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글회원님의 질문쪽지에 답변을 쓰다 어째 글이 길어져 컬럼에 올려도 될만큼 양이 되어 여기에

올려도 되겠다 싶어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이글은 극히 재개인적인 경험에 따른 느낌을 쓴것이라 여타의 분들과 사뭇다른 의견일지도 모릅니다.

이부분을 인지하시고 편하게 읽어주셨으면 합니다.


현재 베이직카빙턴을 입문하시는 시점이라면 일단은 업다운을 이용한 카빙보다는 몸을 세운상태에서

의 카빙을 권해드립니다. 먼저 경사도가 낮은 곳부터 시작하는데 얼마큼의 속도를 내신다음 몸을

세우고 몸의 기울기만으로 엣지를 세워 카빙을 하시는겁니다.

몸을 세운다음 몸을 기울일때 최대한 넘어지지 않을때까지 몸을 기울입니다.

힐턴시에는 뒤쪽으로 토우턴시에는 앞쪽으로 되도록 최대한 넘어지지 않을때까지 기울입니다.

넘어지는 않는 시점을 찾으시면 반복적으로 기울기만으로 날을 세워 턴을 연습하세요.

익숙해지시면 좀더 경사도가 큰쪽으로 이동합니다. 단 최상급은 이턴으로는 턴을 돌수없을뿐더러

억지로 할려고 하면 살려고 하는 본능때문에 몸이 비틀려 자세가 엉망이 되어 역효과가 납니다.

중급자 코스 이하에서만 연습하세요.

이연습을 하는 이유는 카빙의 느낌을 익히기 위해서 입니다.

카빙으로 턴을 돌때는 슬라이딩턴과 다르게 회전을 할때 원심력을 느낍니다.

마치 롤러코스터를 타고 우회전을 할때 몸이 바깥쪽으로 밀리며 피가 쏠리는 느낌말이죠.

아무리 동영상을 보고 강좌를 읽어가며 기술을 습득하려고 해도 잘안되는 이유는 카빙의 느낌을

느끼지 못해 기술적용이 안되기때문이라고 봅니다.

만약 카빙이 안늘고 재자리만 돈다면 이느낌을 느껴보셨는지 다시한번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위의 방법이 익숙해지시면 이번엔 업다운을 가미하여 카빙을 연습합니다.

이때부터 무릅을 사용하게 됩니다. 무릅을 굽혀 업다운을 하게 되면 엣지각이 더 커져서 좀더

강력한 턴을 하게 됩니다.

여기서부터가 문제인데 대부분의 보더들은 업다운이라는것을 다들 압니다.

슬라이딩턴에도 업다운이 적용되니깐요. 그래서 모두들 업다운업다운을 외칩니다.

자세를 교정해주세요라는 제목의 동영상 자료실의 글만 봐도 리플에는 업다운을 하라고 외칩니다.

정말 업다운만 하면 턴이 잘될까요? 전 안되더이다...-_-;;

백날 업다운을 해도 슬립만 생기고 전혀 턴이 깔끔하지 않더란 말입니다. 문제점은 움직임의 흐름이

진행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단순하게 폴라인쪽으로 흐르기 때문입니다.

그럼 어떻게 움직임의 흐름을 진행방향으로 이동하느냐 인데 여기서 무릅을 사용합니다.

힐턴시 왼쪽무릅은 바깥쪽(왼쪽무릅의 왼쪽)으로 밀면서 누른다는 느낌이고

오른쪽 무릅은 자연스럽게 굽힙니다. 그리고 토우턴시에는 왼쪽무릅은 자연스럽게 굽히고

오른쪽무릅은 왼쪽(안쪽)으로 밀며 눌러줍니다. 물론 힐턴시의 오른무릅, 토우턴시의 왼쪽무릅을

안눌른다는 말은 아닙니다. 그냥 재 느낌상 그쪽을 좀 더 누른다는 느낌이 든것 뿐입니다.

