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거 삭제된 자료 다시 제 싸이에서 가져오는데, HTML이 꽤나 말썽을 부리는군요.^^
재미삼아 한번 편하게 읽어볼만한 내용입니다.


헝글이야 기본이고.^^

보더스존, 걸스노우 외에 해외 사이트를 찾아서 구경다닙니다.
장비욕심은 별로 없어서 쇼핑몰 보다는 커뮤니티 같은 곳을 주로 찾아다니는데.
자주 가는 곳으로 snowboard FAQ가 있거든요.
보드(데크)를 분류해 놓은게 있는데 참 간결하게 구분해놓기도 했고,
알파인과 레이스를 구분한게 생소해서 한번 가져와봅니다.

귀차니즘의 압박으로 해석은 그냥 대충 필요부분만 하니까, 궁금하신 분은 차근차근 직접 읽어보시길.
(보드용어를 제외하고는 그리 어렵지 않은 단어들입니다.)

What are the various types of boards?

보드(데크)에는 어떤 종류가 있을까나

Boards or decks are categorized into one of four groups: race, alpine, all-mountain/all-around/free-riding and half-pipe/free-style.

대충 네가지로 구분한다는 군요.
레이스, 알파인, 올마운틴(올어라운드, 프리라이딩, 올터레인), 하프파이프(프리스타일)
...레이스와 알파인을 구분하고, 프리라이딩은 올마운틴에, 프리스타일을 하프파이프로 구분합니다.

They range in lengths from under 100 cm to over 200 cm. Their construction is nearly identical to skis; a board has metal edges, side-cut and camber. All of the same materials are used. The real differences are in the shapes and flex patterns.  

구분한다고는 하지만, 결국 금속소재의 엣지, 사이드컷, 캠버 등 그 구조 자체는 모두 비슷하고, 진정한 차이는 소재의 차이가 아닌 탄성(flex patterns)과 모양(shapes)의 차이라고 하고 있습니다.

The term symmetry is used extensively in any discussion of boards. Because a board is ridden with one foot forward the turn dynamics are obviously different from a ski. A board can be symmetrical front to back and/or symmetrical side to side. Normally a ski is asymmetrical front to back and symmetrical side to side. Most boards have symmetry like skis.  

보드와 스키의 외양에 대해서 전후대칭, 좌우대칭, 비대칭 등의 비교에 대한 얘기... 그리 중요한 부분은 아니니 패스.

Another term used to describe snowboard shape is "directional". As in: "This board is non-directional." A true non-directional board can have either end as the tip or tail since the binding inserts are centered. Usually the rider will have a preference to being regular or goofy and set-up the board accordingly.  

디렉셔널과 넌디렉셔널(non-directional) 보드에 대한 언급입니다.  

Reasons for different symmetry configurations include:  



















Race:

These boards are used for downhill, GS and slalom racing. They tend to be stiff, narrow and long. They are designed for high speed use with long effective edges for carving turns.


다운힐, GS, 회전 경기에 주로 쓰인다는군요. 단단하고, 폭이 좁고 긴...


고속주행을 위해 디자인되었으며, 카빙을 위해 긴 유효엣지를 가진다.


(이거 알파인과 뭐가 다르다는 건지...)

Alpine:

These boards tend to target crossover skiers. The design of these boards reflects that of a ski with many of the same characteristics and many even look like fat skis. Alpine boards are a little more common in the European Alps, than in North America.


북미보다는 유럽쪽에서 좀더 보편화되었다고 합니다. 이거 설명만으로는 위의 레이스와 얼마나 어떻게 다른지 잘 모르겠네요.


알파인 타시는 분의 설명이 있어야 할 듯...^^

All-Around/Free-Riding:

This type of board is sometimes called all-terrain or all-mountain. They are designed for use in all snow conditions and most can even be ridden in the half-pipe very successfully. Maybe half of all boards sold in the U.S. are of this type.


올어라운드, 프리라이딩, 올마운틴, 올터레인 등으로 불리우며, 다양한 설질에서의 보딩이 가능하고...하프파이프에서도 가능하기도 하다. 미국에서 팔리는 대부분의 보드가 바로 이 타입.(굳이 미국뿐만 아니라, 아마 전세계에서 팔리는 대부분이 이넘이 아닐까 하네요)

Half-pipe/Free-style:

These are boards designed for use in the half-pipe and for jibbing, bonking, and general freestyle moves. They tend to be more flexible with wider foot stances more centered on the board. The board probably has more nose and tail area and less effective edge than a board from the other categories. Boards in this category generally do not have good all-around utility because of their inability to hold an edge on hard snow and steep slopes. The board is generally more difficult to control due to the stance configuration.


