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
비철 영업부 차장 개츠비 입니다.
지금 아래글들을 보니 화재가
일본 최상급 내수용 바인딩 x 데크 결합용 나사 부품은 티타늄 나사를 사용.
(60계열 티타늄 합금 단조봉을 쾌삭하여 만든 제품이겠죠. 선바/자동차에 사용되는데 순티타늄 보다 훨강함)
수출품에는 STS 재질로 된 나사를 사용
그렇다면, 티탄용이 더 나사로서 좋은 것이고 플럭스사에서
인터네셔널 시장을 무시하는 것인가????????
기계적 성질로 보겠습니다.
1. STS304 재질 (N/mm2)
- 인장강도 = 930 이상
- 항복강도 = 670이상
- 연신율(늘어나는 정도) = 3% 이상 (연신율이 높을수록 빠가가 잘 납니다.)
2. 60계열 티타늄 합금 나사(N/mm2)
- 인장강도 = 895이상
- 항복강도 = 825이상
- 연신율 = 10% 이상
정확한 수치는 아니지만 티타늄 합금이 스텐 나사보다 40% 정도 가볍습니다.
즉, 데크 결합용 바인딩의 나사 가격이 한개에 몇십원 차이나나고 몇그람이 가벼운지는
정확히는 몰라도,
수출용에 사용되는 스텐레스 바인딩 나사가 라이딩시 충격을 자주받는 우리나라
설질 조건에 훨씬 좋은 겁니다.
게다가, 데크들의 인서트 홀은 모두 스텐레스로 만들어 진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인장강도가 비슷한 재질끼리 맞물려야지 인서트홀과 나사간에 기계적 마찰마모가 덜해,
내구성에 문제가 적어지는 것입니다.
제 생각에는 일본은 설질이 파우더가 대부분인 습설이며, 일본인들은 외국인들보다 상대적으로
몸무게도 적게나가므로, 일본 자체 유져들이 티타늄 합금 나사를 사용해도 큰 무리가 없어서
국뽕 살짝 섞어서 티타늄 합금 나사를 자체적으로 사용한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상입니다.
제가 플럭스 빠는 아니지만,
이 정도로 궁금점과 오해가 해결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즐거운 주말 보내시기 바랍니다.^^
티타늄 사용에 문제가 없어서 단순 국뽕 살짝 섞어서 티타늄을 사용한 것이었다면.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카탈로그에서 동일하게 베이스 플레이트의 특징 부분을 티타늄 스크류라고 굳이 쓸 필요가 있었는가.
싶습니다.
"50% 더 가볍고 강하다" 라는 문구를 포함해서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