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좀 이따 주말근무 할지안할지 결정해주는데

일단 준비해서 차에 싩어놧는데

나오라고 할거 같아욤 ㅋ

아 제발 안시켯으면...
엮인글 :

nedfor

2015.12.18 07:56:10
*.70.26.199

주말근무 강제로시키면 불법인데 안가면 어떻게되나요?

환영의숲

2015.12.18 08:29:13
*.198.184.119

주말 근무 불법 아닙니다. 근로기준법에 어쩌고 저쩌고 나오는 건 주당 총 근로시간에 대한 것이고 근무 시간이 일요일이든 뭐든에 대한 제한은 없어요. 그리고 주당 근로시간 연장에 대한 것도 합의가 아니라 협의에 의해 결정될 수 있기 때문에 사전에 통보만 해주어도 끼워맟춰서 협의했다 우길 수 있는 문제이고요.

더군다나 현장 근로자 아니라면 이래 저래 수당 챙기기도 까다롭지요. 엄밀히 말하면 불법이지먄 법적으로 가면 불법이 아니라 결론날수 있을 가능성이 무궁무진하지요. 근로기준법 따위 높으신 분들이 취급 안 해주거든요.

nedfor

2015.12.18 08:52:19
*.146.32.230

추천
1
비추천
0

이건 또 무슨소리신지 연장근무는 협의가 아니라 합의사항입니다


 제4장 근로시간과 휴식

  • 조문체계도버튼
  • 관련규제버튼

 제50조(근로시간) 1) 1주 간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2) 1일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8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3) 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근로시간을 산정함에 있어 작업을 위하여 근로자가 사용자의 지휘·감독 아래에 있는 대기시간 등은 근로시간으로 본다.  <신설 2012.2.1.>


  • 조문체계도버튼
  • 관련규제버튼

 제51조(탄력적 근로시간제) 1) 사용자는 취업규칙(취업규칙에 준하는 것을 포함한다)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2주 이내의 일정한 단위기간을 평균하여 1주 간의 근로시간이 제50조제1항의 근로시간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특정한 주에 제50조제1항의 근로시간을, 특정한 날에 제50조제2항의 근로시간을 초과하여 근로하게 할 수 있다. 다만, 특정한 주의 근로시간은 48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2) 사용자는 근로자대표와의 서면 합의에 따라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정하면 3개월 이내의 단위기간을 평균하여 1주 간의 근로시간이 제50조제1항의 근로시간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특정한 주에 제50조제1항의 근로시간을, 특정한 날에 제50조제2항의 근로시간을 초과하여 근로하게 할 수 있다. 다만, 특정한 주의 근로시간은 52시간을, 특정한 날의 근로시간은 12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1. 대상 근로자의 범위

2. 단위기간(3개월 이내의 일정한 기간으로 정하여야 한다)

3. 단위기간의 근로일과 그 근로일별 근로시간

4.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

3) 제1항과 제2항은 15세 이상 18세 미만의 근로자와 임신 중인 여성 근로자에 대하여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4) 사용자는 제1항 및 제2항에 따라 근로자를 근로시킬 경우에는 기존의 임금 수준이 낮아지지 아니하도록 임금보전방안(賃金補塡方案)을 강구하여야 한다.


  • 조문체계도버튼
  • 관련규제버튼

 제52조(선택적 근로시간제) 사용자는 취업규칙(취업규칙에 준하는 것을 포함한다)에 따라 업무의 시작 및 종료 시각을 근로자의 결정에 맡기기로 한 근로자에 대하여 근로자대표와의 서면 합의에 따라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정하면 1개월 이내의 정산기간을 평균하여 1주간의 근로시간이 제50조제1항의 근로시간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1주 간에 제50조제1항의 근로시간을, 1일에 제50조제2항의 근로시간을 초과하여 근로하게 할 수 있다.