이무릅이동은 다운을 하시면서 동시에 무릅을 돌립니다. 이러한방법으로 초기에는 꼭 롱턴을

연습하세요. 최대한 끝까지 다운을 해서 밀어주시면 자연스럽게 J턴이 됩니다. 산돌기라고들 하는데

언덕을 다시 되돌아 올라가게 됩니다. 여기서도 원심력을 느끼게 되는데 기울기만으로 느끼던것과는

엄청난 차이의 원심력을 느끼게 되실껍니다. 마치 밖으로 팅겨나갈것같은 느낌이 듭니다.

J턴에서 토우턴은 조금만 연습하면 되지만 힐턴은 좀처럼 잘 안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중급이상으로 넘어갈수록 힐턴이 어렵다고들 합니다.


여기서 체크 하나, 업다운 가미한 카빙턴을 연습하실때 위의 방법을 준수했음에도 불구하고 턴이 잘

안되고 슬립이 생긴다면 자신의 자세를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일명 엉덩이가 빠진자세라고들 하는

데 허리를 굽혀 인사하는 자세로 턴을 진행하고 있는지 체크하셔야 합니다. 이 자세를 교정하는 좋

은 방법은 제경험상 뒷짐을 지고 가는겁니다. 단순하게 뒷짐만 지고 있지 말고 다운하며 턴이 시작할

때부터 뒷짐지고 있는 팔로 허리를 쭉 밉니다. 그러면 허리가 세워지고 자세가 안정되게 됩니다.


체크 둘, 턴 시작시 부터 슬립이 생기며 뒷발을 차고 있다는 느낌이면, 몸을 과도하게 빠르게 돌리

고 있지 않나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몸을 턴보다 과도하게 빠르게 돌리면 그에 따라서 데크도 빠

르게 회전을 하기때문에 원활한 턴라인을 따라가지 못하고 슬립이 생기게 됩니다.


체크 셋, 그래도 슬립이 생긴다면 시선처리를 확인하세요. 자신이 턴을 하여 도착하는 최종도착지에

시선이 가있지 않고 아래를 보고 있다던가 그냥 앞을 보고 있는지 체크하세요.


어느정도 타시다보면 자신만의 리듬감이 생깁니다. 일종의 박자같은것인데 마치 둥둥탁 이런느낌으로

엣지를 체인징하게 됩니다. 이러한 리듬감이 잘 마져 떨어지면 리바운딩도 쉽게 느껴지며 턴도 원할

하게 돌아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타시다가 좋은 느낌의 리듬감을 느끼셨으면 그 느낌을 몸에 배이도

록 노력하시기 바랍니다.


전 레귤러전방각 21도/9도 스탠스 53센티미터 를 사용합니다. 몸을 약간 오픈하고 탑니다.

나이를 좀 먹고 이제 돌리기도 좀 무섭고, 데크가 쇼군이라 부러질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에

라이딩에 거의 주력하다보니 라이딩하기 편한 자세로 가기 때문에 이러한 스펙이 나왔습니다.

그래서 덕스나 다른 스탠스를 사용하시는 분들에게는 느낌이 약간 다를지도 모릅니다.

이점을 고려하셔서 약간의 도움이라도 되었으면 합니다.



제가 추천할 강좌는 http://www.hungryboarder.com/zboard/zboard.php?id=othercolum&page=1&sn1=&divpage=1&sn=off&ss=on&sc=off&keyword=카빙&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773
http://www.hungryboarder.com/zboard/zboard.php?id=othercolum&page=1&sn1=&divpage=1&sn=off&ss=on&sc=on&keyword=카빙에%20대한%20단상&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775
http://www.hungryboarder.com/zboard/zboard.php?id=othercolum&page=1&sn1=&divpage=1&sn=off&ss=on&sc=on&keyword=카빙에%20대한%20단상&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777

입니다. 카빙에 대한 단상이란 제목의 3편의 강좌인데 카빙의 대한 느낌을 잘 표현한 강좌같습니다.

