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친한 형님 권유로 배드민턴 시작 햇습니다.ㅠ

인터넷 폭풍 검색으로 라켓은 요넥스 나노레이700FX 모델 구매 햇습니다!!

라켓 구매하고 어제 처음으로 쳐봣는데ㅠㅠ

클리어 칠때 셔틀콕이 멀리 안나가는 느낌이 있엇습니다.ㅠ

라켓 사기 전에 형님들 라켓으로 칠때는 그정도 까진 아닌듯 합니다.ㅠ

언뜻 느끼기에는 스트링 텐션에 좀 쎄다는 느낌이 있긴 한데ㅠㅠ

배드민턴 샵에서 해준대로 쓰는거라.ㅠㅠ

팔에 근력이 없으면 그럴수있다는데...;;;;;

평소에 야구를 좀 해서 팔에 근력이 없다고 생각 되진 않습니다...;;

그냥 남자 평균정도는 된다고 생각합니다!!

 

스트링 하고 초보자들 적정 텐션 추천해주세요.ㅠㅠ

엮인글 :

Brembo

2015.08.11 10:24:47
*.170.174.48

700FX 라켓이 좀 무난한 라켓이긴 해서, 초보에게 많이 추천을 하지요.

샾에서 그냥 검색하고 구매하셨으면 무리한 텐션으로 작업 해 주진 않았을 겁니다.

(얼마로 작업했는지는 샾에 물어보시는게 빠릅니다. 샾마다 특별한 오더 없을 때 작업해 주는 텐션이 정해져 있거든요)

그리고, 형님들이 쓰시는(같은 라켓이라면?) 라켓의 스트링종류와 작업한 텐션, 스트링작업 방법에 따라서도 다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배드민턴에서 클리어를 앤드라인에서 앤드라인으로 보내는 것은, 근력보다는 스냅과 무릎에서부터 올라오는 회전력을 손목에서 얼마나 잘 전달 해 주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클럽 가보시면...

쌀 한포대도 못드실 것 같은 아주머니들이 앤드라인까지 잘~ 보내는데... 그게 힘으로 하는건 아니죠.

오히려 힘이 들어가면 어깨만 아프고 엘보오고 난리도 아닙니다.

배드민턴을 칠 때에는... 그 뭐랄까... 공을 던질때, 회초리로 때릴 때, 검도에서 타격순간(응?)의 느낌으로 마지막 순간에 라켓을 채어 주셔야 합니다.

말하자면 최대 회전력이 들어가서 라켓에 셔틀이 맞는 그 순간을 제외하고는 라켓이 손에서 빠질듯 할 정도로 힘이 빠져 있어야 합니다.

지금당장 장비를 어떻게 해 볼 생각은 하지 마시고...

천~천히 자세부터 다져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도라에몽v

2015.08.11 11:18:51
*.215.251.250

음...아직은 배드민턴에 재미를 붙이는 단계입니다.

보드처럼 재미가 확 오진 않더라구요~

재미좀 붙이고 실력향상에 욕심이 생기면 레슨 받을 생각입니다!!

수원초보Jun

2015.08.11 11:15:16
*.241.151.50

라켓으로 스트로크를 강하게 주는것은 한계가 있지요.


가장 기초가 되는부분부터 먼저 잡는게 순서라 봅니다.

고민하시는 부분의 답은 손목 스냅의 사용 이게 정답일겁니다.

도라에몽v

2015.08.11 11:20:07
*.215.251.250

야구공좀 던져봐서 손목 스냅은 있을꺼라 생각햇는데..ㅠ_ㅠ

하나씩 배워야겟네요.ㅠㅠ

마테플

2015.08.11 13:00:07
*.233.56.33

야구공 던지는 스넵하고는 좀 차이가 있습니다... 오히려 펀치를 칠때 타격점에서 주먹을 꽉 쥐는 느낌으로 라켓이 어깨선을 넘어올때까지는 천천히 힘을빼고 넘어오다가 타점 가까이에서 순간적인 폭발력으로 치는거죠....


마테플

2015.08.11 13:05:50
*.233.56.33

아마 처음 배드민턴 접하셨다면 기존에 보던 마트표 라켓의 스트링텐션보다는 훨씬 높다는걸 느끼실겁니다. 

아마 샵에서 해줬다면 25파운드 언저리가 아닐까 합니다. 저는 공격형으로 28파운드까지 높여서 씁니다. 

라켓은 나노스피드900 쓰는데 아주 닥공입니다... 

손손

2015.08.12 17:01:43
*.223.34.43

윗분 말씀 처럼 배우실 생각 있으시면 레슨은 받으시는게 좋아요. 자세, 스텝 등 중요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기타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1] Rider 2017-03-14 57729
33995 통조림 음식 칼로리....국물 포함인가요? [3] 2015-08-13 2212
33994 무슨의미인가요? [16] 궁금궁금 2015-08-13 1252
33993 19금) 손만 잡고 자는 남자 뭐죠? [50] 친구의친구 2015-08-13 14573
33992 뛰면 허리가 아파요 [5] 꾀병아님 2015-08-13 5045
33991 제주도 2박3일 일정등 질문이요... [8] 보드짱~! 2015-08-12 1196
33990 남한산성 닭백숙 잘하는 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5] 겨울나그네 2015-08-12 1512
33989 자게 이용안내 3-b [3] 플라톤 2015-08-12 712
33988 블루투스 이어폰 추천좀 해주세요.. [5] 오빵 2015-08-12 952
33987 30중후반 남자 남방, 청바지브랜드 추천이요 [14] 라멘 2015-08-12 3386
33986 청약 eage 2015-08-12 712
33985 옛날일본애니 제목아시는분 [4] hds... 2015-08-11 1113
33984 차량내도난사건 [10] ❄하이원럽❄ 2015-08-11 1545
33983 부모님 모시고 갈만한곳 경기 서부 .. [6] 이바토해 2015-08-11 1533
33982 자전거 타니 오히려 무릎이 아파요.. [14] 환자 2015-08-11 5378
33981 TV가 지혼자 꺼졌다 켜집니다. ㅠㅠ secret [11] CarreraGT 2015-08-11 771
33980 주택 구입 시 발생되는 세금 [2] 부동산 2015-08-11 914
33979 아이폰 6 과 6S 의 하드웨어 차이가 크려나요..? [11] 밥주걱 2015-08-11 1319
33978 여성심리 문의좀 드립니다.냉정하게 [28] 난계속그래 2015-08-11 1495
33977 HP 데스크탑 400-551KR 성능에 비해 가격이 넘 저렴한데 어떤가요? [3] 헬프미 2015-08-11 894
» 배드민턴 오래치신분이나 배드민턴 관련 직종에 계신분.ㅠㅠ [7] 도라에몽v 2015-08-11 1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