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영상같은거보다보면 용어가 이해가안가는부분들이 있어서 그러는데
외경 스티어링 앵귤레이션?? 이3가지가 궁금합니다 ㅠㅠ
엮인글 :

견공

2015.09.26 21:51:56
*.34.226.221

외경이랑 앵귤레이션은 비슷한 개념입니다. 회전시 상체를 원심력이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여 주는 건데..흔히 힐턴시 고관절을 접는다라고 하는 동작이 그 예죠. 스티어링은 상체 로테이션 입니다. 

The One 0.5

2015.09.26 23:14:51
*.123.95.165

김현식의 스노우보드 노하우 중급편 좀 보시죠

견공

2015.09.27 08:01:41
*.34.226.221

보면요?

엄마찾아원에리

2015.09.26 21:59:04
*.62.202.13

추천
1
비추천
0
턴 을 반원운동이라 보시면
구심점(가운데)으로 향하는걸 내경
바깥쪽으로 향하는걸 외경 으로 보심 될듯합니다.

바깥쪽으로 나가지 않기 위해 안쪽으로 기울이는것을
내경이라 생각하면
안쪽으로 쓰러지지않기위해 바깥쪽으로 상체를 이동시켜
무게중심을 맞추는 걸 외경이라 생각하시면 ^^

자동차 운전시 코너에서 운전자의 상체가
자연스레 코너 안쪽으로 이동하는걸 생각하시면
될듯합니다.



스티어링은 턴의 진행방향으로 시선을 먼저 주고
상체 및 골반.무릎등을 돌려주는걸 생각하심 될거같아요.
데크가 가고자하는 방향으로 부드럽게 방향전환이 이루어질수있도록 .
쉽게 말하자면 자동차 핸들링이 될수도 있겠네요.


앵귤레이션은 각도 .
데크와 진행방향의 설면이 이루는 각.
쉬운말로는 엣지를 세운다. 고 생각하심 괜찮을거같아요.

써놓고보니 설명력이 좀 부족하네요 ㅠ

틀리거나 부족한 점이 있다면
다른분들이 보충해주실듯 !

엄마찾아원에리

2015.09.26 22:05:29
*.62.202.13

써놓고 생각해보니

데크의 각도를 앵글,
데크의 각도를 더 주기위한
기울기 및 다운 및 고관절접음/외경 등 여러요소가 포함된걸
앵귤레이션이라 하는게 맞는듯합니다.

견공

2015.09.26 22:40:48
*.34.226.221

말씀하시는 데크의 각이라 함은 인클리네이션에 가까운 개념인 듯 한데요??

재활은보드

2015.09.26 23:42:09
*.221.128.70

인클 기울기 앵귤 각을만들기위한 자세등 설명 해주신게 맞는것같아요

재활은보드

2015.09.26 22:39:20
*.221.128.70

잘설명된칼럼있었어요


사실 용어자첸단순해요 우선 인클 과 앵귤을 구분해서 

자전거탈때 기울이편 턴되듯이 몸자체의 기울임을 인클니네이션

데크의 엣지각을 세워주기위해서 관절등을 사용해 각을 만들어주는 앵귤레이션


외경은 린 개념인데요 린위드 린아웃 린인 요걸따로찾아보셔요 

영어의미랑연결하면 이해가잘대죠


앵귤은 이런 린동작을 포함한 용어가되는거죠


스티어링은 로테이션요

H9

2015.09.27 05:40:45
*.114.79.11

추천
2
비추천
0

저도 초보라 열심히 공부했는데, 제가 아는바로는


외경은 턴의 바깥으로 무게를 주는걸 뜻하는것으로 알고있고,


앵귤레이션은 무릎 및 발목을 구부려서 엣지를 확실히 세우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몸이 전체적으로 L자 형상을 띈다고 알고있구요.

인클리네이션은 말그대로 원심력에 대항하는 몸의 기울기를 나타낸다고 알고있습니다. 물론 인클만으로도 엣지가 선다고 알고있습니다.

발목-무릎-어께가 일직선으로 그냥 기울어진다면 그건 앵귤레이션이 안들어간 인클리네이션이라 배웠습니다.

상체가 기울어져있어도, 그 이상으로 무릎과 발목을 좀 더 꺾어서 엣지의 각도를 좀 더 세우면 그건 앵귤+인클이라 배웠구요.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인클은 몸자체를 기울여서주는 기울기, 앵귤은 관절을 꺾어 만드는 기울기라고 생각하고있습니다


스티어링은 무릎의 회전(?)이라 배웠습니다. 로테이션은 상체를 돌려 발생시키는 회전력있데, 스티어링은 상체회전이 아닌 허리와 무릎을 나사돌리듯 돌려서주는 회전력이라 배웠습니다.


