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론-
혼자서 8년동안 보드 타면서....트릭은 안하고, 늘 라이딩만 했습니다.
그렇케 라이딩하면서 공부하면서 배운 정보에 대해서 몇마디 할려고 글을 적습니다.
FS 180 이나 알리나 프레스 같은거 제대로 할줄 아는거 하나도 없습니다.
단지 라이딩만 쭉~ 해오다보니.....쪼금 느끼는게 있어서 글로 적어봅니다.
-본론-
a)들어가며
1. 첨에 보드를 배우면, 사이드 슬리핑을 시작해서, 낙엽, 그리고 비기너턴까지 쭉 배웁니다.
그렇케 보드를 배울때는 슬로프전면을 이용하여, 왓다리 갓다리 하면서 배웁니다. 그런데 조금 익숙해져 턴이 자유롭게 될때쯤이면, 슬로프경사가 별로 없는 초보슬로프에서 직선으로 쭉~ 내려오면서 엣지만 빠르게 바꾸면서 길게 S를 (그림A) 그리면서 내려오는게 잘 타는 마냥 느끼고 그렇케들 많이들 탑니다.
그런데 그렇케 타다가 중급을 갑니다. 중급 슬로프정도 되는 경사에서는 일단 첨엔 속도에 감당을 못하고 겁을 내고 많이 넘어지고 하면서,,, 차츰 그 중급 속도에도 익숙해져 갑니다. 그러다 최상급을 가면.... 라이딩은 커녕...사이드슬리핑으로 쭉 내려오다 턴한번하고...사이드슬리핑 턴~~ 이런식으로 뿌니 못하게 됩니다.
(제가 그랫습니다.)
왜 스키처럼 멋찌게 최상급 슬로프경사에서 못타는걸까? 고민을 마니하고 공부도 했습니다.
그렇케 해서 세로로 흘려 쓴 긴 S가 아닌 가로 긴 S자(그림B)가 정답인걸 알았습니다.
슬로프면에 상체가 거의 닿을뜻한 역동적인 카빙 라이딩은( 물론 엣지로만 탈수 있는 긴S자(그림A)도 카빙입니다.) 그림A와 같이 해서는 할수 없습니다. 그림B와 같이 라이딩을 해야지 슬로프에 많이 누울수 있습니다.
초급슬로프에서 그림B와 같이 연습을하고 중급 상급에 가셔서도 그림B와 같이 라이딩을 해야지 속도를 제어할수 있는 멋찐 카빙을 구사하실수 있는것입니다.
b) 그림b
보드의 데크는 사이드컷이라고 옆면이 원형으로 깍여져 잇습니다. 허리가 잘롯하게 들어간 모양이지요. 그래서 슬로프면에 엣지를 눌러 프레스를 주면 그 사이드컷이 들어가 있는 만큼 원을 그리며 라이딩을 하게금 되어 있습니다. 엣지를 제대로 눌러준 상태에서 라이딩이 되면 직선으로 내려오는게 아니라 원을 그리며 감기게 되어 있습니다. 그 느낌을 잡으셔야합니다.
턴은 그냥 슬리핑을 일으키면서 턴을 할지라도, 엣지를 먹이는 부분(턴이 완료된직후부터 다음턴이 들어가는 시점까지)에서는 엣지를 눌러주어 데크가 감기는 느낌을 잡으셔야됩니다.
그런담에 다시 슬리핑을 일으키면서 턴을 하고...다시 엣지로 감기는 느낌을 잡고.
이런씩으로 연습을하시고, 그다음에 턴을 할때도 엣지로 감아 도는 느낌을 잡으셔야됩니다.
데크가 감기는 느낌을 잡이시면, 그 부분을 최대한 오래동안 유지하십시요. 그러니깐 턴을 최대한 느께 들어가란 말씀입니다.
그렇케 탄다는 말은 그림B 처럼 슬로프를 J 자 모양으로 감싸 올라가는 라이딩을 하게 되는겁니다.
그렇케 엣지가 감기는 느낌을 잡고, 계속된 연습으로 턴에서도 슬리핑이 일어나지 않을 정도로 익숙해지시면 이제는 턴의 시점을 땅겨야합니다. 그림B에서 빨간색 표시한 부분정도에서 턴이 이루어지는것입니다.
턴의 시점이 점점 빨라지는거죠. 어떻케 빨라지느냐 하면,
제일오른쪽에 있는 그림에서 보듯이, 정상적인 엣지(레귤로로 보면 토엣지)로 들어오다가 빨간색 원 표시한 부분에서는 토사이드를 먹어야 넘어지지 않습니다. 경사면과 반대로 엣지를 들어야 하는게 기본원리니깐요. 거기다 보태에 중심(가) 에서 데크가 감겨올라가는 카빙을 하고 있다면 중심(가)를 중심으로 하는 원을 그리게 되고 속도가 붙은 상태에서 원을 그리면 원심력이 발생되며, 그 원심력으로 데크가 감기게 됩니다. 그런담에 오른쪽그림 밑에 그림처럼 상체가 경사면의 아래방향을 항햐고 힐엣지가 들어가더라도 중심(나)에서의 원심력으로 인해 일반적인 엣지가 아닌 반대방향의 엣지가 가능하게 됩니다. 그래서 턴이 점 점 더 빠른 시점에 가능한거구요...
...
설명할려고 하니 생각보다 표현하기가 힘드네요....
-결론-
가끔 알파인 보더를 보면 슬로프면에 눕듯이 타시는 분들이 종종 보입것입니다.
그분들 타시는 모습을 잘 관찰해보시면 원을 그리며 원심력을 이용하는게 보일것입니다.
스키나, 알파인이나 프리스타일이나 모두 카빙은 원심력으로 하는겁니다.
-요약-
1. 카빙은 엣지를 빨리 바꾸는 기술이 아니라, 엣지를 눌러 감아주는 기술이다.
2. 첨엔 턴시 슬리핑이 일어난다, 턴은 슬리핑이 일어나더라도,주행시(턴이 끝난시점에서 다음턴
이 들어가는 시점) 최대한 길게하여 엣지를 오래동안 눌러주라.
(그러면 턴이 크게 될것이다. 턴을 크게 연습해라는 말이 이것때문임)
3. 알파인보드는 가슴을 앞쪽을 열고(스키처럼) 턴을 하지만, 프리스타일 보드는 한번은 슬로프 윗
면을 보고, 한번은 슬로프 아래를 보고, 이렇케 라이딩이 되야 합니다. 슬로프 옆면만 보면서(가
슴을 닫고 탄다는 전제하에) 알파인처럼 엣지만 싹싹 바꾸는게 아니라~
4. 엣지를 제대로 먹여서 체중을 싫어 눌러주면 데크는 감겨올라가며 원을 그리게된다.
5. 카빙은 내려오는 속도를 원심력으로 전환시켜 데크가 감겨올라는 힘으로 하는것이다.
(내려오는 속도도 필요하고, 그힘을 효율적으로 원심력으로 전환시키는 기술도 필요함.)
6. 원심력이 발생되기 시작하면, 턴의 시점을 점점 빨리 잡아라.
-끝내며-
카빙턴을 구사하실려는 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까해서
미천한 실력이지만, 제가 느낀점들을 적었습니다. 틀린부분있으면 지적해주시고 가르쳐 주시면 감사하겟습니다.
허접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AKaSH
말 많은 사람 치고 잘타는 사람 하나 없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