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가입한 새내기입니다.
스키장은 이틀전에 난생 첨 가봤구요.

보드가 첫경험도 첫경험이었지만
느낀 점이 있어서 글 써봅니다.
아래에 비슷한 내용의 글도 있지만요.

사는 곳이 대구인지라 가까운 무주로 갔었구요. 지금도 삭신이 쑤시네요.
가고플 때마다 갈 수 있는 만만한 형편이 아니라서 본전 생각 안나도록,
인터넷에서 동영상 강좌를 보면서 이미지 트레이닝을 엄청나게 했습니다.

스키장 도착해서 옷이랑 장비대여하고, 바인딩을 묶는데 리쉬코드가 없었습니다.
동영상에서는 분명히 묶으라고 되어있었는데 없어서 의아했습니다.

설원(?)으로 나가서 한쪽발 묶고 평지 트레이닝 하려고 그러는데,
친구들이 리프트 타자고 줄서자고 하네요.
나는 평지트레이닝 해야겠다 하니깐, 올라가도 평지 있답니다.

스케이팅 못하는데 리프트 어떻게 타고 내리지, 걱정하고 있는데
(동영상 강좌에는 보드를 안고, 리프트에서 달려내려오는 걸 못봐서요)
사람들이 전부 보드를 들고 있습니다.
토요일이라 사람이 엄청 많았는데, 스케이팅으로 리프트 오르는 분 하루종일 3분 정도 봤습니다.

그리고...

리프트가 슬로프를 가로지르면서 올라갈 때는 말그대로 식겁했습니다.
나도 모르게 데크 잡은 팔에 힘이 들어가네요.
리프트가 슬로프 곁길을 올라갈 때는 종종 그물도 있던데...
가로지를땐 아무것도 없는 게 지금도 이해가 안됩니다.

리프트에서 어떻게든 내려서 그나마 평평한 곳에서 스케이팅 연습하는데,
친구가 그런 거 다 필요없다고 그럽니다.
그래도 잠시 해봤는데... 스케이팅도 어려웠습니다.
여차저차 동영상 떠올리면서 낙엽까지 익히고왔지만,
스케이팅은 아직도 잘 못하겠습니다.

꼭 바인딩하고 리프트에 오르는 게 아니더라도,
최소한의 안전장치는 있어야한다는 게 제 생각입니다.
꼭 리쉬코드를 부츠에 매달지 않더라도,
등산장비 매다는 클립처럼...
원터치로 쉽게 몸에 매다는...
(예컨데 군대에서의 총기 피탈방지끈 처럼...)
그런 안전장치 정도는 쉽게 만들 수 있을 것 같거든요.

여기가 무슨 보드 장비만드는 회사도 아니고...
이런 말 하는 게 웃기지만~
관련 업무에 종사하시는 분이 계신다면
한번 힘써주시면 좋겠습니다.

괜찮은 제품 있다면...
보드복도, 데크도, 바인딩도, 부츠도...
아무것도 없는 저라도 구매할 의사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제부터는 여담인데요...

무주의 설천베이스쪽 초보 슬로프인 스피츠 하단을 딱 한번 내려왔는데,
친구가 만선쪽으로 넘어가 보잡니다.

거긴 중급이라서 안된다고 그랬더니,
초급이나 중급이나 비슷하답니다.

그래서 쌍쌍 리프트 타고 루키힐 슬로프를 벌벌거리며 내려왔는데...
제가 너무 늦으니까 친구가 먼저 리프트를 탔네요.

저는 슬로프 내려오자마자 보이는 리프트를 타면 되는 줄 알고
그냥 줄서서 탔는데... 상급 슬로프인 레이더스 하단까지 올라갔습니다.

초보자 탑승금지 이런 문구도 봤지만,
중급 슬로프에도 붙어있는 경고문구인줄로 착각했던 게 대실수였지요.

스키장 첨가서 상급자 슬로프에서
사이드 슬립하려다 컨트롤 놓쳐서 활강당해버린(?),
초보자의 공포는 아무도 모르실거에요... ...
미칠듯이 내려오다가 엉덩이 대충 깔고 눕다시피 넘어졌는데
누워서도 한참을 내려갔습니다.

나중에 친구랑 얘기해보니...
친구도 거긴 한번도 올라가본 적 없다고 그러네요...

혹시 초행길인 친구랑 스키장 같이 가게 되면
부디 잘 챙겨주세요~
가르쳐주느라 맘껏 보딩도 못하고 심심할수도 있지만
정성스레 가르쳐놓으면 훨씬 빨리
같이 신나게 보딩할 수 있는 동반자로 성장합니다.


PS. 점심먹고 오후부터는 혼자 초보 슬로프에서 놀았습니다-_-;;
엮인글 :

쎈세이

2007.12.10 13:15:57
*.68.85.176

원래 리쉬코드는 바인딩 사면 들어있는데 우리나라 정서상 안하는겁니다.

보드복 바지 하단에 보면 리쉬코드랑 연결되는 고리가 거의다 있습니다.

그런 모습을 보면 아직 스노보드 선진국으로 가기에는 거리가 있죠...

