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즌이 중반으로 치닫는군요..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시는 것들중에 하나를 적어보려합니다..

립오버시에 펌핑과 관계가 굉장히 깊은 부분인데요..

하프파이프의 버티컬은 과연 정확히 90도인가?입니다..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아니오. 입니다..

하프파이프 벽은 완벽히 90도가 아니랍니다..

일반적으로 89도에서 87도 정도의 기울기가 된답니다 물론 90인 곳도 존재하겠구요

이때 중요한건 90는 넘어서는 안된다는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버티컬 아래가 엣지에 의해서 손상 되면 벽의 각도가 안쪽으로 말리는 형태가 되기때문에 완벽한 90도로는 안깍는듯 합니다..

그러면 90도가 아닌데 립오버시에 밖으로 안나가느냐.. ?

여기서 펌핑과 다리를 접어야하는 이유가 나옵니다..

파이프에서의 펌핑은 일반적인 펌핑과 다릅니다.
때문에 립을 벗어나는순간 어찌됬건 펌핑을하면 다리가 편상태로 립을 벗어나면서 다리를 접어주면
편상태와 접힌 상태의 자세에서 립과의 공간이 생깁니다..
다리가 긴사람이 공간이 더 많이 생기겟군요.. 요 생기는 갭을 이용하는겁니다..
벽의 각도도 길이마다 조금씩 다르고 하기때문에 펌핑과 다리를 접는 방법으로 어느정도 잡아줄수 있습니다..

이때 중요한건 파이프의 각도가 84도 이하로 내려갔을땐 파이프가 열렸다라고 말한답니다..
이땐 이런 펌핑이 무의미 하겠죠.. 하지만 낮은 립오버시엔 어느정도는 가능합니다..

항상 안전하고 즐거운 라이딩 되세요~

엮인글 :

최선수

2007.01.23 09:57:16
*.120.204.126

아 그렇군요 하프초보로서 잘읽었습니다

카건☺

2007.01.23 11:09:29
*.54.32.110

하프 한번도 안타본 저로썬 이글도 쉽게 이해가 안되는군요...
이번에 하프 도전해볼라고 하는데...처음 무엇을 먼저 연습해야 할까요?

KOON™

2007.01.23 11:30:04
*.6.75.245

외국에서 파크 만드는 장면들을 보면 수평계와 각도기를 가지고 각도재고 측량하듯이 만듭니다.
만드는 중간에 레인저들이 직접 뛰어보면서 수정하기도 하구요.

한국은.. 폴라인과 삐뚤어지고, 수평 안맞는 기물들 많습니다. 큰 점프대 같은 경우는 이게
안맞으면 에어시 몸이 기우뚱 해지는 원인이 됩니다. (엄청 위험합니다)

모글 점프대 처럼 나무로 틀 짜가지고 막아내는 점프나 파이프는 아닐지언정, 어느정도 토목기술을
응용한 정교한 파크를 만들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토목기술을 전공한 레인저가 있으면 적격인데..

강신휘

2007.01.23 19:28:47
*.15.179.208

수퍼 파이프의 버트는 83-88 도 입니다. 셰이퍼에 따라 틀려 지지요.......너무 버트가 되면 에어후 립 안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위험합니다...
그리고 어제 지산 파이프의 평균 버트 각도는 78 도 였습니다.....ㅠ.ㅠ

지나가다

2007.01.24 20:36:31
*.217.57.82

예전에 대명파크레인저가 이야기로는 대명 수퍼파이프는 86도정도라고 하더군요.

nr랑ol란Dr법™

2007.01.25 13:20:39
*.179.205.243

으.. 그럼 립밖으로 튀어나가는건.. 저 각도마저도 안된다는 거군요..-_ㅠ;;; 덕분에 허리부상으로 시즌 접게 생겻네요..ㅠ

곤곤이

2007.01.27 01:23:48
*.153.184.146

파이프시 립오버를 하려면 속도를 엄청 내야하나요?? 전 항상 립정상까지가다가 거기서 멈추내요 ㅜㅜ

구이구이

2007.01.30 23:26:43
*.143.155.2

바닥으로 내려갈때 카빙..바닥서도 카빙..올라갈때도 카빙..하면 점점 속도가 오르더군요... 스키나 보드나 마찬가지일듯..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12
» 기술(테크닉) 하프파이프에대한 고찰~~~(하프파이프 버티... [8] volcomsnow 2007-01-22 99 4416
1596 헝그리 캠페인 보드장의 슬롭이용 구분에 대한 제멋대로 생각 [8] 지나가던 강... 2007-01-22 18 2836
1595 기술(테크닉) 스노우보드 잘타는 법 (좋은 스타일) [18] 파우더~! 2007-01-22 123 16482
1594 기술(테크닉) Backside 180 [24] 말괄량이보더 2007-01-21 51 6776
1593 해외-장비구입 Burton Outlet- Boston 근교 [3] 유니~ 2007-01-21 41 3691
1592 일반 슬롭에서 할일 또 하나 [9] 모모드 2007-01-20 50 3494
1591 헝그리 캠페인 정말 보드를 잘 타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 [27] 엉망보더 2007-01-20 36 6352
1590 기술(테크닉) Frontside 180 [28] 말괄량이보더 2007-01-19 32 6776
1589 기술(테크닉) 빅에어 뛰는법!! [18] volcomsnow 2007-01-18 91 6881
1588 장비 튜닝 조각난 하이백 고쳐서 써보자 [27] 血花香 2007-01-18 22 4576
1587 일반 허접시런 부츠와 장갑 말리기 (차량소유자에... [12] 파워클린 2007-01-17 35 4849
1586 기술(테크닉) 푸쉬풀턴의 이해를 위한 역학적 접근 [27] Swiss보다 2007-01-17 182 5961
1585 헝그리 캠페인 초보보더분들의 상급슬로프 이용에 대해.. [29] FU로그너 2007-01-17 23 4925
1584 일반 승용차에 장비탑재후 4명탑승하기... [25] 비닐봉다리 2007-01-17 42 6231
1583 기술(테크닉) Force in Half Pipe [5] KOON™ 2007-01-16 79 3232
1582 기타 리조트 주차장내 차량파손시 [28] HUGO! 2007-01-16 20 5419
1581 일반 동영상에서 연속 사진 캡쳐! [8] 스노보더 2007-01-16 25 4506
1580 기타 각 리조트마다 이벤트 사전 명시제를 도입하라. [30] Gatsby 2007-01-16 12 2982
1579 일반 "일본원정 필요없다" - 경험을 토대로 한 일... [38] 커트매드 2007-01-15 22 9943
1578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를 위한 초보의 강좌 [8] 보드앙마 2007-01-14 60 56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