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보더분들이 다 공감하시리라 생각하지만,
처음 보드를 배우다 보면 제일먼저 눈에 들어오는건 단연 '트릭'입니다.
엉거주춤 사이드슬립 배우고 있거나 슬로프 중간에 앉아 쉬고 있을때
바람을 가르며 옆을 스쳐지나 휙휙 돌며 착지하는 그라운드 트릭...
데크가 도는 만큼 내 눈도 돌아가지요...
그래서 어느정도 턴이 된다 싶으면 바로 트릭을 해보고자 열심히 연마하게 됩니다.

그러나 트릭이 만만한 기술이 아니죠...
좀 어설프게 원에리다, 360이다 돌릴 실력이 되면,
자연히 기술들에 대한 시야가 넓어지면서
사람들의 자세에 눈이 갑니다.
그리고 리프트를 타고 올라가면서 슬로프를 바라봅니다.
그중, 눈에 띄는 사람들이 간혹 보이죠.
잘탄다... 라는 말이 절로 나오게끔 안정된 자세로 내려오는 사람들을 보고...

열심히 자세와 턴을 연습해야할 시기에 일찌감치 그라운드 트릭으로 넘어갔다고해서
꼭 나쁘다고 할수는 없는거 같더라구요.
트릭 연습을 하면서 자연스레 턴하는 실력도 올라갑니다.
이런때 다시 턴에 대해 진지하게 연습하면 더 쉽게 적응이 되더군요.

서론이 참으로 길었는데요. 저도 윗글에 써져있는대로 트릭에 환장해서
좀 속력내며 턴할수 있다 싶을때 바로 트릭으로 들어갔습니다.
첫시즌 주말마다 성우와서 턴연습하고 막판에 알리360 마스터하고,
이번 두번째시즌 또 주말마다 성우왔는데 작년에 잘되던 360 전혀 안되면서
널리360에 540으로 바꿔버리고... 뭐 뒤죽박죽 되버리더라구요.

트릭을 하기위해선 반드시 해야할것이 페이키 라이딩이기 때문에
나름대로 구피에서(전 레귤러죠)의 턴도 연습했습니다.
하지만 익숙치 않은 구피에서의 라이딩이 저에게 큰 충격을 주었죠.
바로 카빙턴.
레귤러에서도 안되던 카빙턴이 구피에서 되어버리는 기현상을 보였습니다.

생각을 해보니,
처음 턴을 연습할때 무게중심은 진행방향에 두라고 합니다. 아주 아주 기본이죠.
이 기본을 머리속에 심어놓고 다운을 제대로 주면 바로 카빙턴이 되더라는...

다만 익숙치 않은 구피에서의 라이딩이다 보니 나도 모르게 무게중심을 진행방향으로
보통보다 많이 실어주었다는겁니다.
물론 허리는 언제나 구부리지 않는다는 기본을 지키구요.
또한 당연히 숏턴이 아닌 롱턴입니다.(숏턴 해보려고 했는데 카빙숏턴은 정말 장난이 아니더군요...)

이걸 응용해 안되던 레귤러에 적용해봤더니 이 또한 카빙턴이 되었습니다.
당연히 위에 말한 사항만 가지곤 안되겠지요...
업다운의 타이밍도 중요할테고...
성우의 짧은 알파코스만 카빙에 집중해서 내려오고 나면
왼쪽 허벅지가 덜덜덜 떨립니다..

여기서 묻고 싶은건 이게 맞느냐 하는겁니다. 이렇게 좀 무리하게 앞으로 주는게 맞느냐...
(여긴 칼럼인데 질문을 올리다니...-_-;;)

리프트를 타고 올라가며 내려오는 사람들의 자세를 보면,
거의 자세가 한결같습니다.
좀 잘 타는거 같다... 싶으면 분명 하체는 앞으로 나와있는데, 상체는 뒤로 빠져있는겁니다.
자신은 진행방향으로 두고자 하지만, 속도감때문인지 나도 모르게 상체는 뒤로 빠지는게 아닐까.. 생각이 들더라구요.

어느정도 속도감에 익숙하고 업다운이 잘 되신다면, 한번 무게중심을 많이 앞으로 해보세요....
그리고 카빙을 위해 연습한다는 J턴(?)도 해보시구요...

