있습니다. 


WSF 3, 4 레벨은 저도 본적이 없네요...

소리조각

2015.07.28 09:42:55
*.90.74.125

그리고 참고로, 자격증이라는게, 예를들어 WSF Lv1 이라면 공신력있는 협회에서 이 사람은 비기너턴까지 가르칠 자격이 있다. 라고 정해주는 정도인데요. 이게 꼭 실력과 정비례하지는 않습니다. 물론 레벨러라면 어느정도 기본적인 수준은 된다고 봐야겠지만, Lv1 에도 저같은 쭈구리 오징어도 있는 반면 완전 날라다니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때문에, 정말 강습을 업으로 하시려는 분들에게 자격증은 어느정도 기본스펙정도에 불과하고, 동영상, 여러가지 대외활동, 스폰서 지원 등을 통해서 인지도를 쌓는게 중요하죠.


저같은 경우에는 강사를 하고싶다기보다는 보드를 한 7년 탔으니, 뭔가 하나 남는게 있으면 좋겠다 싶어서 도전했는데, 사실상 이 자격증이 라이더의 실력에 대한 증명이라고 보기에는 조금 어렵습니다. 그래도 여러가지 티칭 스킬이나, 라이딩스킬 등에 도움이 되는 부분이 있긴 있습니다. 

묵상

2015.07.28 11:22:42
*.218.144.98

kasbi (스노우보드강사협회) 빼고는 다 비슷할꺼 같아요.... 거기는 진짜 사이트들어가서 영상보고 한숨만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9] Rider 2017-03-14 96275
128167 1415말라부츠 250 에 칼리버 M 사이즈..클까요? [8] 꼬마늑대 2015-07-29 989
128166 고글 보너스 렌즈 질문^^ [3] ilovesnow 2015-07-29 1114
128165 데크/ 데크길이 선택 [11] 강블로 2015-07-29 1008
128164 고프로 구입하려는데 기본적으로 뭐 잇어야 하나요? [8] 꽃보다스노보드 2015-07-29 978
128163 입문용으로 상급 중고 vs 초중급 신품 [33] no name 2015-07-29 1872
128162 데크 종류와 길이 추천 부탁드립니다.ㅜㅜ [2] 지도리 2015-07-29 1037
128161 390boss바인딩 궁합 [7] 양호경 2015-07-29 1091
128160 13/14 요넥스 캐논볼 질문드려요 [5] dionisio 2015-07-28 2098
128159 데크 길이 추천 부탁드립니다. file [19] YJM 2015-07-28 1496
128158 휘팍 바로 앞에.. [5] 짐서깅 2015-07-28 1207
128157 데페 일본에서 구매해보신분?? [13] 판때기타는... 2015-07-28 1522
128156 입문헤머 고민입니다. [22] 수원초보Jun 2015-07-28 1632
128155 플라이보드에 대해 잘아시는분 계신가요? [3] 설빙보단카빙 2015-07-28 1461
128154 알파인 보드 끼워 주시나요? [24] guycool 2015-07-28 1743
128153 고수님들...데스페라도 질문!!!! [5] 도도니 2015-07-28 1488
128152 케슬러 티탄 삽입은 라이드는 없는거로 결정난거죠? [8] 무쌍직전영신류 2015-07-27 1695
128151 데크길이 질문드립니다. [5] 탱구7 2015-07-27 993
128150 RED 트레이스 헬멧 고글걸이를 분실... [1] 무보수주택... 2015-07-27 1622
128149 장비 질문겸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file [3] 탱구7 2015-07-27 962
» 우리나라에서 인지도있는 스노우보드 자격증이 뭔가요? [7] 달째 2015-07-27 5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