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12월 1일날 쌔삥 보드와 쌔삥 보드복을 입고 대명으로 시즌 첫
출격을 나갔는데 스케이트장의 빙판을 방불케 하는 슬로프에서 재수없게
엎어져 버려 그만 오른팔에 무게 중심이 다 실려 팔목 분쇄골절 부상을
당했습니다. 뼈가 5조각이 났으니 큰 부상이었죠.
핀 4개를 박는 수술과 함께 2개월 동안 왼손잡이로 살아야 했습니다. 며칠전
핀을 빼고 현재는 물리치료로 재활을 하고 있습니다. 아직 팔목이 움직이면
아프고 구부러지지 않는 에로사항이 활*-_-*짝 꽃피고 있지만 뼈가 붙었다는
거에 의의를 두고 현재는 보드장으로 출격할 날만 손꼽아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 사고를 계기로 보험이 좋다는 거와 사고는 한순간에 일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보호대를 꼭 착용해야 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면서 헐글에서
열심히 링을 하며 보호대에 대해 연구를 했습니다. 그리고 여러 샵에 들려
보호대를 착용해보고 성능을 나름대로 테스트를 해보았습니다.

제가 팔목이 부러졌던지라-_- 팔목 보호대만 열심히 연구했습니다.

우선 팔목이 부러지는 경우는 보더 들에게서 집중적으로 일어납니다.

두다리가 판때기에 묶여있고 큰 충격시 스키처럼 탈착이 되지 않아 엎어질경우
상체로 쓰러지게 됩니다. 이때 보통 사람들은 보호 본능으로 손을 땅에 짚게
되는데 바닥이 개떡같이 얼음판이면 보통 금이 많이 갑니다. 두 손으로 짚을
경우 무게가 나누어지게 되어 잘 다치지 않은데 마찬가지로 얼음일 경우 두손
모두 금이-_-갈수 있습니다.

더 재수 없는건 얼음판 위에서 토우로 내려가다 역엣지에 걸려 퉁~ 튕길때
살아보겠다고 몸을 비틀며 한손으로 낙법할 경우 저처럼 완전 아작이 나버립
니다. 이 경우는 보드용 손목 보호대를 착용을 해도 100% 골절입니다.
머 아주 억세게 운좋으면 금만 가겠죠-.-;

근데.. 만약 인라인용 보호대면 멀쩡했을거란 생각을 합니다.

그렇습니다. 보드용 손목 보호대 시중에 나와 있는거 상당히 허접합니다.

여러개를 착용해 보고 그때 상황을 생각하며 그림을 그려 보는데 보드용 보호대로는
큰사고에 어쩔수 없을거 같다는 결론을 냈습니다. 이유로는 손목밑에 손바닥
부위에 쿠션이 없다는 것입니다. 전부 구부러진 판때기에 옷만 입혀 놓았더라구요.
그리고 팔목을 감싸는 찍찍이(-_-;) 그걸 엄청 쎄게 조여야 팔목 부상시 뼈가
많이 엇나가는걸 방지할 수 있습니다. 전 그렇게 생각을 합니다. 단지 보드용
보호대는 뼈가 많이 엇나가는것만 방지할 수 있게 만든거 같습니다. 그것도
엄청세게 묶었을 경우 입니다.

인라인 손목 보호대 경우 딱딱한 땅위에서 타는 것이기 때문인지 손바닥 부위를
플라스틱으로 감사고 그안을 아주 두툼한 쿠션으로 해놓았습니다. 팔목 부위는
보드용과 대부분 같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팔목이 부러지는 근본적인
손바닥으로의 충격을 최소한으로 줄여야 합니다.

그런데 왜 인라인용 손목 보호대 같은 것이 나오지 않느냐.. 그건 바로 기능성
때문입니다. 인라인용 손목 보호대를 착용후 장갑을 착용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보드용 보호대가 작고 얇게 나온 것이고요. 그런데 요즘 장갑들 무지
크게 나오는거 아주 많이 있습니다. 이마트 및 여러 샵에 가서 본 결과 인라인용
손목 보호대를 하면서도 착용할 수 있는 큰 장갑을 몇개 찾았습니다. -_-v

많은 분들이 인라인용 손목보호대로 손목을 보호 하길 바라며.. 이상으로

제 멋대로 주장을 마치겠습니당..

모두들 안전보딩!!^O^



tip 1. 무릎보호대는 배구선수용 무릎보호대가 가격대 성능비로 최고!!
이유로는 무릎을 꽉조여 무릎접지르는것을 방지및 아주 두툼한 두께때문.
단점으로는 한시즘 쓰고 나면 좀 납작해져서 다음시즌에 다시 사야함.

tip 2. 엉덩이용 보호대 중 차는 방식의 경우 꼬리뼈는 보호롤 못해줌.
입는 방식이 최고!! 수건 하나 넣어주면 그 보호 효과 만빵!!

tip 3. 척추및 등뒤 갈비뼈 보호를 위해(뒤에서 덥치는 사람들) 옷을 넣은 가방을
차고 보딩을 하면 좋음!! 뒤로 엎어질때도 보호!!

