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이번 시즌부터 점프를 시작해서 이제야 겨우 인디그랩 하는 초보 입니다만, 제가 그동안 점프 연습을 하면서 느낀점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맨 처음 킥커를 뛸때, 정말 무섭지요.
머, 리프트에서 보면, 별거 아닌것처럼 보여도 막상 뛸려고 하면 쫄아서 멈추려고 하다가 오히려 더 다치지요.
그래서 안정적으로 킥커를 들이대는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 킥커 들이대기전에...
킥커를 들이대기전에 일단 알리부터 연습하도록 합시다.
중급 슬롭에서 알리를 쳐서 베이스로 안정적으로 착지를 할 수 있다면, 충분 하다고 생각 합니다.
그정도 되면, 중간중간 보이는 모글에서 알리를 쳐 보도록 합시다.
조그마한 모글에서 알리쳐서 착지가 안정적으로 된다면, 그때 킥커를 들이대도록 합니다.
머... 모글에서 못뛰어도 드리되면 됩니다만... 공중에 뜨는것에 적응이 안되어 있으면 공중에서 몸이 열리면서 힐엣지로 착지하게 쉽상이지요.
1. 킥커 들이대기
일단 처음 킥커를 가시면, 킥커좀 뛰시는 분들은 다들 a지점에서 줄을서서 기다리시다가 내려가면서 속도체크 몇번 하시고 점프를 하게 되지요.
근데, 처음에 킥커를 가셔서 보시면 알겠지만, 다른사람이 뛰는게 속도가 얼마나 되는지, 그리고 얼마나 되면 얼마나 날아가는지 전혀 감이 안옵니다. ---;
그래서 다른사람들처럼 출발해서 대략 속도체크 몇번하게 되면, 무지느려서 아예 킥커끝부분까지 가지도 못하거나, 너무 오바해서 뒹구는 수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처음에는 정확한 속도를 아는것이 중요합니다.
위의 그림을 보면서 생각해 봅시다.
만약에 자신이 c지점에서 출발을 한다고 생각을 해 봅시다.
고등학교(아니 중학교때 배웠던가요?) 물리시간에 배웠던 무슨 운동법칙 어쩌고 저쩌고 에서 배운것처럼...
c지점에서 출발을 하면 누가 밀어주지 않는한 절대 f를 넘어갈 수 없습니다. (마찰력이 0이라면 f에 도달하겠지요.)
그러므로... 맨 처음 들이대실때는 c에서 출발을 하도록 합니다.
a에서 줄을 서서 기다리시다가, 자신의 차례가 되면 c까지 사이드슬리핑으로 내려 옵니다.
완전히 멈춘후에 데크를 돌려서 f지점을 바라보면서 베이스로 직활강을 합니다.
이때 c에서 d까지 가는동안 속도가 생각보다 빠르다 하더라도 절대 쫄거 없습니다.
위에서 알아 보았듯이, 절대 f를 넘을 수 없습니다.
그러니 보드가 슬롭에서 멈출때까지 그대로 직활강을 하십시요.
그러면 e보다 약간 윗쪽에서 멈추게 될겁니다.
뒤에서 구경하는사람들이 야-_-유를 보내거나 비-_-웃더라고 과감하게 씹고 자신의 갈길을 가도록 합시다. 쿨럭;;
두번째 부터는 c지점에서 약간 위에서 출발을 합니다.
이때 중요한것은 절대 엣지를 사용하지않고 무조건 베이스로만 간다는 것입니다.
그래야 어느정도 속도가 되면 어느정도 날아가는지 감이 옵니다.
그리고, f를 지나서 점프가 될때, 절대 펌핑을 하지 않도록 합니다.
일단 처음부터 펌핑을 하게되면, 속도에 따른 거리를 계산하기도 힘들뿐더러, 보통 처음에는 중심을 잃기 쉽습니다.
그러므로 그냥 그자세 그대로 쭈욱~ 밀고 나가도록 합시다.
또한, f지점에서 점프가 되면서부터는 시선은 j를 보도록 합니다.
혹시나 g, h를 보고 계신다면 그대로 노즈를 쳐박게 되실꺼고, 하늘을 보신다면 테일로 떨어지실 겁니다.
c에서 조금 위쪽에서 출발하기 시작해서 그 출발지점을 조금씩 올리다 보면, 대략 b지점쯤에서 출발하면 h지점(갭의 끝부분)에 떨어질 것입니다.
h지점까지 떨어질때까지 계속 조금씩 출발지점을 올려가면서 연습하도록 합시다.
중요한것은 완전히 멈춘상태에서 직활강을 하는것이구요, 출발해서 c와 d, e를 지날때는 시선을 f에 두다가 점프가 되는 동시에 j를 바라보는것 입니다.
이렇게 연습하시다 보면, 속도에 따라서 얼마나 날아가는것이 감이 오게 될것입니다.
그리고, b쯤에서 출발하시면 e를 지나 f로 진입할때 갑자기 앞다리에 압력이 올 것입니다.
이때 무게중심을 앞발쪽으로 옮기면서 그 압력을 버티셔야 합니다.
그 압력을 버티지 않고 그냥 바로 다리를 굽혀 버리면, 점프가 멀리되지 않지요.
2. 속도 적응하기
계속 연습하시다보면 어느정도 속도에서 자기가 어디에 떨어질 수 있다는게 느껴지실 겁니다.
