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이라니 좀 우습지만 이번 시즌에 얼떨결에 익히게 된 턴을 여러분께

한번 소개해 드릴려구요.

엉망인 자세와 사선 질주로 인한 엄청난 슬립. 한마디로 최악의 라이딩을

하던 제가 맘 단단히 먹고 이번 시즌은 제대로 된 라이딩을 해 보고자 그동안

보드장 갈때마다 카빙 연습을 했는데요, 주로 칼럼의 동영상과 그래프들을

보고 이미지 트레이닝, 실제 슬로프에서는 한가지 과제씩 완성하기 등으로

시즌 내낸 연습을 했습니다.

현재 어설프지만 제가 낼수 있는 최고속도의 70% 선에서  반대방향으로

같은 모양의  두 반원 모양을 그릴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속도를 넘기게

되면 콘트롤이 어려워져 슬립이 일어납니다. 슬롭 상태가 좋은 날 사람

없을때 반원 모양을 체크한 결과 두 개의 반 원호 길이에서 5% 정도의

적은 슬립만 나오더군요.

슬립 폭은 2-3센치 내외 나머지 구간은 거의 선에 가까운 모양이

나왔습니다.  아아 ...그 감격은...

그런데...이 턴을 연습하다가 우연히 이와 비슷한 다른 턴을 익히게

되었는데요. 아마도 카빙의 일종인거 같은데 머라고 해야 할지 잘

몰라서...

이 턴은 최고속의 50% 정도로 속도를 줄이고 업다운보다 중심이동에

더 치중을 해서 연습을 하다가 이루어 졌습니다. 기본적으로 슬롭에

그려지는 모양은 같은데 반원의 크기가 매우 작습니다. 70 퍼센트의

속도에서 이루어지는 턴은 보드가 어느정도 말리기는 하지만 그 반발

력을 제가 다운힘으로 억제를 하면서 가기 때문에 큰 반원을 그리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보드가 직선의 레일위를 지나가고 있는 느낌을

받습니다.

힐사이드의 경우 다운이 충분히 이루어지기는 하나 뒤로 넘어갈 포인트

까지는 어느 정도 여유가 있음이 느껴지구요, 하지만 50퍼센트에서

이루어지는 턴은 보드가 완전한 곡면 레일위를 달린다는 느낌이 강하구요

,힐사이드의 경우 이정도면 뒤로 넘어지겠구나 하는 각도까지 몸이 뒤로

눕게 되고 그 순간  체중이 실린 원심력의 영향을 받아 원래는 뒤로

넘어져야 할 각도에서 넘어지지 않고 작은 원을 그리면서 턴을 마무리

합니다 다운의 정점에서는 속도가 별로 줄지 않습니다. 제가 보기엔

말린 보드의 캠버 반대방향의 반발력과 체중이 실린 원심력이 거의 1:1

이 되어서 넘어질 각도에서 넘어지지 않고 턴이 이루어지는 거 같아요.

 머리가 원의 중심이된 아주 작은원을 그리게 되는거죠. 실제로 그

크기의 원은 아니지만 정말 작은 원을 그리며 에지를 박고 갈수

있습니다.  

다들 아시는건데 제가 사족을 다는거 같기도 하지만...최고속 70퍼센트의

턴에서보다 이 50퍼센트의 턴이 슬립이 훨씬 적습니다. 거의 no slip이라

부를 수 있을 만큼 적더군요. 넘어질듯 하면서 작게 휙 돌아가는거죠.

   전체적으로 볼때 몸기울어지는  각도가 더 심하기 때문에 에지각이

더 높게 되고  훨씬 눈에 깊이 박힙니다. 저속에서도 확실히 박을수

있는거죠. 원심력을 통해 체중이 실리게 되니까요.
엮인글 :

r

2003.02.24 12:23:27
*.76.24.236

모르겠어요..보여주세엽!

파삥수[Yo]ⓞⓝⓔ

2003.02.24 13:32:32
*.98.47.95

-_- 턴의 한 종류 입니다.턴은 크~게 엥귤레이션과 인클레이션이라고 하는 2가지로 나뉘는데요.. 지금 님께서 설명하신 턴은 인클레이션이라는 턴입니다. 상체가 데크위를 벗어나서 몸이 원심력의 중심이 되고 데크가 원을 그리가 되는 턴이죠 ^_^ 그리고 엥귤레이션이라는 턴은... 상체가 데크위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일반적으로 하는 턴이죠.뭐가 좋다 나쁘다는 판단 못하지만 '일!반!적!으!로!' 인클레이션은 좋지 않습니다 ^_^

[風]민..™

2003.02.24 16:14:02
*.30.136.98

아무래도 상체가 데크의 중심을 벗어나게 되면....불안해지겠져...^^

그렇지만 이런 턴도 나름대로 재미는 있는데...머 속도를 즐기는 사람에겐 비추...말리는 느낌을 느끼고 싶은신 분에겐 추천...ㅋㅋ

빠른 속도에서도 밀리지 않는 턴을 계속 연습하세요..그럼 정말 잼난걸 아시게 됩니다....그럼 안전보딩...하시고요...

누가 머래도 자기자신의 즐거움을 찾아서...^^

즐겨즐겨~~~~

sierra

2003.02.24 16:39:36
*.49.150.115

그렇군요. 파삥수님. 귀중한 정보에 감사.

