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 ride의 또 하나의 묘미는 정설된 스로프에서 지어준 밥 먹듯 타는 무미 건조함을
떠나서 나무들이 우거진 곳을 사이사이 빠져 나가는 tree run이 있다. 자기만이 만들어
내는 루트를 따라 내려 가면  솔 나무 냄새  리프트 가 보이지 않는 곳에 자연 속에
나와 하나가 된 느낌을 갖는다.첫 째, 옷과 장비에 대해서, 나무 속으로  간다는 것은
잘 못 하면 충돌 사고 위험이 있으므로 헬멧과 손 목 보호대는 필수 이고 상의와 하의 사이
눈이 들어 오지 않도록 스노 스컷 내지 게이터를 바지 혁대 끈에다 잠근다.장갑 손목
부분도 눈이 들어 가지 않게 끈을 타이트 하게 한다. 둘째 보딩 할때, 일단 외국의
어느 스키장에도 여기는 트리 런 하는 곳이란 팻말이 없다. 스키장에서 그런 위험 부담을
앉지 않기 위해서 이다. 대부분 트리런 할 곳은 슬로프 가장 자리로 아니면  스로프 반대
쪽 이 개발 하지않아 나무가 그대로 있다. 나무와 나무 사이 공간을 리프트 위에서 일단
보딩 가능한지 체크를 한다. 보딩 스킬은 상급자 모글을 어느 정도 마스터 해야 한다.
그중 제일 중요한 것은 S턴 허리 부분에 엣지로 스탑 하고 발란스를 잡는 연습을 해야한다.
빠르게 숏턴을 구사하다가 나무와 맞닥트릴 때를 대비하기 위해서 이다.
위험물이 생기면 대부분 뒤로 나자빠질려 한다. 그렇게 되면 보드와 나무가 부딧혀 손상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보드의 종류는 flexible하고  레이디우스가 8 이하 인것 앞발의 각도는
12도 이상 그리고 전경 각도는 많이 하는 것이 좋다. 힐 사이드 턴이 재빨라야 하고
어렵다. 블라인드 사이트 가 생기고 나무가 있기 때문이다. 스키 경기중 스레이럼 기문
통과 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듯 나무 가까이 왔을 때 턴을 할려면 이미 늦어 버린다.
나무를 보지 말고 그 사이의 공간을 주목하며 내가 갈 수있는 충분한 스페이스가
있다고 생각해야 한다. 물론 충분한 스페이스가 있다. 그리고 턴은 나무와 원거리에서
3-4개 나무 사이를 시야에 집어 넣어야 한다. 바로 발 밑을 볼 필요는 없다. 그렇게 되면
빅 픽쳐를 그리지 못하고 나무와 조우하게 된다. 3-4개 나무 빅 픽쳐가 들어 오지 않으면
S턴 허리에서 스탚하고 큰 그림이 들어오면 다시 턴을 시작해야한다. 이때 뒤로 넘어지면
스라이딩되여 나무와 충돌 한다.스키에서도 모글 스키를 마스터 하기가 가장 어렵고
4-5년 이상 되야 어느정도 탈 수 있다고 한다. 발란스 근육과 타이밍 엎앤 다운 앵규레이션
조화가 완벽해야 하기 때문이다. 경사각에 보드와 몸의 중심이 절대 뒷 발에 있으면 않된다.
중급자 스로프에서 탈때는 어느 정도 미스를 회복 할 수 있으나 그렇지 않다. 착각은
대부분이 몸의 중심이 보드 중간에 있다고 생각하지만 뒷발에 많이 치우쳐 있다.앞 발에서
보드 탚끝 부분을 구부릴 수 없다면 그것은 중심이 뒷발에 있고 이미 게임 오버이다.
정설된 스로프에서 연습 방법은 급격한 S턴을 아주 빨리 4-5번 하고 스탚하고 되풀이
하는 것이고 될수 있으면 경사가 최상급자에서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그런 근육이
발달 되지 않는다. 중급코스에서 4-5년 연습해봐야 모글이나 트리 런을 할수 없다.
트리런을 하고 모글을 탈 수 있게 되면 산 전체가 눈에 들어 온다. 구석 구석이 탈 수있는
free ride 그 묘미를 알 수 있게 된다. 왜 free ride 라 이름 지었는지 생각 해본 적이
있는가. 정설된 틀 박힌 스로프에서 해방되어 병아리가 알 속에서 나와 더 큰 세상을 보듯
그 맛을 달리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산의 오밀 조밀한 경관을 더 만끽 할 수 있다.
엮인글 :

행복한승호™

2006.02.11 18:12:16
*.208.104.159

읽기가 힘들어요. ㅜㅜ 감사요~

보더

2006.02.11 18:58:56
*.38.251.105

whislter의 outer limits이나 arthur's choice와 같은 슬로프는 트리런을 할 수 있는 곳입니다. 물론 정식 슬로프이구요.

