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도 파이프 쬐끔 타다가 일때문에 보드장 못가서 포기한 사람인데요
순전히 제 생각인데 초급 슬롭에서 카빙만 되면 들어가도 된다라고들 말하는데
그건 파이프 입문자에게 너무 큰 고통을 주는것 같아요.
제 생각에는 하프파이프 경사도와 비슷하거나 더 급한 경사의 슬로프에서 카빙이 되는 수준은 되어야
그나마 역엣지 안먹고 벽에서 엣지체인지 하면서 내려올 수 있습니다.
파이프에선 속도감이라는게 있어서요 초급슬로프에서 카빙하다 온 보더에겐 빠른속도감때문에 당황해서
빈번하게 자빠링 당할수도 있거든요.
이정도가 되면 그때 파이프 강습을 받으면서 차근 차근 올라가면 되리라 생각합니다.
파이프에서 역에지 먹으면서 헤딩하면 처절하게 아픕니다. 성우 파이프는 얼음을 깍은겁니다.
하프파이프에서 카빙 기술을 쓰는건 아닙니다....
기본적으로 턴이 가능하시고 데크 제어가 가능한 정도라면 도전하셔도 됩니다.
어짜피 하프파이프도 낙엽부터 시작해야 하니...
슬로프에서 아무리 카빙 잘 해도 배우는 속도는 빠를지 몰라도
파이프 들어가면 처음부터 시작하는건 똑같습니다.
파이프, 빅에어, 지빙, 그라운드 트릭, 라이딩, 다 분야가 다르다고 보시고 각각 잘하는 분들도 다릅니다.
파이프 잘 타는사람이 카빙 잘하는건 아니고 마찬가지로 카빙 잘하는 사람이 파이프 다 잘타는건 아닙니다.
용기내셔서 도전해 보세요~
꼭 그래야 하는건 아니지만
파이프가 스노보드 기술의 총체(?)적인 기술을 접목하여 타는 것이다보니깐
무게중심, 업다운, 엣지컨트롤, 로테이션, 시선, 회전, 공중에서의 시선과동작,
랜딩,어프로치 ,활강 모든게 다 있잖아요.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베이직라이딩,카빙,그트,파크,
그 다음에 파이프를 꼭 강습을 이용해 배우는게 좋은 것 같아요.
처음 라이딩배울땐 기본기와 데크 다루는법 익혀지고
카빙에서 날박는감각 익히고
그트에서 랜딩을 양쪽으로 해야하니 스위치부터
몸을 띄우기위한 회전력(로테이션)과 데크의 탄성 이용하는거 익히고
파크에서는 날랐을때 공중에서의 감각이나 공중에서의 시선동작
(로테이션시 시선이 그라운드 트릭과 달리 아래로 향하는 점 등을 새로 배우지만)
파크 어프로치 구간에서의 동작과 시선 등등이 어느정도 자유자재로 될 때
그 다음에 파이프로 들어와야 안다치고 잘 잘 배울 수 있는 것 같아요 ㅠㅠ
제 입장에서는 스노보드의 가장 최종 보스와도 같이 느껴지는 그런 곳.....
저도 언젠간 탈 수 있겠죸ㅋㅋㅋㅋ ㅠ_ㅠ
물론 사람마다 다르긴 하지만
카빙이 되신다면. 하프파이프 기초부터 차근차근 배우신다면 무리 없다고 생각합니다 :]
기초가 탄탄해야 배우기 좋아요~
특히 파이프는. 단계별로 차근차근 숙지하시고 연습이 완료 된 후에 그 다음단계로 넘어가는걸 추천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