트릭도 트릭이지만, 턴하는 맛 또한 정말 트릭과는 또다른 즐거움을 줍니다.
왜 점점 알파인을 타는 분들이 늘어가는지 수긍이 갈 정도로...
알파인은 프리와는 비교도 안될 카빙맛을 느끼게 해주겠지요...

너무너무 횡설수설한 글이라 죄송합니다.
배운게 아니라 제가 터득한거라 이게 맞는지 알순 없습니다. 딴지, 테클, 조언, 질책 해주십시오.
엮인글 :

박프로

2004.02.25 05:16:00
*.252.102.25

아마 초급이나 초중급에서 그런 경험을 하셧으리라 생각됩니다.
초급이나 초중급 코스에서는 님처럼 무게 중심이 앞으로 많이 쏠려 있어도
엣지가 풀리거나 하는 일이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중급 이상의 슬롭에서 그런 식으로
무게 중심이 지나치게 앞으로 쏠리는 경우 레귤러의 경우 오른발쪽 에지가 풀려서
보드의 슬립이 일어나는 원인이 됩니다. 안정된 자세의 가장 중요한 원칙은
항상 보드의 중심에 서라 입니다. 고속 카빙시에 가장 중요한 점이기도 합니다.

zerom

2004.02.25 05:34:36
*.117.222.139

제파님이 어느정도의 경력이신지는 모르지만 제가 터득 한거와 다른점이 있어 이렇게 답변 합니다

많~은 보더분들이 다 공감하시리라 생각하지만,
처음 보드를 배우다 보면 제일먼저 눈에 들어오는건 단연 '트릭'입니다.
엉거주춤 사이드슬립 배우고 있거나 슬로프 중간에 앉아 쉬고 있을때
바람을 가르며 옆을 스쳐지나 휙휙 돌며 착지하는 그라운드 트릭...
데크가 도는 만큼 내 눈도 돌아가지요...
그래서 어느정도 턴이 된다 싶으면 바로 트릭을 해보고자 열심히 연마하게 됩니다.

=맞습니다 맞고염 전 트릭 하기전에 카빙까지 어느정도 연습해놓고 트릭 입문 했습니다=

그러나 트릭이 만만한 기술이 아니죠...
좀 어설프게 원에리다, 360이다 돌릴 실력이 되면,
자연히 기술들에 대한 시야가 넓어지면서
사람들의 자세에 눈이 갑니다.
그리고 리프트를 타고 올라가면서 슬로프를 바라봅니다.
그중, 눈에 띄는 사람들이 간혹 보이죠.
잘탄다... 라는 말이 절로 나오게끔 안정된 자세로 내려오는 사람들을 보고...

=이말도 맞습니다 동감 합니다=

열심히 자세와 턴을 연습해야할 시기에 일찌감치 그라운드 트릭으로 넘어갔다고해서
꼭 나쁘다고 할수는 없는거 같더라구요.
트릭 연습을 하면서 자연스레 턴하는 실력도 올라갑니다.
이런때 다시 턴에 대해 진지하게 연습하면 더 쉽게 적응이 되더군요.

=확실히 나쁘다고 말씀드리고 싶네여 자세와 턴의 어느수준의 기본을 잡아 놓아야 지만
안정된 트릭동작과 깔금한 마무리 랜딩이나 트릭 마무리후의 라이딩의 로테이션이 이루어 진다고
봅니다 . 가끔 턴과 자세는 엉망인데 휙휙돌리는 분들 봤습니다..먼가 부자연 스럽고 트릭후
랜딩이나 마무리 에서 라이딩과 연결되는 로테이션의 끊김현상을 유발 하곤 합니다...
이런분 보면 측은 한 생각 마저 들더군여=

서론이 참으로 길었는데요. 저도 윗글에 써져있는대로 트릭에 환장해서
좀 속력내며 턴할수 있다 싶을때 바로 트릭으로 들어갔습니다.
첫시즌 주말마다 성우와서 턴연습하고 막판에 알리360 마스터하고,
이번 두번째시즌 또 주말마다 성우왔는데 작년에 잘되던 360 전혀 안되면서
널리360에 540으로 바꿔버리고... 뭐 뒤죽박죽 되버리더라구요.

