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맨처음 배우기로는 있는힘껏 정강이가 움직이지 않도록 꽉 묶어 주라 배웠습니다...
그리고 몇번 타다보면 어느정도 정강이 부분이 유격이 생기더군요... 타는데는 지장이 없는데...
위험성을 배재 할수 없어서 다시한번 있는 힘껏 정강이있는 부분을 주먹으로 쳐가면서 꽉 묶어 버리고
피가 안통할정도로 묶은 다음 라이딩을 하고나면..... 허헉.....
정강이 근육이.... 마비가 옵니다... 근육통...& 쥐.... 걷기도 힘들정도로 아픔이 오는데요... 리프트 타는도중 발목을
꺽어주면서 아픔을 참고 계속 풀어주면 정상에가서는 어느정도 풀리더라구요... 그리고 다시 타고 내려오면.. 또 통증이....
부츠가 저에게 안맞는 건가요??? 아님 제가 무식하게 부츠를 꽉 묶은 건가요???
아님... 어느정도 유격정도는 괜찮은건가요??? 정확한 그리고 안정적인 부츠 묶은법..
끈부츠의 이상적인 묶는 법좀 알려주세요~ 뭐.. 부츠마다 특색이 있겠지만... 어느 정도 공통적인 부분만 알려주심
감사하겠습니다 고수님들~ ㅎㅎ
제가 어렵게 설명드렸네요.
일반적으로 부츠를 보시면 이너-내피를 조이는 부분이 있고,
아웃-외피를 조이는 부분, 두 가지로 조여주게 됩니다.
그래서 내피를 보시면 발등까지 조이고 정강이 부분은
벨크로-찍찍이로 고정시키는 부분이 있고요
(부츠에 따라서 끈으로 조이는 부분이 있습니다.)
외피를 조이는 부분은 끈으로 조여주게 되어있습니다.
다시 말씀드리면 내피와 외피를 단단하게 조이게 되면
피가 통하지 않아서 통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그래서 내피는 적당하게 조여주고, 외피를 단단하게 조이시면
발이 아프다거나 하는 부분이 적어질겁니다.
이너는 적당히, 아웃은 단단히 묶어주는게 좋은데
그게 힘드시다면 "스노우보드 부츠밴드"
로 검색하셔서 밴드의 도움을 받아보시는 것도 괜찮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