다른모습

2006.02.11 19:06:54
*.226.152.241

조낸간지

2006.02.12 01:57:52
*.80.1.25

두리

2006.02.12 09:13:00
*.200.122.182

보드 탚끝이 어디죠?

두리

2006.02.12 09:14:22
*.200.122.182

좋은글 많이 올려주세요 ^^

두기보더

2006.02.13 15:54:30
*.76.152.222

건 어디서 해요 ^^;

지돌이

2006.02.14 12:58:43
*.104.220.139

싸이에 방문해 보니.. 사진이 넘 멋지시네요... 토드라차드랑 찍은 사진도 보이고... 울나라도 이렇게 지대로 프리라이딩을 할 수 있는 곳이 있었으면 좋으련만, 파크에서만 놀다가 어제는 갑자기 프라라이딩이 그리워져서 바인딩각을 모두 전경으로 돌리고 슬로프로 향했는데, 휭~~ 하고 내려오면 끝이고.. 에구구 이사진을 보니 정말 외국에서 살고 잡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8316
1172 장비 튜닝 내가 생각하는 가격대 성능비 최상의 스톰패... [36] 빨간밥그릇 2006-02-16 8 4483
1171 장비 관련 장비에 선택에 관한 저만의 생각..... [29] 불량패트롤 2006-02-15 3 2969
1170 기술(테크닉) 하프파이프를 배우며 느낀 몇가지 [48] KOON™ 2006-02-14 59 5517
1169 초보를 위한 강좌 BS180 4주차트레이닝 팁. [21] Lucky162 2006-02-14 8 4517
1168 해외원정 일본 아오모리현 핫코다 리조트...조난사고.... [33] 터프가이 2006-02-14 13 5286
1167 헝그리 캠페인 보드문화 우리가 만들자 [9] 육식인간 2006-02-14 20 1871
1166 초보를 위한 강좌 잘알면서도 잘안하는 확실한 실력향상 팁! [5] 잘모타 2006-02-14 7 4207
1165 장비 관련 데크는 소모품? [32] 육보드 2006-02-14 6 5333
1164 장비 구입 택배거래시 저만의 노하우 [20] 아톰™ 2006-02-12 27 3449
1163 기타 보드장에서 밝은 사진 찍기 [5] 승피뤼 2006-02-12 8 3112
» 기술(테크닉) tree run하는 요령 [8] ***흰눈사이... 2006-02-11 37 3920
1161 초보를 위한 강좌 알파인보드 너무 겁먹지 마시기를.. [22] 쏘나타투♡ 2006-02-10 6 6326
1160 해외원정 [켈리포니아-MAMMOTH] 켈리포니아 맘모스스... [10] 누굴까요ㄱ- 2006-02-10 5 3541
1159 헝그리 캠페인 개처럼 사육당하자 [27] 육보드 2006-02-08 15 4991
1158 헝그리 캠페인 하프파이프 드랍인 순서를 정합시다. [23] 론리보더 ~ ♪ 2006-02-07 13 3057
1157 초보를 위한 강좌 에어 기술(aerial)과 그랩(grab), 물구나무... [13] 다큰아이 2006-02-07 12 4409
1156 해외원정 일본 아키타 타자와코 원정기(2월 9일에 추... [14] Mammamia 2006-02-07 15 3212
1155 장비 튜닝 에폭시 도전기!! [12] 최강삼성 2006-02-06 10 5114
1154 의학,부상,사고 엔조이라는 이름의 자유 혹은 방종 [36] 육보드 2006-02-06 12 4371
1153 헝그리 캠페인 관광보더로의 진화 [57] 육보드 2006-02-03 16 5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