저도 여러가지 이론보다는 느낌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쪽이라 이 강좌를 추천합니다.
엮인글 :

파워클린

2007.01.26 15:45:11
*.37.85.92

참 좋은 말씀이십니다 ㅎㅎ

저도 혼자 카빙연습하고 있는데 머리속에선 감이 오는데 말로 설명 못하는 그걸 님께서 이럲게 요목 조목

이해하기 쉽게 글 올리셔서 정리 잘 하고 갑니다 ^^

근데 저도 혼자 독학이라 프리라이딩 하시는 모습의 카빙보다는 리프트를 타고 올라가면서 알파인 타시는 분들의 자세를 보고 많이 따라

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약간 알파인삘이 근데 그렇게 하다보니 카빙에 관련된 글을 볼때마다 약간은 이해가 되는데 빠르더군요 ...

M3_discord

2007.01.26 15:45:18
*.141.9.190

좋은 글 같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 이런 느낌은 어떨까요? 칼로 슬로프를 스윽~ 스윽~ 베는 느낌....
앞으로 한번 베어주고..뒤로 한번 베어주고...스윽 스윽.. ^^;

2007.01.26 16:22:26
*.77.34.18

좋은 글 입니다. 단 기울기를 이용한 턴은 다운자세를 유지하면서 연습하는게 어떨까 하는 개인적인 견해 입니다.
저도 업 상태로 기울기를 연습하는 거라 여겼는데, 아래 펑키님과 대화를 해보니 다운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기울기를 연습하는게 좋을 것 같더군요.

니어커

2007.01.26 17:16:30
*.234.94.198

//핍
기울기를 이용한 턴은 단순히 날로 간다는 느낌을 얻기 위함입니다. 물론 다운상태에서 날을 세우면 좀더 날로 가는 느낌을 얻을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상태에서 턴을 하기위해서는 분명히 업을 해야합니다. 초보분이 다운상태에서 그대로 엣지를 체인지 한다면 폼이 망가질 위험이 있습니다.
물론 다운상태에서 턴을 할수는 있으나 앵글레이션과 인클레이션을 복합적으로 적용하는것은 상급기술이니 이상태에서는 적용이 안된다고 봅니다.
그러고 다운해서 업을 하신다면 다음단계 업다운을 가미한 턴으로 넘어가는것과 같습니다.

최고보더

2007.01.26 17:37:27
*.74.215.252

제가 느끼기에는 업다운이라하는거는 발로 차는 겁니다. 누구한테 배우거나 해서 타는게 아니라서 그런지

몰라도 업다운이라는 느낌이 보다는 발로 찬다고 생각이드네여 .

그래서 카빙시에 허벅지에 무리가 마니 가더군여 과도한 킥 .....

예로 뒷발치기도 마찬가지 입니다. 상급에서 뒷발치기와 카빙을 일부러 섞어쓰자면 친구들 뒷발친다고

하더군여 그래서 일부러 했다고 하면 믿지도 않고 고릴라 자세로 보여주면 그때서야 자세나온다나.....

고릴라로 상급 라이딩은 거의 불가능 합니다. 고릴라는 정글에 살기땜시 눈에서는.........ㅡㅡ;

요즘은 데크교체후 리바운딩시 180이나 360이 되어버릴듯해서 잡느라고 더 힘드네여

그러나 .....와일드한 이넘땜에 요즘은 새로운 맛입니다.ㅎㅎㅎ

낼 성우갑니다 니어커님같은분과 라이딩 하고싶습니다.언제함 뵈었으면 좋겠습니다.

도시락

2007.01.26 20:12:22
*.72.122.25

뒷발차기라..
물론 뒷발차기의 필요성을 부인하는것은 아니지만..
본문의 내용과는 핀트가 어긋난거 같네요..^^
테클이라 생각하셨다면 죄송합니다..

