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텐스를 아주 잘 정리한글..

장비 관련 조회 수 12659 추천 수 31 2006.12.28 12:56:22
http://www.cs.uu.nl/~daan/snow/stance.html

위 링크의 글은 몇년된 자료입니다.
(위 링크 아랫쪽에는 프로보더들의 스텐스도 있습니다. 4~5년전 자료기 때문에 아직도 이들이 이각도로 탈지는 모르겠지만.. 스텐스의 길이는 큰변화가 없을꺼라 봅니다.)
참조하세요..

그리고 제가 말씀 드리고 싶은내용은 포워드스탠스인가 덕스탠스인가 보다,
스탠스의 넓이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기본적인 스텐스길이는 서있을때 무릅에서 발뒤꿈치사이의 길이,
또는 손바닥을 피고 손끝에서 팔꿈치사이의 길이가 적당합니다.

계산에 의해서도 알수 있습니다.  키 x 0.29 = 적정 스텐스길이 입니다.(위 링크참조)
예를 들어 저를 계산해 보겠습니다.  184센티 x 0.29 = 53.36 센티입니다.

적정 스탠스길이에서 덕스텐스이면 뒷꿈치가 모아지기때문에 스텐스는 넓어지고요,
포워드이면 스텐스는 좀 좁아집니다.

대부분 데크를 사면 기본적으로 표시되어 있는센터가 그 데크의 적정 스텐스라 보면 됩니다.


많은 보더들이 스텐스를 가장 넓게해서, 그게 잘타는것인양 탑니다.
스텐스가 넓어지면 그 스텐스를 유지하기 위해 자동적으로 스텐스는 덕스텐스가 되던지
또는 두발의 각도차가 커집니다.
다시 말해서 스텐스가 넓기때문에 자동적으로 덕스텐스가 편해진다는겁니다.


위 링크를 보면서 해외 유명 라이더의 스텐스와 스텐스길이가 나와 있는데요
22인치를 넘는 프로는 거의 없습니다.
(서양인들은 동양인에 비해 다리가 길다는걸 감안하셔야 합니다.)

다들 스텐스가 덕이니 전향이니를 떠나서 먼저 스텐스길이를 한번 재보시기 바랍니다.
아마 깜짝 놀라실껍니다.


엮인글 :

아~

2007.01.30 01:29:33
*.159.197.239

급왜갈?? "스탠스가 넓어지면 넓어질수록 무게중심은 아래로 내려갑니다- " 진짜 무식하시네 ㅋㅋㅋ 지금은 지웠나? ㅋㅋㅋ

나도 온리트릭인데 캠버,데크중심, 다운은 아는데^^ 스탠스가 좁을수록 중심 가까이에 무게가 들어가서 날이 잘박힌다 이건데 정말 뭘보고 돌아다니시는지

글쓴이의 칼럼이 정확하다고 봅니다용^^

3가지로 나눠서

라이딩 스탠스 대략 좁게^^

그라운드트릭 스탠스 좁게^^ (야스오 , 히로이사 = 그라운드트릭 스탠스 좁게^^ )

파이프 키커 파크 넓게^^ (숀화이트랑 그외 외국선수들 = 파이프 키커 파크 스탠스 넓게^^ )

숀화이트등 외국선수들은 우리나라처럼 미친듯이 그라운드트릭 안 하니깐

고공에서의 랜딩시 충격을 줄이기 위해서 넓은 스탠스폭으로 탑니다용. 그리고 프래스를 그라운드 만큼 줄 필요가 없습니다. 왜냐면 인위적으로 만들어놓

은 키커가 있기때문에 대체적으로 스탠스를 넓게 잡아도 높이를 만들수있습니다. 뭐 알리 펌핑은 쓰지만 그라운드에서처럼 이빠이 높이 낼려고 쓰지는...


반면에 야스오나 히로이사 등 일본 그라운드트릭 고수들은 스탠스폭이 데크의 적정스탠스정도입니다. 그래야 그라운드에서 많이 쓰는 프래스 버터링등 노

즈나 테일을 많이 휘게하여 데크의 나머지 부분을 뛰워서 쉽게 로테이션을 할수있습니다.

데크회사에서도 기본 스탠스를 표시 해놓는것도 다 이유가 있어서이겠지요.

자기 스탠스를 잘만 찾으시면 단기간에도 쉽게 기술을 마스터할수 있겠지요.

요즘 많이들 벌리시고 자세가 낮아진다고 좋아라 하시는분들도 계시는데...

자신이 추구하는 보딩을 잘알아보고 맞추세욤.


트릭어려워

2007.02.21 00:46:11
*.152.18.208

글쓰지마세요 조낸힘들게 올리고 악플달리면 짜증 지데로져 ㅋ

프리보더스~

2007.10.15 14:39:39
*.155.235.21

글쓰세요~저의 헝글 고수님들 의 글에 많은 공부를 합니다~
그래도 아무것도 모르고 그냥 주어담은 얘기로만 글로 쓰는 하수가 있어도
이해해주세요~잘 몰랐으니까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08
1557 장비 튜닝 바지나 자켓이 구멍나거나 찢어진것 있죠.? ... [13] 나츠키 2007-01-04 45 7104
1556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들을 위한 보드장 기초 설명서 [14] 피아 2007-01-04 17 5378
1555 기술(테크닉) 오토바이 레이싱처럼 탈래요~~~~~ [13] AKaSH 2007-01-04 35 4064
1554 기타 외국의 스키장 코스 설계 전문 회사 [4] 파우더~! 2007-01-04 35 3204
1553 일반 2007년 1월 4일 용평, 휘팍, 성우 슬로프 ... [11] Deris 2007-01-04 29 3090
1552 헝그리 캠페인 스키장에서 충돌사고와 그 이후.. [31] [귀빈] 2007-01-04 25 4439
1551 기술(테크닉) 바인딩 묶는 순서랑 점프할때 주의할점좀요 ~~ [14] 영파토깽 2007-01-03 67 6515
1550 장비 관련 가죽 보드 장갑 오래쓰기 운동 본부 [19] 달팽 2007-01-03 53 6069
1549 기타 간단하게 보드 스페이스월 만들기 [13] 신라보더 2007-01-03 34 5261
1548 초보를 위한 강좌 보드앞으로 계속 타고 싶습니다. 그래서 노... [22] 에셈엪엠 2007-01-02 18 5473
1547 초보를 위한 강좌 나도 에폭싱 해보자!! [29] 김구라. 2007-01-01 41 6665
1546 기타 스노보드와 스키에 관한 짧은 고찰... 여러 ... [53] 꽃보다보더 2006-12-31 17 4281
1545 해외원정 벤쿠버 인근 스키장 소개 - Hemlock [9] 샤이니썬 2006-12-30 52 3227
1544 헝그리 캠페인 슬롭에서 데크만 달리게 하지 맙시다! [26] 그냥보더 2006-12-29 29 3692
1543 초보를 위한 강좌 초초보형 헝글사진 초간단 보정하기 간단 셜... [7] some Guy 2006-12-29 48 3931
1542 의학,부상,사고 if... 당신이 다쳤다면...(수정) [8] 앙마보더찌노 2006-12-29 39 3042
1541 헝그리 캠페인 바인딩을 채우셨습니까? [29] 제파 2006-12-29 37 6303
» 장비 관련 스텐스를 아주 잘 정리한글.. [53] 은둔하수 2006-12-28 31 12659
1539 일반 덕스탠스에 관한 생각 [11] KOON™ 2006-12-28 44 9513
1538 초보를 위한 강좌 보드[장] 입문서 [19] 아리잠 2006-12-28 18 40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