=저의 짧은 소견으론 마스터란 있을수 없다고 보는데 어떠하신가요..또 뒤죽박죽되어 버리셨다고 하셨는데 그이유가 제대로 익히지 못하셔서 그런것 같습니다..알리 360에도 몸을 어떻게 움직여야만 깔끔한 360마무리가 이루어 지느냐 마느냐 하는 문제가 있습니다..알리치기전에 진입에서부터 알리는 어느방향으로 또 알리시 상테의 로테이션 테일의 탄성을 얼마나 이용 하는가 보드를 뜨우고 난후상체의 로테이션과 두다리를 어떻게 처리 하느냐..다음 랜딩시 시선은 어디다 두며 데크를 어떻게 설면과 접촉시키느냐 하는 팁에 대한 지식은 전혀 없는 상태에서 남들 하는것만 보고 따라 연마 하신듯...즉 다리힘으로 한시즌을 보내시고 다시 다음 시즌에 다리힘만으로 뛰거나 해서 스핀오버가 일어나 540이 되거나 널리가 되거나 한듯 합니다...그러니 기본이 중요 하죠...=

트릭을 하기위해선 반드시 해야할것이 페이키 라이딩이기 때문에
나름대로 구피에서(전 레귤러죠)의 턴도 연습했습니다.
하지만 익숙치 않은 구피에서의 라이딩이 저에게 큰 충격을 주었죠.
바로 카빙턴.
레귤러에서도 안되던 카빙턴이 구피에서 되어버리는 기현상을 보였습니다.

=님의 원래 스텐스가 구피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는군여=

생각을 해보니,
처음 턴을 연습할때 무게중심은 진행방향에 두라고 합니다. 아주 아주 기본이죠.
이 기본을 머리속에 심어놓고 다운을 제대로 주면 바로 카빙턴이 되더라는...

=예 맞습니다 중심은 전경 후경 6:4의 비율로 주고 다운프레스만 제대로 데크에 실으면 카빙의 맛을느낄수 있는듯합니다=

다만 익숙치 않은 구피에서의 라이딩이다 보니 나도 모르게 무게중심을 진행방향으로
보통보다 많이 실어주었다는겁니다.
물론 허리는 언제나 구부리지 않는다는 기본을 지키구요.
또한 당연히 숏턴이 아닌 롱턴입니다.(숏턴 해보려고 했는데 카빙숏턴은 정말 장난이 아니더군요...)

=카빙은 롱턴이 힘듭니다...그만큼 프레스를 주면 긴시간을 견뎌야 하기때문에 다리에 무리가 많이
가죠...롱턴위 리듬감만 익히시면 숏턴은 금방 합니다=

이걸 응용해 안되던 레귤러에 적용해봤더니 이 또한 카빙턴이 되었습니다.
당연히 위에 말한 사항만 가지곤 안되겠지요...
업다운의 타이밍도 중요할테고...
성우의 짧은 알파코스만 카빙에 집중해서 내려오고 나면
왼쪽 허벅지가 덜덜덜 떨립니다..

=글쎄요 카빙으로 알파를 내려오면 덜덜 떨린다는건 이해가...카빙이 몸의중심을 실어 보드의 사이드컷을 설면과 완전 밀착 시켜 이루어내는 턴이지만 다리힘을 그다지 사용 하는것 같지는 않습니다=


여기서 묻고 싶은건 이게 맞느냐 하는겁니다. 이렇게 좀 무리하게 앞으로 주는게 맞느냐...
(여긴 칼럼인데 질문을 올리다니...-_-;;)

=맞습니다 슬로프가 완전한 파우더가아닌이상 우리나나 같은 강설인 슬로프에선 좀무리하다 싶을 정도의 전경을 주어야만 깔끔한 자세와 턴의 묘미를 느낄수 있을듯 합니다..파우더에선 반대로 후경을 줘야 하지요...파우더에서 전경을 주다보면 데크가 점점 눈속으로 파고 들어 갑니다..또 무리하게 전경을 준다고 생각해도 다른 사람이 보면 겨우 슬로프와 직각을 이루고 있을 정도 입니다..이상적이 라이딩 자세는 슬로프와 직각입니다=

리프트를 타고 올라가며 내려오는 사람들의 자세를 보면,
거의 자세가 한결같습니다.
좀 잘 타는거 같다... 싶으면 분명 하체는 앞으로 나와있는데, 상체는 뒤로 빠져있는겁니다.
자신은 진행방향으로 두고자 하지만, 속도감때문인지 나도 모르게 상체는 뒤로 빠지는게 아닐까.. 생각이 들더라구요.

