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 일단 허벅지는 중력과 일어서는 것 때문에 터질거 같으면 안됩니다 ㅎ 급사에서의 데크의 떨림 등을 버티는걸로 허벅지가 아프거나 긴 시간 라이딩 혹은 데크의 무게... 이런 걸로 아파야되죠. 사실 기본자세 와 낮은 자세가 무릎 구부린 정도가 그렇게 큰게 아니죠. 낮은 자세에서 턴 사이의 뉴트럴 자세로 돌아가야되는데 뉴트럴 자세를 넘어서 완전히 치고 올라와서 완전히 무릎을 다 펴버리시는 분들이 있죠. 다음 턴을 들어갈 준비를 하면서 전 턴을 마쳐야되는데 말이죠. 고로 데크의 탄성과 턴 후반인 산돌기를 버티는동안 쌓인 압력과 골반을 넘김만으로도 엣지 체인지가 가능합니다.
두번째로는 힐턴이 토턴보다 훨씬 감아타고 그러기 힘들죠.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첫번째는 토턴만큼 엣지를 못 들어올리는 것이 있겠죠. 그래서 어떤 라이더들은 일부러 토턴 반경을 죽여서 힐턴에 맞추시는 분들도 계시죠.
그 다음으론 자세의 문제가 있으신 거일수도 있죠. 생각하는 자세와 평지에서의 자세와 부츠를 신고 나서의 자세와 슬로프 위에서의 자세는 다 다르죠 ㅎㅎ. 골반이 흔들리지 않고 바인딩 각도 그대로 앉을 수 있는 스탠스 어느 정도 맞는 바인딩 각도와 그에 맞는 자세 3박자가 맞아야 데크가 돌아나가는 것을 버티면서 엣지도 더 들어올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급하게 쓰느라 잘 못 쓴것 누락된 것 등도 있으며 개인적인 의견이었으니 웬만하면 검증된 강사를 찾으시는게.... 저도 사부님 만나고 나서 엄청 늘고 보드에 대한 고민 방향도 생기고 지금은 가르침을 안 받지만 알아서 연구하는 방법도 찾았네요 ㅎㅎ
힐턴이 터지는거면 시선문제죠.
보통 터지는 구간에 따라서 결정되는데. 초반에 계곡쪽으로 떨어질때 터지는건 너무 앞발에 힘이 없거나 너무 몸이 후경으로 쏠려서 엣지를 제대로 못 건 경우가 주인거 같고 턴 후반에 산쪽으로 다시 올라가기 시작할때 터지는건 주로 데크의 중심을 벗어나는 자세, 뒷발을 잘 못 밟는것 (카빙은 결국 뒷발을 얼마나 잘 밟고 있는지의 여부이며 바인딩 각도 그대로 밟아야되죠), 혹은 골반이 막 흔들리는 경우도 있겠죠.
터 중반 (계곡돌기와 산돌기 사이)에 터지시는거면 데크가 폴라인으로 떨어지면서 보통 너무 밸런스가 후경축으로 솔리거나 턴에 대응하는 자세가 잘 안 잡혀져있는 경우일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