이상입니다~~

엮인글 :

이준형

2003.01.28 19:33:17
*.111.8.141

저두 허접한 몽블랑 손목 보호대 땜시 전치 6주 판정을 받구있죠..

아직 2주 남았습니당. 흑..

전 넘어지지두 안구 스위치하다가 손집었다구 우두둑 소리나며 골절 되더군여, 젠장.

WayToGo

2003.01.28 19:53:19
*.207.137.227

아이스하키 엉덩이 보호대를 한번 보실 것을 권해 드립니다. ㅡㅡ;

간지의제왕

2003.01.28 21:39:34
*.236.115.20

굳이 보호대 우선순위를 뽑자면 헬멧다음으로 손목보호대가 아닌가하네요.. 근데 가방메고 타는건 비추입니다.. -_- 자세가 영..~

choco-funky

2003.01.28 22:38:55
*.205.235.123

안그래도 왼쪽손목이 마니 아픈데...
앞으로 좀만 더 넘어지면 동강 분질러 질거 같은.....으으 무섭당...;;;;
손목보호대 사야 겠네여... 몸 조리 잘하시길...( ⌒ - ⌒ )

웨이브눈사람

2003.01.28 23:01:42
*.220.155.41

인라인용 손목보호대 정말 강추입니다. 장갑끼고 벗는데 시간이 좀 걸리지만 1분투자해서
한달고생할거 막을수 있습니다. 장갑 이너를 빼면 그나마 쉽게 들어가지만 손가락이 약간 시렵습니다.^^ 인라인용 손목보호대 사용해 보시면 그 진가를 아실겁니다. 손목 100% 보호 ^^

후훗~

2003.01.29 00:40:10
*.74.138.75

제가 보기에 보급용(?) 손목보호대는 나손(nasson)꺼가 가장 훌륭하더군요. 나손꺼는 헝글,몽블랑,업다운,윙 등과 달리 보호판이 님말씀처럼 쿠션으로 쌓여져있습니다. 이왕 구하실꺼면 나손꺼로 구하시길~ 얇은 인란용이라 생각하시면 될듯

1

2003.01.29 16:05:47
*.234.75.120

넥스프리 x-ark 비추...
안에 폴리카보네이튼지 심이 휘어있지도 않고 일자인데다...책받침마냥 구부러집니다.
돈 아깝다...

주접보더

2003.01.30 13:47:58
*.50.252.80

저도 인라인 보호대를 쓰고 있습니다. 사용방법은 장갑을끼고 인라인 보호대를 차는거죠. 장갑을 빼고 끼는것이 불편해서 한쪽 손은 착용을 안합니다. 하지만 손목보호는 와따입니다~~ ^^

nadahoony

2003.01.30 22:36:25
*.186.107.163

농담이 아니라 진짜 질문입니다. 발목을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은 없을까요?

이번에 엣지가 걸려서 몸이 앞으로 꼬꾸라지면서 동시에 운동에너지를 가진 보드가

회전을 하면서 발목이 비틀어지는 느낌이 오더군요. 심하게 아팠던건 아니지만

전례없이 고속으로 가다가 자빠진거라.... 더 가속을 하면 발목부상의 가능성은

더 높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안그래도 이것땜에 다음날 급경사에서 우측으

로 턴할 포인트를 놓쳐서 슬립이 걸리면서 미끄러져서 겨우 중심을 잡긴했는데

삐긋했던 발목이 꽈악 접히면서 상당한 고통이 느껴지더군요.

일반적으로 탈때는 지장이 없긴했지만 발목이 꽉 접힐 상황...(주로 미끄러질때)이

오면 아파서 그냥 그날은 접었습니다. 아예 시즌까지 접을까봐....

팔목이나 엉덩이는 저도 많이 경험해봤지만.

발목은 없는 부상경험인데 딱히 좋은 보호장구가 있다는 생각이 안드네요.

뭐 좋은 의견 계신분 없나요.

청담동휘슬

2003.02.01 03:02:51
*.227.167.35

저와 비슷하게 다친분이 계시군요.. 저도 오른손목에 분쇄골절 .. .하지만 전6주 나왔습니다.. 세조각나서리.. 이궁..살떨리네염.. 좀만 더 다쳤음.. 저도 핀박을뻔햇군요...
완쾌 축하드리구염.. 전 도저히 이넘의 장애자생활을 참을수 없어.. 팔았던 장비를 하나하나씩 다 구입하고 있으며 기브스한 손을 커버하는 장갑구하는즉시 출격할려구염..
죽어도 보드장에서 죽어버려야쥐..ㅎㅎ
군데 전 이제 4주되가는데 손움직여도 안아프던데... 기브스 풀렀음 좋겠단 생각인데
타다가..다시 다쳐 저도 수술하는거 아닌지 겁 좁나네염... ㅎㅎ
다들 안전보딩..손못쓰면 진짜힘들어여.. 모든게 ㅠ.ㅠ
나쁜 몽불랑 보호대~~

때욱

2003.02.02 09:53:53
*.51.173.38

청담동호루랴기님 지금 저는 핀 뽑고 재활을 하고 있는데.. 손목이 전혀 움직이지를
않고 있습니다 ㅡ,.ㅡ 쿨럭..~ 손가락은 그럭저럭 괜찮은데 손목이 움직이지 않아서
생활하는데 상당한 에로사항이 꽃피고 있죠. 2개월은 매일 나와서 팔목 운동해야
한다고 하는데 꼭 물리치료 열심히 하세요. 아니면 그대로 굳어버려서 안움직일수
있데요.