=으음 저또한 그런분들 많이 보았는데요...그런분들은 아직 카빙을 연마중이신분들이구염
정말 스타일나오게 깔끔하게 타신다는 분들 보면 전경을 엄청주시던데염...진행방향 어깨가 확실히 아래로 떨어져 있던데여 저두 성우가 베이스인데=

어느정도 속도감에 익숙하고 업다운이 잘 되신다면, 한번 무게중심을 많이 앞으로 해보세요....
그리고 카빙을 위해 연습한다는 J턴(?)도 해보시구요...

=j턴은 카빙을 위해 연습 하는게 아니라 카빙이 어느정도 되시는 분들이 더욱 프레스를 주기위해 연습하시는 턴입니다 즉 말그대로 카빙을 넣어 프레스를 계속주어 슬로프를 거슬러 올라가 멈추는 턴입니다..
엣지날이 그려낸 자국이j자와 같아서 j턴이라 불립니다..이밖에 프레스를 준 엣지로 슬롭을 거슬러 올라가 다시 하단방향으로 내려오는 o턴이 있습니다..=

트릭도 트릭이지만, 턴하는 맛 또한 정말 트릭과는 또다른 즐거움을 줍니다.
왜 점점 알파인을 타는 분들이 늘어가는지 수긍이 갈 정도로...
알파인은 프리와는 비교도 안될 카빙맛을 느끼게 해주겠지요...

너무너무 횡설수설한 글이라 죄송합니다.
배운게 아니라 제가 터득한거라 이게 맞는지 알순 없습니다. 딴지, 테클, 조언, 질책 해주십시오

=님이 알고 계시는 지식의 잘못된점과 님과 다른견해가 있어서 이렇게 글을 올려 봅니다..
저또한 잘못알고 있거나 틀린 지식이나 다른 님들과의 견해의차이가 있을수 있습니다..=

...

2004.02.25 10:42:47
*.110.46.224

제롬님의 의견에 동감합니다.

여담으로...트릭의 성공으로 얻게 돼는 기쁨이 100이라면 한단계 위의 라이딩 스킬을 익히는 기쁨은 10000이라고 할수 있겠지요.

그만큼 상급 라이딩은 더 어렵습니다.

그라운드 트릭하는 사람은 눈에 많이 띄지만 상급라이딩하는 사람은 좀처럼 찾기 힘들지요. 안그런가요?


ps. 마지막으로...'마스터'라는 단어 함부로 쓰시진 마세요.

CABCA

2004.02.25 14:27:23
*.92.196.17

제파님 컬럼, 제롬님 리플 잘 읽었습니다.

한가지 말씀드리자면, 업힐턴 (J턴)은 카빙으로 들어가기 위한 연습방법입니다.

제롬님께서 말씀하신 더욱 프레스를 주기 위한 업힐턴은 중급 이상의 사면에서 좀더 발전된 카빙을 위한 것을 염두에 두시고 쓰신 말씀 같군요...

좋은 글, 리플 감사드립니다. ^^

Zeppa

2004.02.25 18:40:25
*.238.255.72

저의 실수를 꼼꼼하게 챙겨 주신대에 감사드립니다. 비록 창피하긴 해도 글을 올리길 잘했네요...
'마스터'... 주의하겠습니다 ^^;;
이번주말엔 무게중심에 초점을 두고 연습해봐야겠네요....
턴이 이렇게 재밌다는걸 알아서 너무 좋습니다.
정말 감사하구요 얼마 남지 않은 시즌 모두 안전보딩 즐거운보딩 하시길 바랍니다.

