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입문자 : 그린 슬로프에서 비기너 턴과 기초동작을 할 수 있다.  
2. 초보자 : 그린 슬로프에서 입문자 턴(Novice Turn)에 업다운을 할 수 있다.
3. 중  급 : 에징과 피보팅기술의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프레셔 컨트롤을 할 수 있다.
            - 블루 슬로프에서 중급과정과 슬라이딩 턴을 할 수 있다.
            - 그린 슬로프에서 카빙 턴을 할 수 있다.
4. 고급 : 블루 슬로프에서 측면 이동, 인클러네이션과 앵글레이션을 이용하여 고급 카빙턴과 함께
         연속적으로 강한 에지와 프레셔 기술을 완벽하게 한다.
         블루 슬로프에서 모글을 공략할 수 있다.
5. 전문 : 블루/블랙 슬로프에서 카빙턴의 타이밍과 리듬을 향상시킨다.
          모글을 통하여 제한된 코스에서 균형과 일관성을 향상시킨다.

슬로프는 크게 다음 네가지로 구분한다.
Green        - 초급자 - 쉬움
Blue         - 중급자 - 보통
Black        - 상급자 - 어려움
Double Black - 전문가 - 아주 어려움

-----------------------------------------------------------------------------------------

사견으로 외국과 비교해볼때 우리나라 보드장의 슬로프 지시가 약간 하향되어있다고 봅니다.

일반적으로 상급자 이상(black)의 슬로프는 정설(피클질)이 불가능한 정도의 경사도를 갖고있습니다.

예를들어 지산보드장에는 진정한 상급자를 위한 슬로프는 없다고 봐야죠.

상급자 코스라 불리는 5번 슬롭의 경우 구간별로 경사가 심한 곳이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블루정도에 해당되는 중급코스라 생각합니다.

Green 정도되는 슬로프에서 라이딩과 트릭에 전념하시는 보더들이 많습니다.

상급 수준의 보더라면 적어도 중급 상급 코스에서 안정된 카빙턴은 기본이라고 생각합니다.

혹시 이부분을 간과하고 남들의 눈만 의식한채 초보자 슬로프에서 안주하고 있는건 아닌지

뒤돌아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상 허접 칼럼 뽀복이였슴돠....
엮인글 :

dedicated

2003.12.13 02:03:27
*.202.86.56

안주라니요...프리스딸에도무슨등급을매깁니까그려..피곤하게^^;

천상보더[진건]

2003.12.13 12:29:43
*.255.190.43

나이스 초보등급니당~ 므흣

[風]파삥수[Yo]ⓞⓝⓔ

2003.12.13 13:30:38
*.229.198.6

ㅡㅡㅋ 전 원래 개인적으로 중급자...중상급자가 아닌 중급자..로 생각하고 잇지요 ^_^ 허접해서 ㅎㅎ

JIN

2003.12.13 20:38:08
*.207.67.180

상급자에서는 엣지주기도 힘든데 어떻게 카빙을 하는걸까요...휴우~

woops..

2003.12.13 22:42:24
*.40.141.214

외국과 비교하면 슬롭의 폭에서 나타나는 차이점두 있지 않을까요?? 외국을 안가봐서리..
단순 동영상을 보면 눈에 익어서 그런지 몰라도 울나라 실력있는 아마추어보더들의
턴모습이 젤 깜끌하고 이쁘던데...

보드홀릭

2003.12.14 10:25:24
*.206.230.19

난 입문자 ㅜ.ㅜ

dklove

2003.12.14 10:47:21
*.104.93.60

근데 실력을 높이는것이 그렇게 중요한가요 ㅡㅡㅋ 초보슬로프에서 트릭하면서 재밋다면 그냥 타면 되는것 아닌가요 ㅡㅡa

레몽레인

2003.12.14 14:15:38
*.102.224.207

전 언제나 보드 잘 탈려나...저정도면 아직도 멀었다.

정덕진

2003.12.14 15:28:04
*.114.179.35

재미있게 타는 것보다 더 중요한것은 '안전'이기 때문이지 않을까요?

Rider

2003.12.14 17:58:59
*.49.119.115

CASI에서 규정하는 라이딩 단계별 목표 <== 제목에 나와있네요.

