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도 초보라 열심히 공부했는데, 제가 아는바로는
외경은 턴의 바깥으로 무게를 주는걸 뜻하는것으로 알고있고,
앵귤레이션은 무릎 및 발목을 구부려서 엣지를 확실히 세우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몸이 전체적으로 L자 형상을 띈다고 알고있구요.
인클리네이션은 말그대로 원심력에 대항하는 몸의 기울기를 나타낸다고 알고있습니다. 물론 인클만으로도 엣지가 선다고 알고있습니다.
발목-무릎-어께가 일직선으로 그냥 기울어진다면 그건 앵귤레이션이 안들어간 인클리네이션이라 배웠습니다.
상체가 기울어져있어도, 그 이상으로 무릎과 발목을 좀 더 꺾어서 엣지의 각도를 좀 더 세우면 그건 앵귤+인클이라 배웠구요.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인클은 몸자체를 기울여서주는 기울기, 앵귤은 관절을 꺾어 만드는 기울기라고 생각하고있습니다
스티어링은 무릎의 회전(?)이라 배웠습니다. 로테이션은 상체를 돌려 발생시키는 회전력있데, 스티어링은 상체회전이 아닌 허리와 무릎을 나사돌리듯 돌려서주는 회전력이라 배웠습니다.
초보라 정확하지 않을 수 있지만 최대한 적어봤습니다 ㅠㅠ. 잘타고 싶어서 맨날 공부해요 ㅠㅠ
외경이랑 앵귤레이션은 비슷한 개념입니다. 회전시 상체를 원심력이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여 주는 건데..흔히 힐턴시 고관절을 접는다라고 하는 동작이 그 예죠. 스티어링은 상체 로테이션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