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가 어찌내려오는지도 잘 모르는 사람입니다. 음 어찌저찌 상급 코스도 내려오는 편이긴 한데.. 얼마전 루나트릭스님 칼럼 읽고나서 궁금한 부분이 몇개 생겨서 고수님들께 여쭙니당.
저는 첫 슬로프 진입시 (레귤러)노즈를 꽉 눌러 진행을 하게 됩니다. 그 후 토턴시에 상체 로테이션과 무게중심을 이동해서 하는데..
여기서 턴 후반부엔 전경이 아닌 후경을 주라고 하던데 그렇게 되면 보드가 ㅡ 되있다고 가정시 왼쪽부분은 올라가고 오른쪽 부분이 내려간 \이런식의 모양이 나오더군요! 너무 후경을 주면 보드는 진행하는데 몸은 뒤에있어서 가끔 넘어지기도 하고..
그래서 저는 전경을 계속 준상태에서 턴을 진행하는데요 토턴 시작시 전경으로 진입 후 사활강을 한 후 전경 그대로 준 상태에서 힐턴.. 이런식으로 진행합니다. 물론 상체로테이션 먼저 진행 합니다...
즉 전경 진입 후 1번 상체로테이션 2번까지 토턴 진행 후 3번 가기전 사활강 3번 상체로테이션 후 힐턴
주저리주저리 한데..궁금한게 카운터로테이션의 운용법과 전,후경 운용법이 궁금합니다 ㅠㅠ
인터미디엇 슬라이딩턴 이상에서 상체로테이션으로 턴을 한다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자세히 보면 다운에서 업하면서 상체로테이션과 동시에 무게중심을 넘겨줍니다 그래서 턴이 편하게 생기는 것이고 상체로테이션이 없이 심지어 카운터로테이션자세를 취해도 무게중심만 넘기면 턴은 일어납니다
바뀐카시나 일본식라이딩 어디에도 상체로테이션이 리드하는 턴은 더이상 가르치지않습니다.
상체로테이션이 리드하는 턴을 할것인가 아닌가 부터 결정 하셔야지 배움에 혼란이 없을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