스텝인보더

2003.12.14 19:01:54
*.182.17.91

자칭 중급자네요.. ^^
저도 상급코스에서의 안정적인 카빙이 목표지요...
그린 슬롭의 그라운드 트릭보단 사람이 적은 블루 슬롭이 좋아요~

CABCA

2003.12.14 22:10:46
*.70.48.159

실제로 블랙이나, 더블블랙은 경사도가 심하기 때문에, 그렇게 규정이 지어졌다고 볼 수 있지만, 경사도는 낮지만 폭이 무척이나 좁아서 블랙이나, 더블블랙이 될 수도 있습니다.

NBB

2003.12.15 14:18:43
*.124.73.182

경사도도 중요하지만 슬롭 컨디션도 중요하죠... 불규칙한 모글투성이거나, 아이스 천지라면 어디 카빙이 되겠습니까? ^^

omaru

2003.12.15 17:23:18
*.232.41.33

지산5번슬롭정도면 모글만 그리심하지 않고 사람만 없다면 카빙 문제없죠..~
지산 슬롭이 아무리봐도 보더들에게 괜찮은것 같아요..~
그래서 보더들도 많지만...~

자바

2003.12.16 04:40:38
*.48.20.219

고급 정도 되려면 지산 모굴코스에서 라이딩이 가능해야 한다고 합디다
99년 CASI2 습득자께서 단 그분은 알파인 이라는 야그가 제 스승 입니다

악동이

2003.12.19 16:12:52
*.145.1.171

모굴에서 라이딩은어떻게하는거에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8308
692 헝그리 캠페인 배우고자 하는 의지를 가지자 [19] Zeppa 2003-12-26 5 2351
691 기술(테크닉) 정자세를 고집하는 보더들에게 딴지를 걸어... [94] 용안 2003-12-23 20 6116
690 일반 프리같은 알파인을 아시나요? <짧은 동영... [14] 우지 + 感じ 2003-12-22 7 4177
689 의학,부상,사고 "피스테의 룰" 국제스키연맹 1990년(슬로프... [21] 리얼보더 2003-12-18 9 3313
688 일반 잘못 알고 있는 보드상식들 1 [41] 최현우 2003-12-16 25 7509
687 기술(테크닉) 작업하기엔!! 알파인이 쵝오~~ ㅡ.,ㅡ [35] 우지 + 感じ 2003-12-16 15 5740
686 장비 관련 부츠가 발에서 논다...이것을 사용하십시요.. [8] 김진태 2003-12-16 18 4909
685 장비 튜닝 집에서 혼자 하는 왁싱~ [11] Major.Kim 2003-12-16 12 6224
684 장비 관련 장갑 건조 간단히..... [24] 보더BK 2003-12-15 9 5009
» CASI CASI에서 규정하는 라이딩 단계별 목표 [16] 뽀복이 2003-12-13 54 6104
682 기타 데크 스티커 작업을 위한 그래픽 툴 입문 - 1 [7] Derek 2003-12-12 12 4869
681 기타 티셔츠로 닌자 두건 만들기~~~~~~~~~ [33] 와썹 2003-12-12 16 5996
680 헝그리 캠페인 리조트 안전수칙 총정리판! [26] Sunny 2003-12-12 35 2621
679 기타 코디]보드복을 평상복으로 입자 (헝글 공구 ... [24] 징징이 2003-12-11 13 5953
678 기타 子劫(자겁) 남자를 위협한다? 세컨드스토오리~ [23] 감동 ㅜ.ㅜ 2003-12-11 12 3461
677 기타 子劫(자겁) 남자를 위협한다? [27] 감동 ㅜ.ㅜ 2003-12-11 23 3971
676 절약법 휘닉스파크 아끼고 아껴서 가기(리프트,버스비) [10] 하늘바라기 2003-12-10 34 4653
675 장비 관련 * 스키, 보드 캐리어의 올바른 선택과 사용... [6] 뚱딴지 2003-12-10 12 3392
674 절약법 버즈런 버스운행 [8] 민동출 2003-12-10 3 2386
673 초보를 위한 강좌 생전 처음 보드타러 보드장 가기^^ [6] ★ㅕㄹ사탕 2003-12-09 4 4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