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원이 어디서 나온 건지 불확실한 노즈 블런트란 용어는 안쓰겠습니다.

무릎의 옆쪽 인대가 다쳐서 팩~돌리면 무지 아팠었던 덕분에
시즌 중반부턴 거의 라이딩만 하다시피 했었지요.
시즌 막판인데...
다친 무릎의 인대가 그나마 좀 회복되었더군요. (그래도..여전히 아픕니다.ㅜㅜ)
그래서 한동안 하지 않은 널리 FS360을 시도하며 놀아봤습니다만,  

여전히 잘안되지만 그나마 원애리 치며 굴렀던 내공이 미세하게 좀 쌓인 덕분인지
한가지 차이점이 느껴지더군요.
바로 스케일인데 원리는 간단했습니다.

[토엣지가 끝나는 순간 OR 중립상태 OR 힐엣지 들어갈랑말랑의 찰나에 치는 쓰리]
---> (대충 보면 거의 중립 상태에서 날아서 회전. 처음엔 원애리와 프레스 폼 똑같음.)

[우리가 흔히 노즈블..뭐시기하는 방식으로 시도하는 힐엣지 어느정도 먹고 하는 쓰리]
---> (보통 45도 ~ 최대 90도까지 먹고 들어감. )  

히한하게....;;;
전자쪽이 같은 프레스를 주고 하는데도 높이가 더 나와 진짜로 내가 공중에 튀어
오른다는 느낌을 주더랍니다.

이게 왜 그런가 하고 생각해봤는데 공중에 떴을 때 후자의 경우 데크가 비스듬히
기울어졌다는 느낌이지만, 전자는 평행하다는 느낌이 더 강하게 느껴지더군요.
공중에서 돌아가는 모습이 전자는 평행하게 회전을, 후자는 몸이 기울어져 회전한다고나
할까요.
(이게 확실한지는 저도 잘 모릅니다. 암튼 전자의 경우가 같은 힘인데도 훨 뜨는 느낌은 맞습니다.)

랜딩은 정말 미숙해서 뭐라 하기 좀 합니다만...
미약하나마 깨달은 것이 360 또한 엣지가 확 먹고 들어가는 것 보다는 거의 중립상태에서
치는 쪽이 회전의 반경을 훨 컨트롤하기 쉬워 라이딩과 깔삼하게 이어지기가 쉽더라는...
즉, 원애리든 쓰리든간에 엣지가 어느정도 먹고 치는 방식이냐 아니면 엣지가 먹기 바로전에
치는 방식이냐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다고 봅니다.
제 경험으론 엣지가 거의 안먹고 들어갈 시 덜 돌아가면 덜돌아갔지 더 돌아가 슬립이
일어나는 경우는 드물었습니다.
이건 널리 백사이드나 알리도 마찬가지가 아닐런지.

하지만...
지금까지 주절주절거린게 답이라고 확실히 말하진 못하겠네요.
엣지 이빠이 먹고도 내공이 쌓인 각력으로 텅~하고 댑따 높이 공중으로 튀어오르는
경공술(?)에 가까운 신기를 보여준 분들이 한두분이 아니라서리.... -_-;;;;

뭐... 어쨌든 제가 느낀 FS 360이란 놈은 이런 것 같다이니 너무 깊게 신경쓰시지 마시길.

참고로 가속력이 붙는다고 높이가 향상되진 않습니다.
단지 비거리가 늘어나 그런 기분이 들 뿐입니다.-_-
엮인글 :

날아라 RIDE

2006.03.07 19:45:00
*.202.197.89

동영상 쟈료실에 에프터... 이동영상이 지대로 나와있죠.
님 말씀에 동감입니다!!!
그리고 오른발은 축구공 차듯이 뻥!!!

블랙쏜

2006.03.07 20:31:33
*.111.15.160

헝글 어느분이 한 얘기가 생각납니다.

뉴트럴 포지션을 레귤러와 페이키 양쪽다 직활강하면서 안정감을 잡으라는.
가끔 그 상태에서 원애리 치면서 놀라고 하시더군요.
지금와서 생각해보니 이게 아마 축구공차기를 말씀하셨던 것 같습니다.

...

2006.03.07 22:29:17
*.51.59.248

노즈블런의 기원은 xmania.tv의 강습 동영상 때문이죠...
제가 아는 형이 널리 프론트 180 정말 잘 치는데 그 형이 널리 프론트 180 치는 동영상 보면
글쓰신 분이 말한 것처럼 거의 무엣지에서 널리 프론트 180 치죠
그리고 한가지 팁은 널리 프론트를 들어가서 뜨는 타이밍을 빨리 할수록 더 잘뜬다는...

골뱅@ㅣ

2006.03.08 00:51:33
*.121.8.85

저도 한때..많이 했던 기술인데요..례귤러랑 구피 둘다 했었는데..
요즘은 키커에 전혀 도움 안되는기술이랑 안하지만..

이글에 많이 동감합니다..
한창 연습하고 할땐...일본 영상많이 봤는데요..

제가 그 영상들 보고 느낀건데요..(제 생각임..)
라인을 탄다기보단..힐이 살짝 먹을때..
일반적으로 노즈를 찍는게 아니라..약간 후경에서 뒷발을 돌려차기차올리듯이 탁~ 차주면 오른발이 270도 정도 돌아갔을때 딱 잡아주면 슬립없이 딱 잡힙니다.

그거 계속연습하다보면 120~150도 정도 돌때 노즈가 뒤쪽에서 확~밀어주는 느낌으로 빵~뜨는 기분이 들면 제대로 스케일나옵니다..웬만한 펌핑 원에리정도....