베타카버

2007.01.26 21:06:25
*.183.27.33

디테일한 느낌을 상당히 잘 살려 주셨네요. 저 프리 탈때 바인딩 각이랑 똑같네요. 좋은 글 감사 감사합니다.

펑키

2007.01.27 03:45:08
*.86.60.121

잠시 여담입니다. 저는 정말 맨땅에 헤딩한 케이스였습니다. 한시즌에 약 100만원 가량을 쏟아 붓고도 제대로 턴을 못했습니다. 뭘 어디서 해야 할지 몰랐죠. 시즌권사고 그 해에 정말 초급 슬라이딩턴을 했습니다. 두시즌만에 턴을한 케이스죠. 우끼지만 정말 그랬답니다. 하튼 그렇구요...

너무 어렵게 보드에 입문을 하다 보니 제가 제 아내나 다른 사람에게 보드를 가르켜 줄때 제가 겪었던 시행착오를 많이 서로 이야기하게 되는 계기가 있었습니다. 저의 경우는 처음(지금은 않그렇지만)에 이렇게 해라 저렇게 해라 보다는 이 방법을 하면 어떨까 하고 서로 이야기 해보면서 시도를 해보았습니다. 그리고 제가 바로 또 따라 해보아씁니다. 정말 그게 될까 하는 그런 생각이었습니다. 아마 지금 중급 이상 라이딩 하시는분들 초급때 슬라이딩 턴하라면 아마 그대로 엣지날 긁듯이 잘 않될겁니다. 저 스키 갈켜주는 선생님중 한분도 보겐을 못하십니다. 보겐 들어 가면 카빙나옵니다. (어릴때 스키 선수였습니다.) 이렇게 처음 배우시는 분과 저도 함께 시행착오를 하다 보니 나온 저만의 방법중 하나입니다.

니어커님 말씀대로 초급자가 업/다운을 가미한 턴을 배우는것은 너무도 어렵습니다. 이것 저것 신경써야 할것이 많은데 거기에 업다운까지 한다는것은 너무도 어려움을 중복시키는것이죠. 그래서 기울기만 이용한 턴에 대해 저도 무척 동감하는 부분입니다. 대신에 저는 어느정도 다운을 한 상태에서 이 부분을 추천을 했는데 두가지 모두 테스트를 해보았는데 업을 한 상태에서는 무릎과 발목의 피로도가 너무도 높았던것 같습니다. 슬롭의 상태에 대해 초급 보더가 너무도 많은 피로도를 느끼고 균형이 무너지는 원인이 아니었나 생각되어졌습니다.

대신에 약간의 다운을 한 상태에서 진행을 하였을때에는 어느정도 다운 자세가 완충 작용을 훌륭히 했던것 같습니다. 리풀 달아 주신대로 우리가 생각하는 다운을 초급 보더가 하기는 힘듭니다. 다만 여기서 다운은 가장 안정적으로 느낄정도의 다운입니다. 그래봐야 선배 라이더분들께서 보시기에는 뻣뻣하게 서있는 모습일테지만 초급 보더에게는 신체에 상당한 유연성을 부여해주는 자세가 아닐까 생각이 되어집니다.

제가 또 마누라 타령하면 좀 그렇지만 제 마누라도 두가지 모두 시켜보았는데 업 상태에서는 덜컹거림이 심했던것 같습니다. 그리서 나머지 분들에 대해서는 모두 어느정도 다운을 한 상태에서 해보길 권해드립니다. 그리고 우연히 휘팍의 강사분 한분과 이야기할 기회가 있었는데 이분도 이 라이딩 연습에 대해 적극 권장을 하시드라구요. 물론 강습에서는 본인들이 이 자세에 대해 할 기회나 시간적 여유는 없고 일단 초급 턴을 만드는데 주안점을 두신다고 합니다.

