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항상 헝글 눈팅만 열심히하며.. 수많은 영상과 누칼 글들을 통해 독학해오며 보딩하다 한계가 와서 가입 후 이렇게 여쭤봅니다.. ㅠㅠ
영상을 보여드리면 참 좋겠지만.. 같이타는 친구들이 아무도 없고.. 당연히 스승님도 없습니다.. ㅠㅠ
아무쪼록 많은 고수분들의 댓글강의 잘 좀 부탁드립니다 ㅠㅠ (쪽지로 주셔도 매우매우 감사드립니다..)
1. 힐턴 기본 포지션과 관련된 질문입니다.(레귤러입니다)
보통 전향각을 취할경우 힐턴에서 왼쪽무릎을 피고 오른쪽 다리를 접으며.. 오른쪽 가슴을 왼쪽 무릎에 닿도록 상체를 접어라..
이때 헤드다운은 하지 않도록 하며 허리가 굽지 않도록하고.. 왼쪽 고관절과 오른쪽 허벅지 및 엉덩이로 누르는 느낌을 받아야 한다..
또, 턴의 시작부터 끝까지 어께선을 항상 슬롭과 수평을 이루도록 신경써야한다..
여기까지는 제가 알고 있고, 슬롭에서도 어느정도 느끼고 있는 부분인데,
제가 궁금한점은 왼쪽 무릎을 피고 오른쪽 다리를 접게될경우 골반각이 자연스럽게 열리면서 엉덩이 또한 데크쪽으로 이동하게되는데.. 이때, 뒷무릎을 앞 무릎쪽으로 자연스럽게 붙이게 될 경우 뒷 무릎이 앞 무릎보다 바깥쪽(토엣지쪽)으로 튀어나오게 되어 결국 데크를 반으로 나눴을때 노즈쪽은 엣징이 더 서게되고, 테일쪽은 뒷다리 다운으로 인해 엣징이 상대적으로 죽어 토션이 발생하게 되는듯합니다. 제가 생각하고 있는것이 맞는지요? 그리고 이렇게 기본 포지션을 잡고 타는 것 또한 올바른지 궁금합니다.
2. 위와 같은 제 가정이 맞다면, 프레스 운용을 어떻게 해야할까요?
저 같은 경우는.. 일반적으로 말씀들 하시는 전중후경의 방법대로 하려고 노력하는데요. 경사가 조금 있을때부터는 펜스와의 키스가 무서워.. 테일 탄성을 이용해서 크로스스루(라고 적습니다만.. 제가 올바로 하는지는 모르겠습니다;;;)와 최대한 비스무리하게 흉내내서 빠른 엣지체인지 후 앞다리를 쭉 뻗고 힐턴에 진입합니다. 그 후 고수분들 보면 폴라인과 일치하는 지점(9시)에서 최대다운을 들어가시던데 저같은 경우는 8시 지점정도 되어야 최대다운을 갠신히 합니다.. 해도 엣지가 많이 서는 느낌도 아니고.. ㅠㅠ 그보다 더 빨리 다운을 하고자 하면 턴 진입 직후 프레스 운용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 이전 턴(토턴)의 엣지체인징을 빨리하라.. 라는 이야기도 들었는데 그럴 경우 엣지체인징 이후 턴 초반부분을 길게 만들어야 한다는 이야기일까요?
3. 앞무릎을 필 때 하이백 포워드린은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일단 저같은경우는.. 앞무릎을 더 피고 싶어도 잘 못피는 이유가 굉장히 많겠지만(미천한 오징어이옵니다..;;).. 그중 하나를 꼽자면 왼발 하이백때문인데요. 요게.. 턴 초입에 기울기를 줄 때는 어느정도 굽혀있는게 수월한데.. 거기서 앞무릎을 핀 상태에서 다운을 하려하면.. 제가 왼쪽 종아리를 더 못눌러줘서 그런지.. 더 피고 싶어도 잘 못펴는 경우가 많은것 같습니다 ㅠㅠ
그런데 고수분들경우 앞과 뒤의 포워드린을 다르게 하신다는 경우도 있고, 심지어 없이 타는 분들도 계시던데..