1. 대상 근로자의 범위(15세 이상 18세 미만의 근로자는 제외한다)

2. 정산기간(1개월 이내의 일정한 기간으로 정하여야 한다)

3. 정산기간의 총 근로시간

4. 반드시 근로하여야 할 시간대를 정하는 경우에는 그 시작 및 종료 시각

5. 근로자가 그의 결정에 따라 근로할 수 있는 시간대를 정하는 경우에는 그 시작 및 종료 시각

6.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


  • 조문체계도버튼
  • 연혁
  • 관련규제버튼

 제53조(연장 근로의 제한) 1) 당사자 간에 합의하면 1주 간에 12시간을 한도로 제50조의 근로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2) 당사자 간에 합의하면 1주 간에 12시간을 한도로 제51조의 근로시간을 연장할 수 있고, 제52조제2호의 정산기간을 평균하여 1주 간에 12시간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제52조의 근로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3) 사용자는 특별한 사정이 있으면 고용노동부장관의 인가와 근로자의 동의를 받아 제1항과 제2항의 근로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다만, 사태가 급박하여 고용노동부장관의 인가를 받을 시간이 없는 경우에는 사후에 지체 없이 승인을 받아야 한다.  <개정 2010.6.4.>

4) 고용노동부장관은 제3항에 따른 근로시간의 연장이 부적당하다고 인정하면 그 후 연장시간에 상당하는 휴게시간이나 휴일을 줄 것을 명할 수 있다.  <개정 2010.6.4.>


  • 조문체계도버튼
  • 관련규제버튼

 제54조(휴게) 1) 사용자는 근로시간이 4시간인 경우에는 30분 이상, 8시간인 경우에는 1시간 이상의 휴게시간을 근로시간 도중에 주어야 한다.

2) 휴게시간은 근로자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 조문체계도버튼
  • 관련규제버튼

 제55조(휴일)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1주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주어야 한다.


  • 조문체계도버튼
  • 관련규제버튼

 제56조(연장ㆍ야간 및 휴일 근로) 사용자는 연장근로(제53조·제59조 및 제69조 단서에 따라 연장된 시간의 근로)와 야간근로(오후 10시부터 오전 6시까지 사이의 근로) 또는 휴일근로에 대하여는 통상임금의 100분의 50 이상을 가산하여 지급하여야 한다.


  • 조문체계도버튼

 제57조(보상 휴가제) 사용자는 근로자대표와의 서면 합의에 따라 제56조에 따른 연장근로·야간근로 및 휴일근로에 대하여 임금을 지급하는 것을 갈음하여 휴가를 줄 수 있다.


  • 조문체계도버튼
  • 관련규제버튼

 제58조(근로시간 계산의 특례) 1) 근로자가 출장이나 그 밖의 사유로 근로시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업장 밖에서 근로하여 근로시간을 산정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소정근로시간을 근로한 것으로 본다. 다만, 그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소정근로시간을 초과하여 근로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그 업무의 수행에 통상 필요한 시간을 근로한 것으로 본다.

2) 제1항 단서에도 불구하고 그 업무에 관하여 근로자대표와의 서면 합의를 한 경우에는 그 합의에서 정하는 시간을 그 업무의 수행에 통상 필요한 시간으로 본다.

3) 업무의 성질에 비추어 업무 수행 방법을 근로자의 재량에 위임할 필요가 있는 업무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업무는 사용자가 근로자대표와 서면 합의로 정한 시간을 근로한 것으로 본다. 이 경우 그 서면 합의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명시하여야 한다.