HANS

2003.02.24 20:03:07
*.235.82.25

익스트림카빙 아닌가요? 알파인에서는 유럽권 프로들이 앵귤레이션보다 인클리네이션으로 슬롭에 옆으로 누워버리고 보드를 몸쪽으로 감아 올리듯 익스트림 카빙하는거 자주 보았는데. 저도 한번 해보고 싶네요. 당시 설질은 어떠하셨는지요? 프리로도 가능하다니 꼭 한번 보고 싶습니다.

저도 토턴할때는 거의 슬로프에 엎드린다는 기분이 들때가 있는데 에지 박히는게 장난 아니지요. 힐턴시에 어떤 시점부터 몸을 눕혀야하고 어떤 마음가짐 또는 어떤 느낌으로 해야 하나요?

HANS

2003.02.24 23:19:02
*.99.25.247

음... 글을 한 100번은 읽어보니 저도 비슷한 현상인거 같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요즘 들어 저도 쏘기보다 인클리네이션에 중점을 두고 있는데 보드 화악 감기는 느낌이 비슷한거 같아요. 턴완성하고 몸이 바로 섰을때 잠시동안 속도감없이 여유로운 상태가 생기는데 턴할때는 쏠때보다 더 감기는 느낌이 들면서 바이킹 타면서 하강할때 기분의 딱 10배의 쾌감이... 정말 보드 타러 가구 싶어 환장할 지경이네요. ㅠ.ㅠ

kooring

2003.02.24 23:57:02
*.50.242.70

보드 타러 가고 싶다..

-.-

2003.02.25 10:27:59
*.186.63.251

라이딩 장면을 보질못했기때문에 자세히 쓰긴 곤란하네요 ^^ 일단 50%속도로 라이딩할때와 70%속도로 라이딩할때 엣지 전환 타이밍을 보세요. 50속도에서 엣지전환 타이밍이 전보다 좀 빠르다는것을 느낄수있을거 같은데요. 엣지전환하고 날이 박히는 시점의 차이입니다. 50%의 그타이밍이 에어투카브의 기본입니다. 50%속력으로 꾸준히 연습하셔서 70%속력에서도 그타이밍에 엣지가 박힐수있도록 연습해보세요. 빠른속력에서 확감기는 에어투 카브의 쾌감을 느껴보세요 ^^

ㅡ,.ㅡ

2003.03.03 13:24:26
*.73.71.18

70%의 힘으로 돌았다.. j턴을 연습하시다 발견하신거 같네욤...
그건 체중이동만으로 턴의 크기를 줄이고 늘리는 테크닉 중의 하나가 아닌가 싶은데요..
일례로 .. 직활강을 한다가 순식간에 체중이동을 시켜주면서 무릎을 밀고 상체를 펴면서 팔을 뻗으면 ..
님이 말씀하신 원보다 더 작은 원이 그려집니다.
뷔텔리의 원리 이기도 합니다.

WayToGo

2003.03.21 09:33:47
*.49.122.91

그림을 봐야 이해할 것 같다는 ㅡㅡ;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8322
472 일반 비시즌을 영양가있게 지내보아요. [17] 허접대왕 2003-03-03 8 2740
471 절약법 DC 스투라투스 와이어 절약법 입니다 [5] 러브2유 2003-03-01 31 2689
470 장비 관련 바인딩의 나사고정법 [11] 김영준 2003-02-28 12 4788
469 장비 관련 추운날 손끝시림 방지.. [13] 염장보더 2003-02-24 57 5865
468 일반 도요타 빅에어. 결과와 감상. [14] Mars 2003-02-24 7 3108
» 기술(테크닉) 카빙을 연습하다가 얼떨결에 익히게 된 턴입... [10] sierra 2003-02-24 21 6387
466 장비 관련 혼자하는 왁싱 AtoZ...^^ → 왁싱후 라이... [7] Witheboard 2003-02-23 36 4893
465 일반 버튼 스노우보드는 종류가 왜 렇게 많냐? [2] 박세준 2003-02-23 23 4025
464 일반 뭐라구요?!슈프림이 싫증 나셨다구요?후훗(... [31] RC-M 2003-02-22 11 3258
463 의학,부상,사고 무릎연골 않좋다는 이야기를 들으신 분들께.... [17] 장상민 2003-02-19 18 4715
462 일반 캠코더 촬영법 [15] 박승기 2003-02-18 13 3444
461 장비 관련 보호대 저렴하게 400% 업그레이드 비법 공개!!! [36] Snowcat 2003-02-18 43 4591
460 절약법 헝그리보더 직장인과 백수님, 학생의 돈모으... [48] HHH 2003-02-17 19 4120
459 해외원정 나가노의 뽀드장들. 노자와온천. [7] Mars 2003-02-17 16 3130
458 해외원정 SBJ (SNOWBOARD JAPAN 03~04)를 다녀와서. [2] 바바 2003-02-16 39 2241
457 의학,부상,사고 스노보드 후유증 (허리=척추) [21] Budweiser 2003-02-16 17 5058
456 절약법 중고생을 위한 절약법... [8] 이준형 2003-02-16 34 2243
455 초보를 위한 강좌 제가 초보였을때의 잘못된 편견... [6] 이준형 2003-02-16 15 4090
454 장비 관련 왜 버즈런을 선택해야 하는가. [18] 이준형 2003-02-16 15 3979
453 헝그리 캠페인 "난 헝그리보더다"를 떳떳히 외치고 싶습니다. [16] 꽃을든[Yo]O... 2003-02-15 24 27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