짜자잔

2004.02.26 10:04:25
*.226.183.240

짧은 소견으로 말씀 드리자면....
라이딩은 체중을 전경만 주는것이 아니라는것입니다.
오히려 프리라이딩 동영상을 보면, 후경으로 내려오는 경우가 더 많져...물론 파우더여서 그렇겠지만...^^
요즘같은 완전 습설에서 전경자세를 고집하면, 속도가 안날것입니다. 초보자 코스같은경우는 전경만으로 타면, 설수도 있구여..^^;;

전 라이딩만 하는 관계로 알파인동영상을 자주 보는데....혹시 알파인 바인딩 각으로 서서 무릎을 굽혀보셨는지요,
100% 후경으로 갑니다...
그럼 알파인이 아닌 프리스탈이나, 프리라이딩용 데크를 가지고, 후경으로 카빙을 해보셨는지요...
좀더 빠른 속력과 롱턴을 경험하실껍니다...

제가 생각하는 가장 이상적인 카빙은 전경으로 턴 진입, 폴라인에 바로 설때쯤은 중경....턴의 마무리는 후경,
폴라인에 직각으로 됐을때는 다시 중경으로 이동입니다.
물론 대부분 폴라인에 직각방향까지 턴을 말지는 않기에, 후경에서 바루 전경으로 가겠지요...

이렇게 연습하면서 느낀건, 리바운드되는 량이 커진다는거죠, 이 리듬을 제데루 타면..필받는날은 정말 제가 용쓰면서 알리치는거만큼 나오는기분입니다.
(참고로 제가 알리치면 테크는 5센치 뜹니다...^^;;)

카빙...정도는 없는것 같습니다...
몸으로 느끼는 수 밖에...

후훗...

2004.02.26 11:22:56
*.186.107.46

이상적이 라이딩 자세는 슬로프와 직각입니다= ............................. 저렇게 당당하게 틀린말을 할수 있는 자신감은 어떻게 얻는것인가...

zoo

2004.02.26 18:25:58
*.226.183.240

슬롭과 직각이 맞다고 저렇게 당당하게 틀린말을 할수 있는 자신감은 어떻게 얻는것인가.......^^

레몽레인

2004.02.26 21:02:37
*.227.28.169

날카로운 지적이네요..위 분으 말씀에 동감합니다.제롬님의 의견에 동감합니다.

물리학자

2004.02.28 12:27:11
*.80.44.181

무게중심을 어디에다 두는가에 대한 물리학적인 관점에서의 견해---

턴을 하자면 폴라인으로 떨어지는 순간이 반드시 한번은 있게되고 이 때는 보드와 몸이 최대로 가속되는 순간이기도 하지요. 몸이 뒤로 젖혀지는건 속도 때문이 아니라 가속도 때문이지요(너무 어려워 지는 가요?)
버스를 탔다고 생각해 보지요. 처음 출발할때 가속도가 가장 크고 손잡이를 잡고있지 않다면 뒤로 넘어지지요.
그런데 조금만 생각해보면 손잡이를 잡지 않고도 넘어지지 않을 수 있는 방법을 알 수 있게 됩니다. 몸을 앞으로 기울이는 것이지요 무게중심은 앞발에 있지만 가속도 때문에 전체적인 힘은 양발에 5:5정도가 되게 됩니다.그러면 가장 안정된 자세가 되며 손잡이를 잡지 않고도 버틸 수 있습니다.
버스 밖에있는 사람이 이 장면을 본다면 손잡이를 잡지 않고 버티는 사람은 앞으로 많이 기울어진 자세로 보일 것입니다.
문제는 이사람이 버스가 가속되기 이전에 기울이고 있어야지 가속된 다음에 앞으로 기울이는 건 거의 불가능 하다는 것이죠. 이미 중심을 잃고 뒤로 넘어지고 있을 테니까요.
보드에서의 카빙턴에서도 이와 똑같은 일이 폴라인으로 떨어질때 나타납니다. 앞발에 체중을 많이 준다고 해도 폴라인으로 떨어질 때 가속도 때문에 체중이 뒤로 밀리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폴라인 에서의 전경자세 는 꼭 유념해야할 중요한 사항이라는 것을 잊지 않아야하고 그러면 안정 된 자세로 멋진 카빙턴을 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을 겁니다.
잊지마세요. 폴라인으로 떨어질 때, 보드보다는 몸이 먼저간다는 느낌-전경자세.