1. 대상 업무

2. 사용자가 업무의 수행 수단 및 시간 배분 등에 관하여 근로자에게 구체적인 지시를 하지 아니한다는 내용

3. 근로시간의 산정은 그 서면 합의로 정하는 바에 따른다는 내용

4) 제1항과 제3항의 시행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 조문체계도버튼

 제59조(근로시간 및 휴게시간의 특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업에 대하여 사용자가 근로자대표와 서면 합의를 한 경우에는 제53조제1항에 따른 주(週) 12시간을 초과하여 연장근로를 하게 하거나 제54조에 따른 휴게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1. 운수업, 물품 판매 및 보관업, 금융보험업

2. 영화 제작 및 흥행업, 통신업, 교육연구 및 조사 사업, 광고업

3. 의료 및 위생 사업, 접객업, 소각 및 청소업, 이용업

4. 그 밖에 공중의 편의 또는 업무의 특성상 필요한 경우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 조문체계도버튼
  • 연혁
  • 관련규제버튼

 제60조(연차 유급휴가) 1)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개정 2012.2.1.>

2) 사용자는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개정 2012.2.1.>

3) 사용자는 근로자의 최초 1년 간의 근로에 대하여 유급휴가를 주는 경우에는 제2항에 따른 휴가를 포함하여 15일로 하고, 근로자가 제2항에 따른 휴가를 이미 사용한 경우에는 그 사용한 휴가 일수를 15일에서 뺀다.

4) 사용자는 3년 이상 계속하여 근로한 근로자에게는 제1항에 따른 휴가에 최초 1년을 초과하는 계속 근로 연수 매 2년에 대하여 1일을 가산한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이 경우 가산휴가를 포함한 총 휴가 일수는 25일을 한도로 한다.

5) 사용자는 제1항부터 제4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휴가를 근로자가 청구한 시기에 주어야 하고, 그 기간에 대하여는 취업규칙 등에서 정하는 통상임금 또는 평균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근로자가 청구한 시기에 휴가를 주는 것이 사업 운영에 막대한 지장이 있는 경우에는 그 시기를 변경할 수 있다.

6) 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규정을 적용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기간은 출근한 것으로 본다.  <개정 2012.2.1.>

1. 근로자가 업무상의 부상 또는 질병으로 휴업한 기간

2. 임신 중의 여성이 제74조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휴가로 휴업한 기간

7) 제1항부터 제4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휴가는 1년간 행사하지 아니하면 소멸된다. 다만, 사용자의 귀책사유로 사용하지 못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조문체계도버튼
  • 연혁
  • 관련규제버튼

 제61조(연차 유급휴가의 사용 촉진) 사용자가 제60조제1항·제3항 및 제4항에 따른 유급휴가의 사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조치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근로자가 휴가를 사용하지 아니하여 제60조제7항 본문에 따라 소멸된 경우에는 사용자는 그 사용하지 아니한 휴가에 대하여 보상할 의무가 없고, 제60조제7항 단서에 따른 사용자의 귀책사유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본다.  <개정 2012.2.1.>

1. 제60조제7항 본문에 따른 기간이 끝나기 6개월 전을 기준으로 10일 이내에 사용자가 근로자별로 사용하지 아니한 휴가 일수를 알려주고, 근로자가 그 사용 시기를 정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하도록 서면으로 촉구할 것

2. 제1호에 따른 촉구에도 불구하고 근로자가 촉구를 받은 때부터 10일 이내에 사용하지 아니한 휴가의 전부 또는 일부의 사용 시기를 정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하지 아니하면 제60조제7항 본문에 따른 기간이 끝나기 2개월 전까지 사용자가 사용하지 아니한 휴가의 사용 시기를 정하여 근로자에게 서면으로 통보할 것


  • 조문체계도버튼
  • 관련규제버튼

 제62조(유급휴가의 대체) 사용자는 근로자대표와의 서면 합의에 따라 제60조에 따른 연차 유급휴가일을 갈음하여 특정한 근로일에 근로자를 휴무시킬 수 있다.