그때부터는 다른사람들처럼 a에서 출발해서 속도체크 몇번 해주고 가볍게 뛰어 봅니다.
처음엔 살살 뛰기 시작해서 점점 속도를 올려가다 보면, 펌핑없이 i에 떨어지는 순간이 챨甄求?
그리고 이때쯤 되면, e에서 f로 갈때 압력의 도움을 받아서 다리를 접을수 있게 되고, 그랩은 안되더라도 보드를 살짝 칠수는 있을정도가 될것입니다.
근데, 펌핑없이 i까지 날아가시려면 정말 굉장한 속도로 쏘셔야 할겁니다. ^^^;;;
그리고, a에서 출발하셔서 c까지 적당히 턴을 하시면서 내려와서, c에서부터 베이스로 가는 연습을 하도록 합시다.
이때 턴을 하실때는 업다운을 확실히 해서 턴을 연습하는게 좋을듯 합니다.
3. 펌핑하기
일단 펌핑을 하시면 펌핑 안하던것보다 좀더 날아가게 됩니다. (아무래도 높이가 있으니깐요...)
그리고, 체공시간도 훨신 길어지구요... (머, 남들이 보기엔 비슷한것 같아도, 자기가 느끼는 체공시간은 2배정도 되는듯 합니다.)
펌핑을 하실때는 점프를 하신다고 생각하시면 대부분 토엣지로 뛰게 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절대 점프를 하신다고 생각하지 마시구요, 턴할때 다운에서 업으로 올라온다고 생각하시면 좋겠습니다.
무릎도 완전히 펴게 되면, 중심이 흐트러지기 쉬우니깐요, 턴할때 업자세까지만 펴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펌핑을 하실때 알리를 치는것처럼 체중을 앞발에다 완전히 실어주셔야 합니다.
거의 앞다리로만 뛰신다고 생각을 하시면 됩니다.
펌핑의 시점은 이렇습니다.
일단 c까지 턴을 하시면서 들어 오시다가, c에서부터 베이스로만 진행을 하면서 다운으로 서서히 다운으로 들어갑니다.
d를 지날때는 완전히 다운상태로 꾸욱 누르고 있으셔야 합니다.
e를 지나는 순간부터 급격히 체중을 앞발에 실으시고, 업을 들어갑니다.
그리고 f지점에 앞발이 닿는순간(데크의 노즈가 아닙니다. 앞발바닥이 f위에 있는 순간 압니다.)에 업이 완성되어야 합니다.
그러면 f지점을 박차고 하늘을 안정적으로 날게 되지요.
이때, 만약에 무릎을 모조리다 펴시면 어색하게 날개짓하면서 날아가실겁니다. ---;
그러므로 펌핑시에는 업자세까지만 하도록 합시다.
이렇게 펌핑을 해주시면 기존에 펌핑없이 h까지 가는 속도로 i까지 날아갈 수 있게 됩니다.
펌핑시에 중요한점은 라이딩의 업다운의 자세와 같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다운을 하실때 절대 등이나 허리를 구부려서 다운을 하는게 아니라, 라이딩을 할때처럼 상체를 세운 상태에서 다운을 하시로 업을 하셔야 합니다.
등을 구부리시면, 착지를 토로 하시게 될겁니다.
4. 그랩 하기
일단 펌핑이 되면 그랩은 쉽습니다.
e에서 f로 갈때 업을 하는데요, 이때 몸쪽으로 가해지는 압력이 꽤나 큽니다.
업을 하려고 버티지 않으면 그대로 다리가 접혀 주지요.
그래서 f까지 업을하고 난 후에 다리에 힘을 빼시면 다리가 자동으로 살짝 접히게 됩니다.
이 반동을 이용해서 자기몸쪽으로 다리를 살짝 접어주시면 됩니다.
처음에는 그랩없이 그냥 다리접기만 연습을 하시구요, 다리 접히는게 잘 된다 싶으면 그때부터 손을 뻗어서 잡으시길 바랍니다.
이때, 등을 살짝 구부려서 잡으셔야 합니다.
등을 펴고 잡으시려면, 정말 다리를 많이 접어야 하고, 억지로 잡으려 하면 공중자세가 불안해 집니다. (다리 무지 많이 접히시는분들은 등을 편채로 잡으시는게 더 좋을것 같긴 합니다만... 전 아직 실력이 안되서 그렇게는 못잡아 봤네요... 쿨럭;; )
그런데, 펌핑해서 i까지 날아가는 정도라면 체공시간이 꽤나 길고, 이것저것 생각할 여유도 조금 생깁니다.
그러므로 위의 순서대로 연습을 하셨다면 펌핑후부터 그랩은 무난히 하시리라 믿습니다.
저도 초보라, 칼럼을 쓴다는게 좀 그렇지만... 시즌말 처음으로 킥커를 들이대시는 파크 초보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까 하여 몇자 적어 보았습니다.
제 글에서 잘못된 점이 보이시면 지적해 주시길 바랍니다.
많은 고수분들의 지적을 기다리겠습니다.
그럼 즐거운 하루 되시길... ^^^
알기 쉽게 설명해 놓으셨네요~ ^^
그런데 펌핑시에 앞발에 중심을 주라는 건 반플립을 예방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해하면 될까요?
립이 심하게 말리지 않은 경우에는 데크중심에 중심을 두시고
좀 익숙해지시면 뒷발에 중심준다는 기분! 으로 펌핑해주셔도 될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