Zero

2004.02.28 14:48:21
*.145.245.21

<좀 잘 타는거 같다... 싶으면 분명 하체는 앞으로 나와있는데, 상체는 뒤로 빠져있는겁니다.
자신은 진행방향으로 두고자 하지만, 속도감때문인지 나도 모르게 상체는 뒤로 빠지는게 아닐까.. 생각이 들더라구요.>

=>위말은.. 글쎄요 후경 자세가 되다는거 같은데... 솔직히... 이해가 잘 안되네요... 후경이 되면서 카빙이 된다?? 절대 완성된 카빙이라 볼 수 없습니다. 상체가 하체보다 뒤로 빠지게 되면 다운 프레스 줄때의 양발의 프레스가 5:5의 균형을 이루기 힘들겠죠? 그렇다면 카빙턴 자체가 깨끗하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슬라이딩 턴을 하고 약간 엣지가 선 그 시점인 순간에 그때만 카빙이 되는게 아닌지... 그렇다면 그건 카빙턴이라 할 수 없지요 슬라이딩 턴의 연속이라 생각합니다. 외람된 말쓰이오나 딴지는 절대 아닙니다. 흠... 글써 있는걸 읽다보니.... 시선처리가 안되시는게 아닌지.... 시선의 의한 턴의 완성도를 생각하시면서 카빙턴 하시는 분들을 봐 보세요. 마치 잘 타는것 처럼 보이긴 하더라도 많은 문제점을 볼 수 있을 겁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408
817 해외원정 유럽 보드장(알프스) 정보정리 [9] 독보더 2004-03-01 14 2529
816 기타 다음카페 익명게시판에 글쓴사람을 알아내는... [2] 쭈야 2004-03-01 11 11394
815 장비 관련 버튼 infinite ride [5] 수자원공사 2004-02-28 19 1992
814 초보를 위한 강좌 턴을 정말 쉽게 익히기 위해서는.. [8] 터프가이 2004-02-27 6 4669
813 기타 안전보호대 착용하기]칼럼이라하기엔 쪼금..... [7] adnprs 2004-02-26 17 2496
812 일반 011/017 (SKT) 일부 사용자 - 1만원 공짜로 ... [23] 가재발『Gaj... 2004-02-25 7 2965
811 초보를 위한 강좌 나름대로 해보는 카빙.. --; [2] ▩양치기 2004-02-25 12 3350
810 일반 장비는 upgrade.........실력은 downgrade.. [7] 옹헤야~ 2004-02-25 21 2221
» 기술(테크닉) 제가 알게된 카빙턴... [11] Zeppa 2004-02-25 14 4547
808 장비 튜닝 보더라면 시즌을 마무리 하면서 해야할 일들... 꽃을든[Yo]ONE 2004-02-24   494
807 장비 튜닝 보더라면 시즌을 마무리 하면서 해야할 일들... [6] 꽃을든[Yo]ONE 2004-02-24 5 3681
806 장비 튜닝 보더라면 시즌을 마무리 하면서 해야할 일들... [18] 꽃을든[Yo]ONE 2004-02-24 20 5941
805 장비 관련 초보는 너무 비싼 장비를 안사시는게... [36] 초코바 2004-02-23 2 3833
804 초보를 위한 강좌 정말 초보에서 멋지게 벗어나고 싶다면.. [12] 터프가이 2004-02-21 5 3683
803 초보를 위한 강좌 데크 길이에 관한 짧은 소견.. [11] 이상학 2004-02-21 11 3757
802 일반 헝그리 게시판별 베스트 5 - 장비리뷰편 [8] 뽀복이 2004-02-21 27 2749
801 초보를 위한 강좌 온몸을 던져라.. [16] 터프가이 2004-02-20 4 2705
800 장비 관련 집에서 깨끗하게 왁싱하기... [12] pu~he~ 2004-02-20 11 6236
799 일반 헝그리 게시판별 베스트 5 - 펀글편 [10] 뽀복이 2004-02-20 40 2374
798 기타 보드복 바지 끌림 방지를 위하여... [19] H-Mania 2004-02-19 3 48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