시의 적절한 칼럼이시라 생각되어집니다. 짝짝짝~~~

M-jjangu

2007.01.27 04:46:34
*.7.20.119

카빙턴에서도 기초가 중요하다....이거군요....제가 지금 힐턴이 않되는데...감사^^

니어커

2007.01.27 05:19:18
*.234.94.198

//펑키
님의 리플을 보고 느낌점이 많아 글을 남깁니다.
저같은 경우는 어느정도 과정까지 갔다가 다시 첨부터 시작한것이라 인식하지 못한체 약간의 전경자세를 유지했을지도 모릅니다.
저도 모르는 사이에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했을지도 모르는 것이니깐요.
이점에 대해서는 저도 깊이 생각하지 못하였기에 펑키님의 지적은 아주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또 님께서 말씀하셨다시피 다운에 대한 내용을 빠뜨린것같아 이부분을 첨부하고자 합니다.
보통 입문초기의 분들은 다운의 깊이를 파악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는듯 합니다. 자신은 다운을 했다고 하는데 다운의 깊이가 얕은경우가 많습니다.
라이딩시의 다운의 기울기가 포함되어 있기때문에 모양세는 등을 벽에 기대어 다리는 벽에서 떨어진체 의자에 앉아있는듯한 모양세처럼 보여집니다.
그냥 단순하게 재자리에 서서 다운을 해서는 그 느낌이 틀리기 때문에 다운을 깊이 하지 않은 어정쩡한 자세가 나오는듯합니다.
어떤분의 "진짜 팍 앉아라. 너의 다운은 다운이 아니다" 말처럼 깊이 앉아야 합니다.

저의 경우에는 토우턴시의 다운이 좀 어려웠습니다. 몸은 활같이 휘게한후 상체는 새운 상태에서 다운을 하면 진짜 나 자신이 다운을 한 상태인가
에 대한 의구심이 많아 고생을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펑키님이 한시즌에 100만원 가량 쓰셨다는 글을 보고 생각나는건데 제경우에는 첫시즌때 시즌권도 장비도 없이 괜히 맛들였다가 30회이상 스키장에
간후 약 150만원을 쓰고 좌절한 기억이 있습니다....ㅡ.ㅡ

누가 일러주는것이 없어 엄청나게 헤매며 고생한 점이 있어 좀더 자세히 쓸려고 했는데 다시 읽어보니 허술하기 짝이 없네요.
더 혼란을 주는건 아닌지 모르겠네요...ㅜ.ㅜ

ps. 펑키님의 강좌는 꼬박꼬박 잘 보고 있습니다.

붕붕보더

2007.01.27 15:16:47
*.225.85.23

좋은글입니다..
그런데 카빙감이 없는사람이 기울기만으로 하는 날로 타기가 가능할지........더 어렵지 않을까요...?

M3_discord

2007.01.27 17:45:14
*.151.85.119

붕붕님/ 제생각입니다만, 제대로 날 세운수준의 엣쥐가 아니라 몸의기울기만 이용한 최대한 날세우기는
제친구를 시켜본 결과 가능하더군요. 업다운턴 가미한 카빙들어가기전에 카빙감을 익히는데 좋은 방법
같았습니다. ^^

