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촌에서의 미군사건의 글을 읽고 제가 알고 있는 한도내에서 리플을 달았었는데, 많은 보더분들이
5:5의 규정을 얘기하시더군요. 도무지 어디서 온 5:5의 룰인지.. 작년 저의 사고(뒤에서 다른 보더분이 충돌)시 100% 전액 보상 받았습니다. 물론 1년이 지난 지금 흉터는 남았지만 ㅡㅡ

참고하시길... 특히 3번룰과 4번룰 꼭 참고하세요^^

피스테의 룰 2(1990년 F.I.S국제스키연맹 발표)  

1 타인(다른 스키어 )을 존중  
스키어는 남을 위험하게 하거나, 남에게 손해주지 않도록 행동해야한다.

- 스키어는 자신의 행동뿐만 아니라 자기 장비의 결함에도 책임이 있다. 이것은 또한 신개발 된 장비를 사용하는 스키어에 있어서도 말 할 수 있다.

2 속도와 스키의 조작(SPEED AND SKI CONTROL)
스키어는 속도를 조절하면서 스키를 타야 한다. 스키어는 자기 능력, 지형조건, 기후,그리고 혼잡도를 따라 자신의 실력에 맞는 속도 와 테크닉으로 잘조화시키며 스키를 탄다.

- 충돌은 보통, 스키어가 속도를 지나치게 내거나, 제어능력을 상실하거나 타인을 배려하지 않는 스킹으로 사고가 난다. 또한 스키어는 자신이 컨트롤 할수 있는 범위내에서 정지,턴등을 구사한다. 사고 발생이 높은 급사면 구석,코스의 아랫부분(스키어 모인는곳 ),스키 리프트 주위에서 속도를 조절하여 스키를 타야 한다.

3 코스의 선택(어디로 어떻게 내려갈것인가 )
스키어는 스키를 타면서 앞서가는 스키어와 충돌하지 않도록 슬로프를 넓게 이용한다.

- 뒤에 출발한 스키어는 전방 스키어을 추월하거나 바짝부터 스킹을 하는 행위를 금지하여야 한다. 스키는 누구라도 원하는 방향으로 스키를 탈 수 있다.단지 수준에 맞는 슬로프를 선택하여 어떤 상황이라도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한 것이다. 충돌시 교통사고처럼 뒤에서 진행하던 스키어가 앞선 스키어를 충돌시 이로 인한 사고의 책임을 져야 한다. 슬로프사면이 넓기 때문에 각기 다른 방향으로 서로를 배려하면서 스키를 타야한다는 것이다.

4 추 월  
뒤에서 스키를 타는 스키어는 앞에 스키어를 관찰할 때 앞 스키어의 이동방향을 예측하고 방향을 조절하므로서 앞 스키어의 진행방향을 보장해주어야 한다.

- 추월시 충돌하였을 경우 누구에게 과실을 따질것인가 그건 추월을 하고 있는 스키어의 과실책임이 있다. 추월하는 스키어는 충돌을 회피할 수 있는 방법으로 추월을 해야 한다. 슬로프에 정지하여 있는 스키어에 대해서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해야 한다. 물론 책임도 추월하는 이에 책임이 있다.

5 코스의 진입과 슬로프 중간에서의 재 출발  
슬로프 진입과 슬로프 중간 가장자리에서 휴식을 취하다 재 출발할때는 타 스키어의 진로를 살피고 충돌을 피할 수 있는 요령으로 진입 및 재출발을 한다. 전,후 사방으로 확인하는 습관을 길러야 되겠다.

- 아주 천천히 슬로프에서 출발하였다 하더라도 위에서 내려오는 스키어가 초보일경우 방향및 속도조절을 못할 경우도 있을 것이다. 이런경우는 불가피하게 사고가 날수 도 있으니 말이다. 사고가 난 경우는 위에서 내려오는 스키어의 대한 제 3의 룰이 적용된다.

6 피스테(슬로프)에서 정지  
슬로프의 경사각도가 심하거나 폭이 좁은 슬로프에서 전도 되어 피치 못할 경우(사고로 인한 )외 슬로프에서 앉아있거나 하는 행위를 또 다른 사고를 불러 오므로 즉시 가장자리로 이동한다.

- 뒤에서 스킹하는 스키어의 사각지대이거나 경사각도가 큰 경우는 속도제어를 하지 못해 충돌하거나 피스테외 지역으로 추락하는 대형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각별히 주위해야 한다.

7 슬로프를 걸어서 올라갈 경우  
예를 들어 도로 교통법 관련하여 비교해보자 차가 역주행한다면 달려 오는차량과 정면충돌하는 것은 당연하지 않는가 달려오는 차량보다 피해가라는 것은 완전한 넌센스일 것이다. 마찬가지이다. 슬로프를 역으로 올라갈 경우에는 반드시 슬로프 가장자리를 이용하여 이동한다.

- 피치 못할 상황이 아닌경우는 슬로프를 역으로 올라가는 경우는 없어야 겠다.

8 각종 표지판에 경고,금지,안내표지를 준수해야 한다.
스키어는 스키장에 부착되어 있는 각종 신호나 표식을 준수해야 된다.