제 짧은 생각으로는 앞의 경우 포워드린을 덜 주고, 뒤쪽을 많이 주는게 좀 더 유리하지 않을까 합니다만.. 이게 바른 방법일까요?
(앞서 1번에 적었던 토션이 발생되는게 맞다는 가정하에 혼자 추측해본겁니다;;;)
그럴경우.. 상대적으로 포워드린이 덜 들어갔기 때문에 이 때 기울기를 만드는 작업은 순수하게 몸의 관절만을 이용할 수 밖에 없겠지요..?
4. 급사에서의 프레스 운용과 관련한 질문입니다.
누칼의 lunatrix님의 칼럼을 수십번 보고, 이곳 묻답 및 여러 곳에서 말씀하신 바로는..
급사에서 프레스 운용을 하려면 엣지체인징을 빨리 가져가서 턴 초반(역엣지구간.. 혹은 산돌기구간)에 강한 프레스를 줄 수 있어야 한다 라고들 하셨습니다. 게다가.. 좀더 과장하면 급사에서의 턴은 엣지 체인징 이후 9시(힐턴), 3시(토턴)까지 모든 프레스를 다 쏟고 그 후 리바운딩을 잘 받아 넘겨 엣지체인징을 해야한다고들 하시는데..
- 초반 산돌기구간에 강한 프레스를 준다... 라고 하면 체인징 직후부터 다운을 들어간다는 이야기인가요? 이 부분에 대한 연습방법이 무엇일지 참 궁금합니다.. 예전 천현민님의 칼럼에서는 이 구간에서는 그냥 엣지를 걸기만 해야지 프레스가 들어가면 밀려버린다고 이야기 하셨던것 같은데.. 뭐가 뭔지 모르겠습니다.. ㅠㅠ 또, 단순히 악과 깡으로 연습하기엔.. 생명이 위태롭더라구요 ㅠㅠ
- 모든 프레스를 9시 3시 지점까지 끝낸다면.. 보통 잘 터지는 8시 5시 지점에서 어떻게 처리를 해야 할까요? 저같은 경우는 보통 8시 5시 지점에서 테일을 꽉 누르며 딛고 일어서는데.. 프레스 운용을 어떤 느낌으로 해야하는지 전혀 감이 오지 않습니다 ㅠㅠ
궁금한 점들이 많아 이래저래 다 적다 보니 글이 많이 길어졌습니다 ㅠㅠ
많은 노하우 전수 부탁드립니다!! 미리 감사드립니다!!
최근에 라이딩 하면서 느낀겁니다.
저도 독학으로 배운 라이딩이라 느는게 너무 더디네요.
힐턴에 대한 약점때문에 고민이 많았는데요.
헝보나 여러 영상을 보면 힐턴시 취하는 자세가 1번에서 쓴 글인데요.
저도 항상 그 자세를 염두해 두고 탔었죠.
하지만 항상 터지고 불안정해지고, 감을 못잡았었습니다.
문득 최근에 감을 좀 잡게 된 계기가..
타이밍별로 자세를 취하는건 중요하지만, 그것보다 더 중요한게 외부의 받는 압력을 잘 활용해야 댄다는 거였죠.
결국 카빙은 양쪽 좌우 펜스를 밀면서(횡력?) 그로 인해 얻는 에너지로 쭉쭉 밀고 나간다는건
체감으로 익혀야 겟다고 생각햇습니다.
그 결과 무릎굽히고 모을려고 용쓴 예전에서,
지금은 펜스쪽으로 데크를 찍고 밀친다는 생각으로 앵귤+인클을 쓰니까 알아서 자세가 취해지더라고요.
무조건 멋진 자세! 딱! 이렇게 취하는것보단,
엣지를 양옆 펜스에서 박으면서 밀치니깐 자세를 알아서 따라오고 취해지더랍니다.
당연히 이렇게 감을 잡으니깐 어느경사를 가도 자세가 급사에서 좀더 낮아질뿐 그리 경사에 대한 거부감이
사라지더라고요.
도움이 되셨음 좋겠네요
여기에 질문하신 글에 답변하실 깜냥이 되시는 분들은 헝글 활동을 잘 안하실겁니다.
3번에 대해서만 말씀드리면 그냥 한번 해보세요. 해보면 느낌오겠죠 나에게 맞는지 않맞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