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유지
리그전이라 치고 A(우리팀) B C D 팀이라고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A팀은 리그진출 확정이고 D는 탈락확정입니다 B C 는 A와B의 경기결과에 따라서 진출여부가 가려지는 상황입니다.
이때 C가 진출만한다면 리그 우승이 당연시될만큼 강팀인경우에 의도적으로 B를 진출시킬수있도록 경기하는것또한 승부조작인가요?
전략의 일환으로 보아야될꺼같기도하고.. 승부조작인거같기도하고 질문남겨봅니다.
2015.12.09 12:08:40 *.233.56.33
의도적으로 1군선수가 아닌 1.5군 정도로 꾸려서 D팀에 지도록 하는것 정도는 승부조작이 아니지만
말도안되는 작전구사(예를들어 야구에서 이대호에게 도루 지시같은....)를 반복적으로 행한다면 승부조자을 의심해볼 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2015.12.09 12:10:06 *.36.158.199
2015.12.09 12:48:12 *.216.188.187
A가 B팀에게 고의로 져준다고 해도 승부 조작이라기 보다는 승부 포기나 고의 패배 정도로 봐야죠, .
A팀입장에서는 봐서는 우승 전략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지 않을까요 ?
프로야구에서 꽤 오래 전에 삼성이 (상대적으로 약세였던)롯데를 결승 파트너로 골라서, 고의로 게임을 포기하고,
롯데를 결승전에 불러올렸지만, 결국에 롯데에게 우승을 헌납한 케이스.
2015.12.09 12:48:24 *.219.67.57
이런건 용인된 조작이죠........이미 저렇게 될 경우엔 이미 기자들한테.. 감독이 약을 칠겁니다.
우린 결승전을 위해.....선수보호차원에서.. 벤치멤버를 주로 기용하겠다... 이런식으로....
2015.12.09 13:42:51 *.249.82.182
2015.12.09 13:59:28 *.154.163.204
84년 롯데우승때 삼성이 져주기까지 하면서 한국시리즈 상대를 롯데로 골랐었죠?
의도적으로 1군선수가 아닌 1.5군 정도로 꾸려서 D팀에 지도록 하는것 정도는 승부조작이 아니지만
말도안되는 작전구사(예를들어 야구에서 이대호에게 도루 지시같은....)를 반복적으로 행한다면 승부조자을 의심해볼 수도 있을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