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꽃을든요원입니다.
이제 서서히 시즌말이 다가오는 느낌을 받습니다. 날씨가 너무 따뜻해서도 아니고 보드 타는 것이 지겨워서도 아닙니다.
가장 먼저 시즌의 끝을 느낄 수 있는 곳!!! 바로 묻고답하기 게시판입니다.
저번 시즌 말과 마찬가지로 이번 시즌에도 장비 및 의류, 악세사리 등의 시즌 후 관리 요령에 대하여 업그레이드 된 칼럼을 연재 하겠습니다.
이 글은 벌써 세번째 작성되는 글입니다. 작성 중 컴퓨터가 세번이나 돌연사 했기 때문에...
자... 그럼 시작합니다.
스노우보드 하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장비가 무엇일까요? 바로 데크 입니다. 가장 비싼 장비이기도 하지요.
한 시즌 내내 우리를 보드장 정상에서 베이스까지 얼마나 많은 시간 우리를 태웠습니까?
이제 우리도 데크가 우리를 위해 무엇을 해주기보다는 우리가 데크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를 생각해야 할 때입니다.
저는 시즌중 일주일에 한번꼴로 보드를 타러 갑니다. 그렇다면 왁싱을 얼마나 할까요?
출격전 한번 돌아와서 한번, 이런식으로 매 출격시 두번의 왁싱 작업을 합니다.
출격전 왁싱은 베이스의 활주성을 높이는데 목적을 두고, 돌아와서는 클리닝에 목적을 둡니다.
그러나 일반적인 보더로써는 매우 불가능한 횟수이지요.
그렇지만 누구나 시즌말 한번 정도는 시간을 낼 수 있어야 그나마 보더로써의 작은 양심을 지녔다고 생각합니다.
자... 망설이지 마시고 시즌을 접으신분은 빨리 스케줄을 잡으시고 아직까지 달리시고 계신분들 또한 시즌을 접음과 동시에 데크에게 스케줄을 약속합시다!!!
일단 바인딩과 데크를 분리시킵니다. 분리시킨 바인딩의 보관 요령은 다음편에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먼저 인서트홀을 진공청소기등을 이용하여 청소를 한 뒤 탑시트를 깨끗이 닦습니다.
그 다음은 엣지를 살펴 봅니다. 녹, 버(엣지의 평판하지 못한 면)가 있지는 않는지... 엣지와 보드 사이에 벌어진 곳은 없는지 만약 그런 곳을 찾으셨다면...
가까운 샵 또는 구입처, 튜닝샵을 찾아가시는 것이 좋습니다. 직접하기에는 여건이 별로 안좋을 것 입니다.
엣지의 녹과 버를 제거 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다이아몬드 스톤과 러버 스톤(고무숫돌)만 있으면 되니까요.

다이아몬드 스톤

러버 스톤
위 사진에서 보이는 두가지 도구로 엣지의 녹과 버를 제거 해줍니다. 행여나 다시 녹이 생길까 4WD같은 용품을 엣지에 바르시는 일은 없도록...
베이스에 매우 유해합니다.
엣지의 녹을 제거 했다면 베이스에 상처난 곳은 없는지 잘 살펴본 후에 만약 깊이 패인곳이 있다면 피텍싱 작업을 해야 합니다.
이 작업 또한 직접하기에는 부담 스러운 과정이므로 가까운 샵 또는 구입처, 튜닝샵을 찾아가시는 것이 좋습니다.
피텍싱에 필요한 도구를 간단히 사진과 함께 보여 드리겠습니다.

파우더 형태의 피텍스

초 형태의 피텍스

스크래퍼
이제 베이스를 청소해 봅시다.
베이스를 청소하는데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왁스리무버, 베이스 클리너, 핫왁싱 세가지 방법이 있으나 왁스리무버는 휘발성이 있으므로 손쉽게 묵은 때를 제거 할 수는 잇지만 베이스에는 유해합니다.

왁스리무버
추천하고 싶은 방법은 핫왁싱을 한 후에 베이스 클리너로 닦아주는 방법입니다.
핫왁싱을 하면 베이스의 묵은 때가 딸려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묵은 때는 스크래퍼로 긁어서 제거해주면됩니다.
나머지 잔여 왁스 또한 깨끗이 제거합니다. 그 후에 베이스 클리너로 깨끗이 닦아내면 됩니다.
클리닝 할때 쓰는 왁스로는 고가의 불소 왁스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저렴한 막대왁스를 사용 하시면 됩니다.
막대 왁스
스크래핑시에는 아크릴 소재의 스크래퍼가 좋습니다.

스크래퍼
이 정도의 과정을 거치면 깨끗한 베이스를 만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되어집니다.
여러분도 들으셨겠지만... 널리 알려진 보관왁싱이라는 단어가 있습니다.
말 그대로 보관용 왁싱이라 생각하시면 되는데... 제가 알고 있는 지식으로는 이해가 안되는 부분입니다.
샵에 계신분들과 제가 아는 프로선수 등등 보드를 일로 생각하시는 분들 중 본인데크에 보관 왁싱을 하는 분은 한번도 만난적이 없습니다.
질문을 해봐도 샵에 계신분들의 일관적인 대답은... 손님이 어디서 듣고 왔는지 해달라니까 해준다라는 식이더군요.
이렇게 길게 설명해봤자 대부분의 분들은 해주기 귀찮아서라는 생각을 하고, 크리닝왁싱 하는 것보다 왁스만 한번 발라주는 보관 왁싱이 더 쉽고 편하다는 얘기를 하시더군요.
보관 왁싱이란 왁스를 두껍게 바르고 비시즌내내 공기와의 접촉을 줄인다는 얘기인데...
왁스를 두껍게 바른 상태로 6개월 이상 보관하면... 왁스에서 수분은 온데 간데 없고 찬밥 굳은듯한 형태의 왁스 자국만이 베이스에 남아있을 것 입니다.
오히려 공기와 접촉을 줄이는 측면에서 얻어진 것보다는 그 왁스를 긁어내며 얻어지는 베이스의 흠집이 마음을 더 아프게 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생각해보시기를...
위의 모든 과정을 마친 후에 보관왁싱을 하신 다면 말리지는 않겠으나 추천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제 생각이지만... 크리닝과정의 귀찮음에 누군가 만들어낸 보관 방법이라 추측합니다.
이제 데크를 보관하기전 모든 과정이 끝났습니다.
그렇다면 보관은 어떻게 해야할까요? 너무 유별난 방법을 생각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습기 없고 서늘한 곳에 보드위에 어떠한 하중도 가하지 않은 상태로 눕히더 기대든 보관 하시면 됩니다.
보관 하는 모양에 따라 캠버가 죽거나 보드가 뒤틀리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이상으로 데크편을 마칩니다. 다음 부츠와 바인딩 편에서 뵙겠습니다.
* 만약 제가 작성한 글에 문제점이나 틀린점이 발견된다면 쪽지 부탁드립니다. 수정하겠습니다. *
탑시트에 고광택왁스로 광빨을 살립시다..+_+
특히나 펄이 들어간 탑시트의경우.
변색을 막는데도 도움을 줍니다..^_^
혹시나 베이스용 왁스를 매기시면.....
아주 큰 낭패..-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