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
지난번에 이상한 칼럼 올렸다가 개인적으로 잘못된 정보를 널리 퍼뜨린바 다시 수정본을 가져왔습니다.
첫번째 칼럼이라고 올린글 내용은 허접하니 그렇다치더라도, 참조그림은 완전 잘못그렸더군요. ^^;
저에게 틀린점을 알려주신 이름모를 -_-;님 정말 감사합니다. ^.^
다른분들은 그림의 잘못된 부분까지는 못알아보셨는데, 딱 그분께서 지적해주셨더군요.
(저는 일주일동안 고민하고 나서 틀린점을 찾았습니다. -_-; 초보인점 양해 바랍니다.)
그럼 본론으로....
--------------------------------------------------------------------------------------------
1. Key point 내용 :
버티컬까지 올라갔다가 턴을 한후 내려올때는
랜딩각도에 따라서 베이스(A,B,C각도 모두가능), 토우(A,B각도), 힐(B,C각도)엣지를 쓴다.
(본 내용은 프론트사이드 월(F/S WALL)을 레귤러 보더를 가정하고 작성하였음을 양해바랍니다.)
2. 부연설명:
우리는 일반적으로 슬로프를 내려오고자 할때
산위쪽(정상)에서 폴라인을 기준으로 봤을때
오른쪽으로 진행하려고 하면 -> 토우(Toe)엣지
왼쪽으로 진행하려고 하면 -> 힐(Heel)엣지를 사용하여 슬로프를 내려옵니다.
이를 똑같이 하프 파이프에 적용하게 되면, 플랫폼 또는 립(LIP)에서 눈덩이를 떨어뜨렸을때
눈덩이가 떨어지는 방향을 폴라인이라고 하면
폴라인을 중심으로 [그림상 왼쪽] A각도영역으로 랜딩각도를 잡으면 주로 토우엣지(또는 토우엣지성 베이스)를 사용하고
폴라인을 중심으로 [그림상 오른쪽] C각도 영역으로 랜딩각도를 잡으면 주로 힐엣지(또는 힐엣지성 베이스)를 사용한다고 기본적으로 생각해 볼수 있다.
3. 파이프내에서의 적용 사항
-> 수많은 초보 보더들이 프론트사이드 월에 진입시에는 토우엣지, 떨어질때는 힐로 알고 있으나
이는 턴(Turn)이 완벽히 이루어져 랜딩각도가 적어도 B영역내지는 C영역 정도가 될때까지
보드를 완벽히 회전시켜야 가능하다.
즉 숙련되지 못한 초보 파이퍼의 경우 시선처리나, 상체Pivoting(회전)이 부족하거나 균형을 잃어
보드가 원하는 대로 회전하지 못한 상태로 랜딩을 하게되면 'A'각도로 떨어지게 된다.
이경우 억지로(강제로) 힐 엣지를 잡으려 하는 것은 부상의 위험이 있다.
cf. 베이스로 주행하는 것은 각도에 상관없이 속도가 뒷받침될경우 상급자의 능력에 따라
언제든 쓸수 있다고 가정하였음. (A,B,C각도 어디서나)
참고문헌(?) : KOON님글, 므너님 댓글, 쪼매난보더님글, 깡총님글, Board300님글등 (누구나 칼럼 및 묻고 답하기 게시판중에서)
p.s. 묻고 답하기에 질문 남길때 제발 "빠이뿌"라고 쓰지 맙시다. 검색하기 힘듭니다. T.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