초보라 정확하지 않을 수 있지만 최대한 적어봤습니다 ㅠㅠ. 잘타고 싶어서 맨날 공부해요 ㅠㅠ

The One 0.5

2015.09.27 08:37:54
*.123.95.165

제일 잘 설명된것 같네요

호9

2015.09.27 06:46:17
*.33.181.1

피봇팅 / 중심축 기준으로 회전 (수도꼭지) 스티어링 / 배 키의 조정, 자동차, 자전거등 방향을 정해주어 회전운동(운동)을 이끌어 내는 동작. 로테이션 / 회전운동의 조합 (피봇팅+스티어링), 천체의 운동 등, 시선,머리,어깨,허리,무릎 등등의 회전의 조합. 우리말보다 명사가 발달되어 있는 영어의 특성상 회전에도 종류가 좀 많습니다^^; 앵귤레이션과 인클리네이션 / 외경과 내경 / 원심력과 구심력.... 제 개인적으로 이해하는 방향은 원심력을 몸에 힘 빡~ 주고 버티면 인클리네이션, 내경의 증가~ 몸에 힘빼고 원심력을 몸으로 받아주면 앵귤레이션, 외경의 증가~ 이렇게 느끼고 있습니다^^;

용어난리

2015.09.27 13:20:44
*.126.11.252

제대로된 스노보드교본하나 없는 우리나라현실을 반영하는 답변들같네요. 외경이란 보드 수직선상에서 무게중심이 밖에 있는상태를 칭하는 말이고 앵귤은 턴시 무게중심과 보드와 중력을 수직선상에 위치하게하려는 행위를 말합니다. 첫번째분이ㅜ제일 비슷하게 알고계시네요. 자동차코노링이나 오토바이경우 코너링시 오토바이는 기우러져 있지만 사람몸은 수직이 되어있는거와 마찬가지 입니다. 결론은 앵귤레리셤이라는 행위를 하면 외경 상태가 되는것 입니다. 스티어링은 로테이션을 말하는 다른말입니다. 그것이 상체가 되든 하체가 되든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9] Rider 2017-03-14 96233
131126 하이원 11월 슬로프 오픈.. [11] 한수. 2015-09-27 1292
131125 용평 레인보우파라다이스와 대적할만한 하이원 슬로프는 뭐가있나요? [7] 코끼리보드 2015-09-27 1056
131124 일본식 카빙자세의 하이백 포워드린? [6] Ansi 2015-09-27 2808
131123 011데크와 라이스데크 비교요 [4] 그트요정 2015-09-27 2626
131122 BUNCH? 번치..? 커스텀인가요? [1] 조조맹덕 2015-09-27 636
131121 트러스트 15/16에 제 바인딩, 부츠가 맞을까요? [6] 어붕 2015-09-27 691
131120 눈올때 자차이용 하이원 가보신분 ~ ? [24] 유블리 2015-09-27 1486
131119 살로몬 리저브 데크 관련 질문요~ [4] 나무판자 2015-09-26 670
131118 여자바인딩 플럭스 DM or GS [3] MericiAngela 2015-09-26 974
131117 보호대 질문이요~~~(파워텍터?) [10] 비디엠 2015-09-26 1168
131116 무주 삼거리 안쪽 원룸이나 시즌방?? [4] 아크엔젤 2015-09-26 1009
131115 살로몬 reserve데크에 대해서요 궁금한것 나무판자 2015-09-26 328
131114 플럭스 바인딩 질문 [2] 알초니 2015-09-26 689
131113 오클리 캐노피 직구 하려하는데요 [9] chacha0530 2015-09-26 1341
» 라이딩용어 몇가지궁금해요 [12] 에덴석이 2015-09-26 1163
131111 15/16 이온 신어보신분 있나요 [5] WinterisComing 2015-09-26 787
131110 내일 웅플 문 열까요?! [2] 뭉띵또로윙 2015-09-26 373
131109 학동 잘 모르는 초보가 혼자가면 어때요? [21] 일레기 2015-09-26 1245
131108 살로몬은? [6] 쭈루네 2015-09-26 708
131107 오비오 싸이트가 안보여용... [2] tong_gamza 2015-09-26 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