붕붕보더

2007.01.27 20:31:36
*.225.85.23

아.....롱턴으로 감을 익히면 가능하겠네요.......^^

J ¤【december】

2007.01.28 01:38:15
*.154.150.33

업다운의 개념은 weighting이냐 unweighting이냐의 개념입니다..보통 베이직 카빙 입문 시 몸의 기울기와 발목의 앵글을 이용하는데 이는 체중을 데크에 제대로 전달해 주어 데크를 휘게만들고 제대로 휘어진 데크는 사이드컷에 의해 회전반경을 이루면서 턴을 마무리 하게 됩니다..보통 데크를 누를때 척추로 누르라는 말도 머리에서부터 어깨 허리를 꼿꼿이 세우면서 체중을 제대로 데크에 전달하기 위함이죠..그리고 업(unweighting)은 다운(weighting)에 의해 휘어졌던 데크를 다시 복원시켜 리바운딩을 주기 위함이구요..보통 베이직 카빙 연습하시다 처음에는 잘 되다가 좀 지나면 턴이 터지는 경우를 많이 봤는데요..이는 업&다운 타이밍을 제대로 가져가지 못하기 때문이라 생각되네요..제 생각으로는 베이직 카빙시 거의 대부분은 다운타이밍이고 업 타이밍은 아주 짧습니다..말그대로 실었던 체중을 풀기위한 동작이기 때문에 베이직 카빙 제대로 들어가면 업 타이밍은 거의 안보일 정도죠..다시말해 턴의 정점에서 업을하고 상체로테이션이 이루어질때까지 업을 가져가는게 아니라 상체스티어링이 들어감과 동시에 다운타이밍을 좀더 일찍 가져간다는 느낌으로 연습한다면 좋을듯 싶습니다..그리고 처음부터 베이직 카빙할때부터 무릎스티어링으로 연습하시기 보다는 상체 스티어링으로 로테이션 연습을 꾸준히 하셔야 나중에 상급자 코스에서 상급카빙이나 슬라이딩턴할때 보다 쉽게 배울수 있다고 생각되네요 ^^;

쏘양

2007.02.10 11:30:17
*.155.58.200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

졸린쿠키

2012.01.17 22:56:36
*.20.172.82

추천해주신 강좌는 안보이네요~ ^^; 하지만 본글로도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863
1617 일반 숀 토끼 마스크...^^ [16] 하늘마루^^ 2007-01-31 47 4337
1616 의학,부상,사고 보험..선택이 아닌 필수.. [18] 아코 2007-01-30 33 2760
1615 기술(테크닉) 보드용어정리 [18] 달팽 2007-01-29 67 7286
1614 헝그리 캠페인 나는 보더인가 양아치인가 [113] 게쉬타포 2007-01-29 11 12330
1613 기술(테크닉) 키커 들이대기..~(기초) [33] 달팽 2007-01-29 82 7412
1612 장비 관련 따뜻하고 안전하게 파이프장갑 끼는 법. [13] XXXX. 2007-01-29 34 5663
1611 CASI CASI 동영상 다운받으시는 방법... [32] 피아 2007-01-27 31 5430
1610 해외원정 일본 나가노 하쿠바 원정기(2007년1월) [14] purewhite 2007-01-27 26 3961
1609 장비 튜닝 쪼글쪼글 늘어난 고글밴드...방법이 없는가; [8] ★검은혜성★ 2007-01-26 42 4920
1608 기술(테크닉) 무릅을 접자 팍팍.~ [19] 달팽 2007-01-26 78 8143
1607 장비 구입 살로몬 바인딩 부츠... [6] 날아라혀니 2007-01-26 37 4713
» 초보를 위한 강좌 카빙입문 좀더 개인적인 견해 [16] 니어커 2007-01-26 41 7465
1605 의학,부상,사고 부상에서 조금이나마 벗어나자 ... [2] 파워클린 2007-01-26 35 2456
1604 기술(테크닉) 집에서 라벨 만들기~ [2] 콜라 2007-01-26 61 3522
1603 일반 토우턴이 어려워요? , 힐턴이 어려워요.? [41] 초밥대왕 2007-01-25 29 27889
1602 헝그리 캠페인 야간라이딩시 야간용렌즈를 착용합시다! [29] mrflow 2007-01-24 47 6211
1601 해외원정 펜션 이용한 일본(홋까이도) 보드원정 [20] CFB 2007-01-24 29 5588
1600 장비 관련 바인딩 잘 신기-내용추가2 (토스트랩 안눕혀... [25] keyboarder 2007-01-23 20 6875
1599 장비 관련 힐 쪽 카빙이 밀린다는 분들 (바인딩 셋팅) [18] pain 2007-01-23 61 10716
1598 일반 헝그리보더 로그인이 잘 안될때!!! [15] 댕구매니아 2007-01-22 38 36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