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에 장비를 사면서 하드한가 하드하지 않은가에 대해서 많은 비중이 있는것같아 부츠도 데크도 많은생각을 했습니다.
근데 데크도 이해가 되고 부츠도 이해가 되는데 바인딩은 무조건 잘잡아주는게 좋은 바인딩 아닌가요...?
그리고 바인딩의 좋고 나쁨의 기준이 뭔지 알고싶습니다.
무조건 잘 잡아주는게 좋은거..맞다고 생각하구요. 여기서 잘 잡아준다는건 앵클스트랩과 토스트랩이 부츠에 잘 맞아들어가면서 편하면서도 잘 잡아주는거겠죠.. 또 바인딩사이즈선택으로 양옆에 유격이 잘 안남는것도 잘 잡아주는 개념이구요.
즉 잘 잡아준다는 개념은 발등을 잘 잡아준다. 로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그럼 바인딩에서 플렉스(하드함) 이란 무엇이냐..
그거슨! 하이백의 플렉스라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하이백이 잘 휘어지면 소프트한거고 아니면 하드한거겠죠.
하이백을 손으로 잡고 양옆으로 막 비틀었을때 잘 휘어지면 소프트한건데,
힘전달에 손실이 있지만 트릭할때 좋을수가 있어요.
트릭시전에는 예비동작이 필요한데, 하이백이 너무 단단하면 예비동작만으로도 힘전달이되어 데크가 휙 돌아버릴수 있기에 트릭할 타이밍 잡는 난이도가 높아지게 되는거죠. 타이밍에 여유가 없어진달까..
그래서 라이딩위주일수록 하드한걸쓰고 트릭위주일수록 소프트한걸 쓰는게 일반론입니다. 물론 취향차가 더 크지만 사실
이거는 개인적 취향이라고 말슴드리고 싶습니다
무족건 잘잡아준다고는 의미가 어떻게 잘잡아주냐인데 각 바인딩회사를 쓰시면 잡아주는 느낌이 다릅니다
편안하게 잡아주는바인딩이 있으며 너무 힘으로만 꽉잡아주는 바인딩이 잇고 잡은듯 안잡은듯 하는 바인딩이 있습니다
이건 스트랩구조나 그 바인딩회사들이 추구하는거라서 각자 개인입맛에 맞춰서 사용을 하셔야해요
또한 바인딩에 좋코 나쁨은 위에 써드린데로 자기성향에 잘맞는 바인딩이냐에 따라서 좋코 나쁨이 판단되겠죠?
장비에 있어서 좋코 나쁨은 없습니다 자기에게 맞냐 안맞냐가 중요한거죠 ^^
사람마다 취향인거 같네요....전 플럭스쪽이 잘맞는거 같으면 어떤분은 유니온 취향이시죠......
그리고 바인딩에 하드함은 하이백에...있고..
하이백이 하드하면 반응성이라하던가요-0- 데크에 전달되는 반응이 빠르다하죠..소프트하이백은 그만큼..반응이 좀 늦긴하나..머..
전문적으론 설명을 못드리고^^; 암튼그런거같아요.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