그정도 높이 나오는게 익숙해지면..540도 스케일있게 돌아가죠..
쩝~근데...키커에선 전혀 써먹을수없기에...그렇게 치면 한방에 가기에...
요즘은 전혀 안하죠..ㅡㅡ

가고일~*

2006.03.08 23:39:14
*.13.101.90

간단히 따져봐도 계곡쪽(폴라인하고 일치됐을때)으로 널리치는게 더 스케일이 클 수 밖에 없죠 --;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가는데..

일단 힐턴이 들어가면 아래방향은 손해보고 그 만큼 횡으로 가기때문에 -.-;

블랙쏜

2006.03.09 13:51:20
*.111.15.160

어제 같이 탄 어떤 분이 그러시더군요.
후경이 정석이다라고..

일반적인 널리원애리 치듯 하기 때문에 전경이라고 생각했다가 그말씀을 듣고 이게 아닌가 해서
후경으로 시도를 몇번 해봤습니다.
그런데 후경으로 치게 되면 중립 상태에서 치는 널리라도 노즈블...뭐기시처럼 슬립이 일어나며 가끔 엉덩방아
찧는 일도 생기네요. -_-

그분 말씀데로 후경이 정석 맞습니까?
전 아무리 해도 전경으로 밖에 안됩니다.
일단 그분 말씀처럼 후경으로 뭄을 전방으로 던진다는 말 자체가 이해가 안갑니다만..
몸을 던진다면 보통 전경 아닌가요?

늙을수록보더

2006.03.10 21:36:38
*.145.200.73

음 저도 머리로 이것저것 많이 생각하면서 연습하긴하는데요
오늘 생각난게 널리로뜨지만 실제로는 회전들어가면서 알리가되는게 아닐까하는생각이드네요
그래서 레귤러나 구피 모두 반대에서의 알리높이가 360의 높이가되지않을까하는 생각이듭니다 ~
결론은 레귤러로 알리 높으신분들은 구피로 360연습해보길 권장해봅니다 물론 걍 머리속에서
생각난 사견입을 밝힘 ;;;

제파

2006.03.13 04:04:05
*.227.233.94

블랙쏜님. 제가 전경과 후경을 둘다 해본사람으로써 말씀드리자면...
작년 시즌까지 전경을 주고 해왔을당시 540을 돌리기 위해선 빠른 스피드가 필요했습니다.
성우 최상급에서 쏘고 내려온 속도를 유지해 패밀리에서 돌렸죠. 속도가 빠를수록 쉽고 안정적으로 되더군요.
대신 멀리는 날아갈지언정 높이는 없었습니다. 한마디로 노즈의 탄성없이 순식간에 휘리릭~ 하고 착지하는거죠.

이번시즌들어 자세를 후경으로 바꾸자, 노즈의 탄성을 이용한 노즈 프론트가 이런거구나...를 알게 되더라구요.
그러다보니 속도가 별로 없는 상태에서도 탄성을 이용해 돌리기가 쉬워졌습니다. 이해가 가시나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540
1217 해외원정 일본 TOYAMA TATEYAMA 원정기 3/11~13 [26] 팔짜 2006-03-16 33 3447
1216 초보를 위한 강좌 ㅈ l 빙에 관한 넋두리.. [16] A+˚ 2006-03-13 11 3992
1215 초보를 위한 강좌 아래 블랙쏜님의 "고수들도..."글을 읽고... [7] 은퉈보더 2006-03-13 16 2739
1214 장비 튜닝 보관왁싱이냐,풀코스 왁싱 후 보관이냐. [11] 야스오 2006-03-12 3 5490
1213 기술(테크닉) 체중이동과 몸열림에 관하여 [19] Xenos! 2006-03-11 58 5499
1212 해외원정 아리잠의 타자와코 원정기.-시작하며. [20] 아리잠 2006-03-11 16 2630
1211 초보를 위한 강좌 라이딩,트릭 빠른 실력 향상법 [41] 루미큐브 2006-03-10 7 10757
1210 기술(테크닉) 초보자를 강습하는 순서에 대해서. [11] 고타나 2006-03-10 51 5018
1209 초보를 위한 강좌 고수들도 엉덩이 뒤로 빠지고 팔 내리고 탄... [20] 블랙쏜 2006-03-09 5 6023
1208 해외원정 하쿠바 해외원정기 2탄 [4] airangel 2006-03-08 16 3202
1207 해외원정 나가노 하쿠바에서 올리는 해외원정기 1탄 [6] airangel 2006-03-08 19 3219
1206 일반 한 시즌 보내는데 들어가는 비용 [44] 황금낙하산 2006-03-08 6 4640
» 기술(테크닉) 널리 FS 360의 기본 스케일? [8] 블랙쏜 2006-03-07 24 5112
1204 일반 스노우보드 구매 가이드 [24] 황금낙하산 2006-03-07 11 5868
1203 초보를 위한 강좌 실력향상을 위한 여러가지 이야기... ^^;; [13] 핑핑 2006-03-06 15 3342
1202 일반 체력관리 및 여름대비 식단 [9] 땀방울 2006-03-06 22 2528
1201 장비 관련 토턴이 힐턴 보다 잘 안되는 이유(장비측면) [38] 바다포수 2006-03-06 11 8116
1200 장비 관련 데크에 눈 안쌓이게 하기... [16] 똘이 2006-03-05 8 5347
1199 헝그리 캠페인 가난보더님의 글과 비슷하달까나....슬로프... [16] 고장난보더 2006-03-04 2 2939
1198 장비 관련 보드 바지 입는 법 -_- [55] 비었다네 2006-03-04 4 8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