  • 조문체계도버튼
  • 연혁
  • 관련규제버튼

 제63조(적용의 제외) 이 장과 제5장에서 정한 근로시간, 휴게와 휴일에 관한 규정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근로자에 대하여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개정 2010.6.4.>

1. 토지의 경작·개간, 식물의 재식(栽植)·재배·채취 사업, 그 밖의 농림 사업

2. 동물의 사육, 수산 동식물의 채포(採捕)·양식 사업, 그 밖의 축산, 양잠, 수산 사업

3. 감시(監視) 또는 단속적(斷續的)으로 근로에 종사하는 자로서 사용자가 고용노동부장관의 승인을 받은 자

4.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



환영의숲

2015.12.18 09:02:30
*.198.184.119

법규로는 합의였군요. 필요한 부분만 설렁설렁 읽었더니 제가 착각했나봅니다.

그런데 일단 입사시 합의문건 = 계약서 작성하고 나면 그 후부턴 거의 협의사항이라... ㅠㅠ

저도 내일 근무 문제로 현재 글쓴님하고 비슷한 상황인데요. 지금부터라도 꼼곰히  따져봐야겠어요.

정보 감사합니다

nedfor

2015.12.18 09:30:53
*.146.32.230

잘 처리되시면 좋겠네요..

주말엔 스키장 가야죠

꽃보다스노보드

2015.12.18 07:57:29
*.62.173.31

강제는 아닌데 반강제죠

바쁜데 왜 안나오냐고

nedfor

2015.12.18 07:59:51
*.70.26.199

그정도는 무시하면돼죠

nedfor

2015.12.18 08:06:54
*.70.26.199

주말에 일하면 통상임금 두배 수당 나오나요?
평일에 대체휴무 안주나요?

반쪽보더

2015.12.18 09:07:18
*.226.207.43

전 주말 근무 못합니다.
돈 배로 줘야된다고 안 시키...는게 아니라
전부 출근을 안해요.

그래서 저는 주말보더입니다...

cinderella78

2015.12.18 09:55:57
*.99.112.76

저도 격주근무인데.......근무수당은 주지만 맘대로 쉴수는 업는게 현실요 ㅠ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62] Rider 2017-03-14 43 272785
133893 지난시즌 용평에서 배운 두가지... [25] jekyll 2015-12-18   1606
133892 이젠 가뿐한 마음으로 스키장으로 출발할 수 있습니다.. file [32] 그런데..몽 2015-12-18 3 1565
133891 장비 때문에 왠지쪽팔림... [24] 바뷁큐파티 2015-12-18   2140
133890 간만에..지름이....지름이.. file [9] 사미집 2015-12-18 2 1149
133889 어제 말씀드린대로... file [99] 요이땅 2015-12-18 53 2879
133888 (지름인증)궁디가 빵빵하고 좋네요~^^ file [34] 라페스타 2015-12-18 3 2045
133887 오클리 좋군요ㅋㅋ file [15] 불꽃남자v 2015-12-18 2 1849
133886 살 맛나네요 30센티 [2] ***흰눈사이... 2015-12-18   1445
133885 가족 이동통신 상황 [13] TrustMe 2015-12-18   781
133884 탑시트 왁싱 괜찮네요... file [38] FC-X 2015-12-18 1 2651
133883 낮에 뜨는 달 왤케 재미 있는거죠... [4] 네이넘 2015-12-18   769
133882 미칠거 같습니다. [9] DarkPupil 2015-12-18   759
133881 스키장이 이곳도 있었군요 ㅎ file [10] piggun 2015-12-18   2317
133880 (소소한나눔2) 저도 스타벅스 프리퀀시 나눔해드려요!!! [24] 졍나니 2015-12-18 14 718
133879 라페스타님 저격... file [31] 탁탁탁탁 2015-12-18 2 1588
133878 아 기쁩니다 [5] 01030431438... 2015-12-18   575
133877 니세코 입니다. file [25] OTOHA 2015-12-18 6 1915
133876 나눔(훈이짱님) 인증 투척!! file [7] 김해촌놈 2015-12-18 3 534
133875 곤지암 슬로프운영계획 문의 결과 입니다. [5] 엔제리너스 2015-12-18   1465
133874 헝보가입하고 첫글이 지름인증이내요 file [9] 앉아라내운... 2015-12-18 7 7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