다양한 설질에서 타는 것은 좀 어려운 타입이고, 높은 탄성, 짧은 유효엣지 등으로 하프파이프, 지빙, 방킹, 프리스타일등에 적합한 보드.


'방킹'이 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이게 사전적 의미는 튕긴다는 의미인데...

Swallow-tail:

These boards are designed for powder, whether it is in bounds or out of bounds. They are generally stiffer than freeride boards, and the tail has a V shape cut into it to enable the tail to sink into the snow raising the nose to provide float without zapping the legs. The nose of the board may be slightly wider than expected to provide another aid to float in the pow.


스왈로우테일(제비꼬리처럼 테일이 갈라진 보드)로서 파우더용.


프리라이드보다 좀 단단한 타입이고, 제비꼬리처럼 갈라진 테일의 기능은 설면에서 테일이 밑으로 가라앉으며 노즈를 위로 들어올린다고 합니다.


부드러운 파우더 다보니 노즈가 처박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인 듯...

Split board:

These boards are designed for the backcountry where there are no lifts. The board splits length ways down the middle, effectively forming 2 skis. The rider then uses these to get up the mountain in a manner that is less exhausting (and nearly always quicker) than hiking in your boots. Once at the top, the board is re-assembled and ridden down. Some split boards are also swallow tails, for that perfect powder day.


스플릿보드.


이건 예전에 제가 게시판에 한번 올린 적이 있었는데...보통땐 보드였다가, 업힐 시에 두개로 쪼개서 숏스키처럼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을 말하는 것 같습니다.


링크 참조...


http://www.hungryboarder.com/zboard/zboard.php?id=hungry_trans&page=1&sn1=&divpage=6&sn=off&ss=on&sc=on&keyword=split&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35248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854
897 장비 튜닝 [재업]저렴한 가격으로, 5분만에 미러렌즈를... [14] INZIONE 2005-09-21 12 4664
896 장비 구입 안전하게 거래하기.. [4] 등짝에 개문신 2005-09-21 21 1643
» 장비 관련 데크의 구분 환타_ 2005-09-21 18 2942
894 장비 관련 초보의 장비구입 .. [4] 미녀와양수 2005-09-21 11 2906
893 기술(테크닉) 알리/널리 백사이드 180 [5] 늘벗(^^)/ 2005-09-21 36 5720
892 기술(테크닉) 키커에서 180를 위한 비시즌 훈련 -1 [11] 론리보더 ~ ♪ 2005-09-21 53 5050
891 기술(테크닉) 키커에서 180를 위한 비시즌 훈련 -2 론리보더 ~ ♪ 2005-09-21 66 2958
890 기술(테크닉) 키커에서 180를 위한 비시즌 훈련 -3 [3] 론리보더 ~ ♪ 2005-09-21 56 2722
889 초보를 위한 강좌 하프파이프 기다려라!! 내가간다 [3] (200... [17] 쪼매난보더 2005-09-21 30 2983
888 초보를 위한 강좌 하프파이프 기다려라!! 내가간다 [2] (200... [3] 쪼매난보더 2005-09-21 34 2458
887 초보를 위한 강좌 하프파이프 기다려라!! 내가간다 [1] (20... [8] 쪼매난보더 2005-09-21 31 3719
886 해외원정 [일본 원정] 나름대로 평가해본 시기별 원정지 [4] 론리보더 ~ ♪ 2005-09-21 15 3920
885 해외원정 일본 원정 어디를 가볼까~~ 2 [니이가타편] [3] 론리보더 ~ ♪ 2005-09-21 29 2625
884 기술(테크닉) [키커초급2탄] Ollie? Pumping? (2)-'론리보... [10] peaceB 2005-09-20 19 4250
883 기술(테크닉) [키커초급]더 멀리 더 높이 더 빨리? (1)-'... [7] peaceB 2005-09-20 21 4771
882 장비 튜닝 ★ 헬멧에 간단하게 꾸미기 ★ [3] 결눈이쁜보더 2005-09-20 20 3974
881 일반 직거래시...... [10] 출동대기 2005-09-18 11 1878
880 일반 용평상주자를 위한 몇가지 팁 [23] 이휘재1집산... 2005-09-18 9 3251
879 일반 시즌권 사진을 만들어보자~! (헝글복구로 재... [12] 바람이꾸는꿈 2005-09-16 4 3671
878 장비 튜닝 저의 데크 그래픽 튜닝기 입니다. [46] 두칠 2005-09-16 36 42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