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영상올린거 보다보면 댓글에 턴을 마무리하고 ...라는말이 있는데요...

턴을 일찍마무리 하라고 하는말이 무슨말인가요?

롱턴을 하다보니  사선으로 가다 이정도쯤에 업해서 턴해야겠다~ 이런식이거든요....

 

턴을 일찍마무리하라는 건 빨리 업을 하라는건가요?

사선으로 가다가 업!하면 그게 마무리란 말인지~ 잘모르겠어용!!!

엮인글 :

뽀더용가리

2016.01.20 11:33:25
*.219.67.57

반원의 끝이 마무리가 되는거죠.


시계방향으로 했을 대 12시와 6시


데크과 사면이 수직이되는 순간이죠....


사선으로 가다가 턴하는건 턴이 마무리가 안되고 그다음턴이 시작이 되는겁니다. 

크림파스타

2016.01.20 12:02:58
*.120.39.205

반원이 다 그려진상태 가 턴의마무리

stopbus

2016.01.20 12:04:44
*.252.50.36

주변 초보지인들도 그렇고 대부분의 초보자들에게 물어보면 턴의 시작과 끝을..9시와 3시로 알고 있드라고요..12시와 6시입니다..

babo7

2016.01.20 12:15:02
*.194.111.26

12시, 6시에 엣지를 체인지해서 턴을 한다면 이전에 엣지 체인지를 위한 선동작이 필요 한데요

턴을 일찍 마무리하는 동작과 엣지 체인지를 위한 선동작은 함께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래야 엣지 체인지가 빠르고 부드럽게 이루어 집니다.

호9

2016.01.20 12:25:22
*.62.178.27

3시 시작 9시 마무리로 보는 사람도 있습니다... 보드의 엣지각을 생각해보면 3시부터 9시까지는 반시계반향으로 돌지요.. 9시부터 3시까지는 시계방향으로 돌구요... 잘 생각해 보시길^^

bkm0714

2016.01.20 13:13:58
*.223.49.63

(힐)턴을 마무리하고 엣지 체인지, (토)턴을 마무리 하고 엣지 체인지 하라는 문맥에서 이야기하면 12시 6시 쪽이 맞습니다. 3시 9시에 엣지체인지를 하면 뭐... 슬로프를 대각선 방향으로 쭉 가겠죠

건보박

2016.01.20 13:46:21
*.209.120.164

추천
1
비추천
0

전통적으로는 12시에서 6시를 한 회전으로 하는 구분 방식을 사용해왔습니다만, 스키나 보드나 모두 에지 변환 구간(체인지 구간)에서의 거동이나 변환 조작의 기재를 기술적으로 중요하다고 여기는 관점에서 3시부터 9시로 끊어 기술적인 설명을 하려는 시도들이 이루어졌습니다. 그래서, 기술 설명을 하기 위한 각국 교정의 설명도 C자로 연속사진을 표현하는 것에서 S자로 연속사진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변화? 시도? 되어 왔습니다. 


마무리와 시작을 표현할 때에는 통상적으로 (에서 다음 )으로의 연결 부위, 즉 이전 회전 (의 가장 아래쪽을 마무리로, 다음 회전 )의 가장 위쪽을 시작으로 칭합니다. S자 형태의 구분법(9시부터 3시, 혹은 3시부터 9시...)에서 회전의 맥시멈이라고 칭하는, 가장 프래스된 상태로 많이 휘어진 상황을 시점이나 종점으로 표현하는 것은 흔하지 않습니다. 즉, C의 가장 위를 시작, 가장 아래를 마무리이자 다음 회전의 시작 준비 지점으로 이해하시는 편이 좋을 듯 합니다.

그렇다면, 변곡점(12시, 혹은 6시)이 회전의 종점이자 시점이 되는데... 그 지점을 12시-1시-2시...-5시-6시, 다음 회전의 12시-11시-10시...-7시-6시로 이어진다고 할 때, 종점과 시점의 변환 구간(에지 체인지 구간)을 이전 회전의 6시나 다음 회전의 12시가 아닌, 이전 회전의 5시에 하는 경우를 조금 이른 마무리, 다음 회전의 11시에 하는 것을 조금 늦은 마무리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게이트 경기에서의 기록 단축을 위해 다음 게이트를 좀 더 미리 준비하기 위하여 이전 회전의 마무리와 다음 회전의 시작 및 준비를 조금 더 서두르는 시도가 일반화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기술적 시도가 일반적인 활주나 라이딩에도 도입되고 있으며 이는 모두, 변환 구간을 능숙하게 처리하기 위함입니다.


보드의 경우 판이 하나라 안쪽발과 바깥쪽 발의 개념이 따로 존재하지는 않습니다. 물론 대신 힐턴과 토우턴 등의 개념은 스키에 존재하지 않습니다만... 저 부분이 얼마나 중요한가 하면, 스키 월드컵 GS에서 경이적인 기록을 수립하고 있는 미국 대표팀의 테드 리거티가 변환구간에서 어느 타이밍에 어느쪽 에지를 주축으로 하여 어떤 타이밍에 변환 구간을 시작하는지 (즉, 11시냐 12시냐, 1시냐 2시냐...등) 변화함으로써 얼마나 빠른 기록 단축이 가능했는지가 뉴욕 타임즈의 칼럼으로 실릴 정도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9] Rider 2017-03-14 166528
145445 전향각이 아닌상태에서의 카빙 [8] 기초튼튼 2016-01-20 1974
145444 아오모리 리조트 라마캠프 가보신분 전향으로낙엽 2016-01-20 421
145443 붓아웃 문의(해머헤드) [2] Lroa 2016-01-20 726
145442 bc R2 , 요넥스 트러스트..? 뭐가좋을까요? [12] 하이브 2016-01-20 1156
145441 보더 장갑 추천좀 부탁드려요~~ file [5] 양무리 2016-01-20 948
145440 부츠가 딱 맞아요 사이즈 교환 안해도 될까요? [15] 엉디 2016-01-20 679
145439 데크사이즈 초보질문드리겟습니다 [20] 근우파파 2016-01-20 627
145438 상위 슬로프로 가야 될 때가 언제일까요? [20] 태기얌 2016-01-20 886
145437 바라클라바 추천좀 부탁 합니다. [18] 로즈아이 2016-01-20 1026
» 턴마무리 라는게 어떤거일까요? -0- [7] 카빙마스터하자 2016-01-20 745
145435 스티어링은 어떤느낌인건 가요? [4] 뚠뚜니보더 2016-01-20 702
145434 바인딩 해체 드라이버 판매하는곳 !! [8] vip히야 2016-01-20 752
145433 끈부츠도 풀리나요? [17] 혼신영 2016-01-20 788
145432 ak 인슐 조끼 사이즈 문의요~~ [4] Delos 2016-01-20 388
145431 입문 테크나인 티머니 괜찮나요? [8] 늴니리 2016-01-20 633
145430 헝그리보더같은 스키관련사이트는 뭐가있나요? [4] 샤키83 2016-01-20 597
145429 년차 계산은 어떻게 하나요? [13] 설빙보단카빙 2016-01-20 733
145428 f2 엘리미네이터 또는 레이싱용 데크 렌탈할 수 있는곳 있나요? [3] 참볶 2016-01-20 587
145427 반다나 추천좀 해주세용~~ㅋ [2] 아앙아 2016-01-20 383
145426 오클리 고글 에이프레임 플라이트텍 둘중 고민.. [3] 유현기 2016-01-20 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