때욱

2003.02.02 09:57:50
*.51.173.38

'나다후니' 님 발목이 삐긋해지는 경험 아마 모두가 경험을 했을거라 생각이 듭니다.
발목 뿐만 아니라 그 상황에서는 무릎도 엇나갈수 있죠.또한 보드에서는 많지는
않지만 발목 접지름으로 인해 인대손상 부상을 당한 분들도 있습니다. 직접 보기도
했고요. 제 짧은 생각으로는 발목의 경우 압박분대로 꽉조이고 부츠를 타이트하게 하면
되지 않을까 합니다. 부츠의 경우 상단 부분을 꽉 조여줘여 다리와 발이 따로 놀지 않게
되겠죠. 음. 좀 허접한 답변 같습니다 =..= 죄송.

청담동휘슬

2003.02.04 07:01:02
*.227.167.35

때욱님 구런 무션 말씀을... 이제부터.. 자동차 빽미러보듯이 전후좌우를 모두 살피고
살살 슬러프를 살며시 쓰다듬어주고 다닐랍니다... 그래두 안됨 호루라기를 입에 물고 부딪힐때.. 휘리릭~~~ 불어줄라구여...슬러프에서 호루라기 부는넘 보면 전줄아세염~~~^^ ;;

때욱

2003.02.05 21:10:38
*.51.54.236

하하하^^ 넘 우껴요 휘슬님

가구보더

2003.02.05 22:01:00
*.187.94.22

지두 장갑위에 인라인끼고 쓰고 있습니다..찍직이 부분만 옮겨서 부착하시면 사용하기
수월합니다,.

팔모가지

2003.02.09 10:17:37
*.154.185.117

움 발목도 잘목하문 크게 다칩니다. 제 여자칭구 점푸하고 착지하는 과정에서 몸이랑 보드가 반대로 돌아서 전치 3주전도 나왔습니다.. 그 상황이면 발목 보호대가 있다고 한들 제대로 보호 될거 같진 않군여.. 글구 넘어질때 손바닥으로 땅 집지 말고 주먹지고 넘어지면 손목이 덜 꺽이더군요.. 허접스런 방법으로 들리시겠지만 의외로 효과 좋습니다.. ^^;;

!*코리or)03

2003.02.10 14:37:28
*.207.67.50

다카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8310
432 일반 방귀가 보드바지의 방수력에 미치는 영향에 ... [35] 오빠달려 2003-01-29 18 4102
431 기술(테크닉) 카빙턴을 위한 엣지 전환.(일본캠프) [23] Mars 2003-01-29 47 8511
430 기술(테크닉) 카빙턴을 위한 기본자세와 연습(일본캠프) [37] Mars 2003-01-29 38 10635
» 의학,부상,사고 손목 보호대 과연 무엇이 좋을까. [17] 때욱 2003-01-28 9 5674
428 일반 '군바리'의 표현을 알고 싶다.. [16] 염장보더 2003-01-28 17 4080
427 의학,부상,사고 허리 아프신 분들을 위한 운동 [6] PHANToM 2003-01-27 40 2318
426 일반 보드장에서 사용할만한 휴대용 디카들... [26] 무식이 2003-01-26 10 2969
425 장비 구입 초보를 위한 장비구입요령 [5] RC-M 2003-01-26 18 3960
424 장비 관련 보드복과 부츠(snow stopper) [37] 염장보더 2003-01-24 21 3653
423 헝그리 캠페인 터레인파크에서...실력보다 중요한점들.. [10] 오종선[jayson] 2003-01-24 37 2686
422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가 초보를 가르친다!(최종편) [11] BEAT 2003-01-23 22 3931
421 일반 전혀 요점이 없는 글 [23] 허접대왕 2003-01-23 17 2322
420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가 초보를 가르친다!(4편) [10] BEAT 2003-01-22 39 3113
419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가 초보를 가르친다!(3편) [13] BEAT 2003-01-21 27 3712
418 장비 구입 ●━ 과연 장터의 싯가란 무엇일까 ━▶ ??? [29] 델피노 2003-01-21 11 4096
417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가 초보를 가르친다!(2편) [5] BEAT 2003-01-21 28 4248
416 해외원정 나가노의 뽀드장들. 이와타케편 [14] Mars 2003-01-20 22 2929
415 일반 자동차 시동불능 대체요령 [5] hero 2003-01-20 18 5937
414 초보를 위한 강좌 쌩초보에게 하고싶은 충고 - 부츠 제대로 신기 [22] tragic 2003-01-20 8 5687
413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가 초보를 가르친다!(자유게시판에서 옮김) [8] BEAT 2003-01-20 16 39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