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사에서 베이직 카빙(기울기를 이용해 엣지로 타기)을 해보세요. 엣지 체인지 하면서 몸을 폴라인 아래로 넘겨주는 데 신경쓰시구요. 그다음 전향 자세에서 몸이 데크 위에 정확히 위치해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업, 다운을 해도 데크를 벗어나지 않게 하시구요. 머리를 노즈쪽으로, 엉덩일 테일쪽으로 위치하면 전향각에선 자연스레 왼발이 펴지고 오른발이 굽어져 K 자세를 이룹니다. 슬로프에서 천천히 S를 그리시면서 업다운을 계속 반복해 보세요. 다운하실 땐 프레스를 꾸욱 주는 느낌으로 해보시구요. 데크가 폴라인과 일치했을 때 프레스를 줄 수 있게 도와주는 연습방법이예요. 턴 초반부부터 프레스로 속도 조절이 가능하기도 하구요.
이제 이걸 연결해서 해보세요. 엣지 체인지 후 상체를 슬로프 아래로 넘기고(기울기를 이용해 상체 무게 중심을 반대로 던지기), 서서히 다운을 하며 프레스를 꾸욱 줍니다(기울기로 턴을 진입했지만 다운에선 앵귤레이션으로 바뀌어 밸런스를 잡아줍니다. 린아웃과 시선을 바로 잡아야 해요.). 턴 후반부에선 프레스를 풀어주어 턴이 더이상 말린다거나 터지지 않게 하시구요. 서서히 업하면서 상체 넘기며 엣지 체인지 하세요. 이때 신경쓰셔야 할 점은 업은 노즈쪽(폴라인에 가까운 엣지, 살짝 대각선)으로 하시되 턴에 들어서면 테일쪽으로 다운을 하시는 거예요. 업, 다운을 하면서 머리나 엉덩이가 데크 밖으로 나가지 않게끔 신경쓰시면 슬립을 줄일 수 있습니다. 잘 안되시면 베이직 카빙부터 다시 돌아가시구요. 테일이 덜덜 떨리며 털린다면 턴에 진입하며 테일쪽으로 앉는 것에 신경 써 보세요. 뒷무릎이 펴지면 전경이 되기 쉬우니 기본자세에서 굽혀진 정도를 계속 유지하시면 도움이 되실 거예요.(다운 시에 상체만 접는 경우가 있는데 그렇게 되면 뒷발 무릎은 펴진 상태여서 전경이 됩니다. 척추로 누른다는 느낌으로 다운하시면 상체와 양발 무릎이 자연스레 굽어집니다.) 물론 힘이 듭니다.
팀엣지 분들의 자세에서 눈여겨 봐야 될 것이 한가지 있어요. 앞발과 뒷발의 무릎 높이가 같습니다. 일반적인 레이싱 스타일이나 전향각일 경우 뒷무릎이 앞무릎에 비해 더 굽어져 있어요. 그 이유는 bbp 자세가 데크의 중심으로 다운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팀엣지는 테일쪽으로 깊게 다운자세가 들어가면서 양발 무릎 높이가 일치됩니다. 그만큼 후경이 들어가기에 상체를 눌러주고 앞발에 무게중심을 두려고 합니다. 프리 전향각 역시 팀엣지 스타일로 타시려면 후경에 무게 중심을 둔 기본 자세에서 상체로 누르며 다운언웨이티드로 타게 되면 비스므리 (?)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