- 슬로프의 경사도에 다른 수준표시나 폐쇄 슬로프 표시, 방향, 위험여부를 각종 안내 표지를 부착하여 알리는데 이를 무시하고 스키어의 독단으로 행하여 발생하는 사고가 다발하고 있다. 슬로프의 표식은 스키어의 자신을 위해서 존재하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하겠다.

9 사고가 발생되거나 이를 목격하면 부상자를 구호해야 한다.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목격한 모든 스키어들은 부상자를 구호하여야할 의무가 있다.

- 물론 강제적인 의무는 아니다. 단지 스키를 하는 스키어로서 스포츠맨쉽에 입각한 가장 기본적인 인간애가 아닌가 생각한다. 부상자를 발견한게 되면 패트롤이나 기타 타인에게 알려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현장 보전을 하고 환자를 구호하는게 제일 우선이다.

10 목격자 신원확보  
  사고가 발생이 되면 책임유무를 떠나서 현장을 확인한 스키어들의 대한 신원확보가 필요하다.

- 사고의 진위를 가리기 위한 가장 중요한것은 제 3자의 목격이 현행 법상 가장 중요한 역활을 하고 있다. 사고의 정확한 원인규명을 위해서는 목격자의 정확한 진술이 요한다

칼럼이라고 하기 영 하지만 도움이 꼭 되시리라 믿고 ^^
엮인글 :

Mr.HoonL

2003.12.18 16:36:51
*.95.196.230

헛..이런 좋은 정보가..감사합니다.

파삥수

2003.12.18 17:26:43
*.98.3.9

아주 좋은 내용입니다 ^_^; 비록 칼럼은 아니지만....

넋울

2003.12.18 17:38:10
*.252.151.26

1990년 이후로 개정되지 않았나요??? 궁금해서... 요즘은 차가 뒤에서 받아도 100% 과실은 거의 없어요... 대개가 8:2, 7:3 정도로 과실율을 주더군요...

파삥수

2003.12.18 18:14:08
*.98.3.9

아..그런가요? 그런 내용도 올려주세요

Mr.HoonL

2003.12.18 18:20:58
*.240.188.51

넋울님 그 개정된 법률이나 그런거 원문 어디서 볼수 있나요?

두기보더

2003.12.18 22:30:16
*.248.69.105

차가 뒤에서 받았을 경우도 상황에 따라 많이 틀리더군요.
저는 앞으로 끼어드는(쓰다보니 상관 없는 내용이네 ^^;) 차량과 부딧힌 결과
깜빡이 여부도 참조하더군요 넣었을때 7:3 않넣을때 8:2까지 버스에게 8:2로 받았다는 ^^

.

2003.12.18 23:20:19
*.194.121.227

차가 뒤에서 받아도 100% 과실이 거의 없다뇨... 앞차가 위반한게 없으면 뒷차가 100% 과실입니다.
깜빡이 안켜고, 브레이크 등 안 들어오고, 급정거 하고, 등등이 앞차의 과실이죠...

마찬가지로 잘 내려가고 있는 앞쪽 보더를 뒤에서 받으면 받은사람이 책임져야 하는 겁니다.
실력보다 높은 슬로프를 이용한다거나, 중앙에 앉아 있거나 보드 풀고 걸어가거나, 역주행 하는 등이 앞사람의 과실이겠죠.

그런게 아니고 일반적인 사고는 가해자의 과실로 봐야 합니다.

레몽레인

2003.12.18 23:42:52
*.102.224.207

감사합니다.

OneShot

2003.12.19 00:49:23
*.201.18.208

앞에 가는 사람이 초보라 턴반경이 심하게 불규칙하거나 속도가 들쭉날쭉해서 뒤에 가던 사람이 예측을

못하고 박은 경우는 어떻게 되나요??

에르메네질도

2003.12.19 01:20:45
*.107.110.232

요즘은 뒷차가 박아가 100% 과실은 없다니...어디서 이런소릴들으셨는지;;;; ㅎㅎㅎ 신호대기하고 있다가 차선도 정확하게 지키고..그런와중 뒤에서 들이박아도 앞차에 잘못이 있나여? ㅋㅋㅋㅋ 잘못된정보는 혼란을 야기합니다..누가 이글읽고 갔다가 이런사고로 앞차에 7:3,8:2하자 그러면 완전..미친X취급당할겁니다..ㅋㅋ

에르메네질도

2003.12.19 01:22:44
*.107.110.232

이유있는 급정거라면 뒷차가 박았을시 완전 100% 뒷차잘못입니다..물론 차선이 정확하게 들어와있다면 말이져..ㅋㅋ

넋울

2003.12.19 09:07:54
*.252.151.46

앗! 하루 사이에 이런 논란이 오갈줄이야... 우선 정확히 알지 못하고 답글 올린 점 죄송하구요... 제가 듣기로는 (이역시도 정확하지는 않아서 그렇지만... 어쨌던 실제 사례니까요...) 깜박이를 키고 차선 진입후 30미터인가??? 정확치는 않지만 제 느낌으로 꽤 긴 거리를 주행하기 전에 앞차의 급정거로 뒷차와의 접촉이 발생했을 때는 상호 과실이 인정된다고 하더군요... 보험회사 다니는 친구한테 들은 얘기입니다. 그러면서 꼭 자차보험도 들으라는 충고를 하더군요...

