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턴동작시 어깨를 닫고 타라 열고 타라 사람마다 각기 들린데..
저같은경우는 힐턴이나 토턴시 어깨는 열고 타는게 훨씬 편하던데 ..
닫고 열고 타는것이 정답이 있는것인지 궁금합니다.
어떤게 정석인지.. 궁금하기도 하고요.. 여러분 생각은 어떠신지요..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 둘다 능숙하면 좋습니다요.
저같은 경우에 열고 ["닫고"에서오타수정]타는건 익숙한데 상급으로 갈수록 한계가 느껴지더군요.
그래서 몇년째 닫고타는 방식 (상체로테이션을 이용한 턴 )을 다시 연습하는중입니다.
하지만 모든슬롭에서 다양한 턴을 다 할줄 안다면, 스타일은 큰 상관없다고 생각합니다.
저같은경우는 급경사에서 숏 슬라이딩턴을 할때 하체 앵글레이션만으로는 자세가 나오지도 않고 안정적인 라이딩울 구사할 수 없었습니다.
그러다보니 본능적으로 카운터로테이션이(상체가 턴을 이끄는게 아닌, 상체와 하체가 반대로 도는) 되버립니다.
모글에서는 불규칙한 설면으로인해 토션 (페달링 )이 먹질 않으니 제어가 안되고 개털리더군요.
하지만, 완경사에서는 상체오픈으로 고정시키고, 프레스와 앵글레이션만으로 카빙하는게 편하고 수월하더군요.
사실 배우는 단계에서, 선생님없이 막타면서 몸으로 깨친거라 기본기를 제대로 익히지못한관계로 슬라이딩턴을 할 줄 몰랐습니다.
사활강을 하다가 (슬라이딩턴을 하는것으로 착각했죠 ) 우연히 카빙턴에 성공하고 나서, 주구장창 카빙만 했었죠.
그러다보니 중초급 경사에서는 빠르고 다이내믹한 카빙턴을 구사하니 고수인듯한 착각에 빠졌으나, 다양한 슬롭상태에 적응하는 능력이 떨어졌습니다.
그래서 기본부터 차근차근 다시 연습하는중이죠.
시선-어깨-허리-골반-무릅-발 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로테이션을 이용한 턴은 가장 기본이면서도 턴의 중요한 요소이지만
웬지 조금만 하면 다 아는것 같아서, 빨리 건너뛰고 더 폼나는 기술을 익히고 싶어집니다. 카빙턴같은..
마치 수영배울때, 기본이 되는 킥(발차기)동작을 건너뛰고 빨리 접영을 배워서 소지섭처럼 멋진 영법을 보여주고 싶듯이요.
어깨열고타는 속칭 니뽄식이 casi스타일에비해 열등하다는 뜻은 아니니 오해없으셨으면 합니다.
제 요지는 기왕이면 기본기를 충실히 한후 둘다 마스터 하시면 좋다는 점~ 입니다.
힐턴 기준으로 봅시다
그 누구나 말하듯이 엉덩이가 데크를 안 벗어나고 중심에 있다고 생각해봅시다
다운해보세요
어느정도 되시나요
그 정도를 아시겟죠
그럼 이제 어깨를 열고 다운해보세요
닫고 다운할때 정도 해보세요
엉덩이가 어디잇는지
보셧으면 더 내려가보세요
얼마나 더 내려갈수있는지
저는 이게 결론입니다
반론도 잇겟지만 제 이론은 여기까지고 저는 재밋게 타고 있습니다
둘다 틀린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일 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