넋울

2003.12.19 09:08:56
*.252.151.46

이런 사례가 보드장 사고하고 어떤 식으로 관계가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김진태

2003.12.19 09:31:03
*.178.135.222

어ㅉ쩃든 서로서로 조심해야하는건 중요한것입니다.

리얼보더

2003.12.19 14:15:49
*.153.72.138

넋울님 제가 알기론 1960년대 첨 생기고 1990년에 한번 개정된걸로 알고 있습니다. 답변이 되셨는지요

1

2003.12.20 00:49:06
*.216.48.140

읽어보니깐 너무도 상식적인 내용이지만 우리나라 보드장의 아수라장을 떠올리면 이런 상식이 얼마나 의미가 있다고 해야할지.. 정말 씁씁하네요.

Daniel

2003.12.20 01:57:59
*.124.83.204

좋은 정보입니다.

LEEGUN

2003.12.20 13:10:00
*.237.165.72

음.....
프린트 프린트!!

MIK [믹]

2003.12.22 19:16:06
*.74.208.195

제 홈피에 옮깁니다.

보드차니

2003.12.23 11:40:49
*.70.95.203

저도 클럽에 하나 퍼가야겠네요 ^^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레츠

2003.12.24 01:20:47
*.106.185.145

정상주행중 급정거의 경우 스키드마크나 목격자로 입증하시 힘든 경우가 많습니다.
거의 뒷차의 과실이 100%라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위에 증거를 100% 입증하실수 있을경우에 한해 8:2 7:3 이 나옵니다.
(뒷차과실이 8,7입니다. 안전거리 미확보..^^
안전거리 확보하여 사고적어지라는 취지..)
하지만 입증 현실적으로 힘듭니다.
차도 보드도 마찬가지로 보험드시고 앞차맟 앞보드 조심하시고
앞에서 불안하게 만들때는 첫째도 둘째도 전방 및 측방 주시하면서 감속입니다.
* 보험은 사랑입니다. 가족과나와남^^*
* 보험관계회사직원 올림
* 속보인다 생각하시고 욕하셔도 좋습니다. *_*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8308
692 헝그리 캠페인 배우고자 하는 의지를 가지자 [19] Zeppa 2003-12-26 5 2351
691 기술(테크닉) 정자세를 고집하는 보더들에게 딴지를 걸어... [94] 용안 2003-12-23 20 6116
690 일반 프리같은 알파인을 아시나요? <짧은 동영... [14] 우지 + 感じ 2003-12-22 7 4177
» 의학,부상,사고 "피스테의 룰" 국제스키연맹 1990년(슬로프... [21] 리얼보더 2003-12-18 9 3313
688 일반 잘못 알고 있는 보드상식들 1 [41] 최현우 2003-12-16 25 7509
687 기술(테크닉) 작업하기엔!! 알파인이 쵝오~~ ㅡ.,ㅡ [35] 우지 + 感じ 2003-12-16 15 5740
686 장비 관련 부츠가 발에서 논다...이것을 사용하십시요.. [8] 김진태 2003-12-16 18 4909
685 장비 튜닝 집에서 혼자 하는 왁싱~ [11] Major.Kim 2003-12-16 12 6224
684 장비 관련 장갑 건조 간단히..... [24] 보더BK 2003-12-15 9 5009
683 CASI CASI에서 규정하는 라이딩 단계별 목표 [16] 뽀복이 2003-12-13 54 6104
682 기타 데크 스티커 작업을 위한 그래픽 툴 입문 - 1 [7] Derek 2003-12-12 12 4869
681 기타 티셔츠로 닌자 두건 만들기~~~~~~~~~ [33] 와썹 2003-12-12 16 5996
680 헝그리 캠페인 리조트 안전수칙 총정리판! [26] Sunny 2003-12-12 35 2621
679 기타 코디]보드복을 평상복으로 입자 (헝글 공구 ... [24] 징징이 2003-12-11 13 5953
678 기타 子劫(자겁) 남자를 위협한다? 세컨드스토오리~ [23] 감동 ㅜ.ㅜ 2003-12-11 12 3461
677 기타 子劫(자겁) 남자를 위협한다? [27] 감동 ㅜ.ㅜ 2003-12-11 23 3971
676 절약법 휘닉스파크 아끼고 아껴서 가기(리프트,버스비) [10] 하늘바라기 2003-12-10 34 4653
675 장비 관련 * 스키, 보드 캐리어의 올바른 선택과 사용... [6] 뚱딴지 2003-12-10 12 3392
674 절약법 버즈런 버스운행 [8] 민동출 2003-12-10 3 2386
673 초보를 위한 강좌 생전 처음 보드타러 보드장 가기^^ [6] ★ㅕㄹ사탕 2003-12-09 4 4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