리프트에 데크 올려놓고 타는 곳은 한국밖에 없을겁니다 ㅎㅎ

그래서 저는 리쉬코드 해요 ^^;

[...]

2007.12.10 13:34:56
*.163.248.121

슬로프를 가로지르는 리프트 밑에 그물망이 없는 이유는 그물망에 고드름이라도 얼어버리면 더 커지기 전에 떼내야 합니다.
행여나 그 날카로운 고드름이 슬롭위로 떨어진다고 생각해보세요.
그러나, 보시다시피 설치해야할 위치가 사람이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곳에 있다보니 다른곳엔 설치해도 슬롭위엔 없습니다.

RedHoodBoy

2007.12.10 14:53:57
*.36.44.130

우리나라 리프트 대기줄이 길면 길수록 바인딩 묶고 타는덴 어려움이 있죠.. 여기 치이고 저기 치이고 줄 새치기 당하고
그러다 보니 보드를 들고 앞으로 밀착 하는 겁니다..
단... 리프트가 슬로프를 가로 질러 갈때는 반듯이 묶고 타게 해야 겠지요..
양지의 경우도 오렌지,블루 같은경우는 들고 탈수 있지만
옐로우나 그린, 아베크, 첼린지의 경우 슬로프를 가로 질러 가기때문에 바인딩을 묶고 타게 하고있습니다..

당근쥬스

2007.12.10 19:43:13
*.227.148.140

[...]님/ 제가 미처 몰랐던 사실이네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근데... 그물망에 매달릴 고드름만큼이나, 언제 떨어질지 모르는 보드도 위험한 것 같습니다.

RedHoodBoy님 말씀은 공감합니다.
무주도, 슬로프를 가로지르는 리프트를 탈땐 적당한 조치를 취했으면 좋겠습니다.

내보드복=야상

2007.12.10 20:14:37
*.136.78.165

저도 떨어지는 보드에 맞을뻔한 적이 있어서리....

그런데 보드 떨어뜨리는건 부주의가 가장 큰 문제입니다...

전 슬롭 거의 다 내려와서 어케 하다 보니 리프트 기둥 근처(한 10미터는 떨어진곳)에서 잠깐 친구 기다리고 있었는데 누가 '조심해요' 라고 소리 치길레 봤더만 위에서 보드가 떨어지더군여....

다행이 맞진 않았는데 보드 슬로프따라 흘러가길레 졸라 따라가서 보드는 멈춰 세웠는데.... 나중에 보니 떨어뜨리신 분이 여잔데....

장갑도 안끼고 리프트위에서 보드를 들고 있었다고 하더군여... 어이가 없어서....

그렇게 부주의한 분들이 리쉬코드 있다고 제대로 묶고 다닐까요? 게다가 리프트 등에서 떨어뜨리는 경우에는 강한 힘으로 한번 팅기기 땜시 엉성하게 만들어진 리쉬코드가 대부분인 상황에서 별로 믿음이 안간다는....

글구.... 글 쓰신분.... 저런 친구들한테 보드 배우시면 안됩니다.... 전 항상 친구들 보드 갈쳐주면 스케이팅먼저 가르치는데.....

스케이팅이 얼마나 중요한 기술인데 다덜 안가르치는지 모르겠네여...

한냥보더

2007.12.10 22:19:07
*.154.179.210

스케이팅! 전 멋져보여서 3번째 보딩엔가...그냥 대충 눈대중으로 익혔습니다. 나름 체육은 항상 양, 가 였는 데..(*__;;;
스케이팅 잘하시는 분들이 주위에 많이 보인다면!!!
많은 분들이 따라하지 않을까요?^_^;;;

갠적으로 스키보다 보드를 타는 이유는 간!지! 때문이라.ㅎㅎ;;

다들 스케이팅 간지나게 베이스를 돌아다닙시다!!

123

2007.12.10 22:29:10
*.183.62.92

첫날부터 스케이팅을 배운 보더로서..
정말 이거 필요합니다..
들고타는건 다른사람 총대로 겨누고 있는거랑 똑같습니다.
잘생각해보세요..
매고타는거 어렵지 않습니다..
단지 탔을때 발등의 압박과 서있을때의 긁힘 만 쫌 참으시면 됩니다..
전 참고로 친구들 보드 첨 가르킬때 스케이팅부터 가르침니다,.

곰탱이푸우

2007.12.10 23:57:05
*.121.2.71

보드를 들고타도 바인딩과 안전바에 딱 끼우고 안떨어지게 걸쳐서 잡고 타는분이 있는 반면에 -_- 생초보들은.. 베이스 부분을 안전바쪽으로 향하게 하고 탑니다..(간혹) 그러다 움직이는 리프트에서 살짝쿵..
미끌려서 떨어뜨린분 제 옆에 있었습니다 (아마두 기억상 회사 단체로 오신 여성분이였습니다 ) 천만다행인게.. 실크 하단에서 리프트를 타면 아래가 걍 계속 입니다 그나마 다행이였죠...

탈옥뚜

2007.12.11 00:28:23
*.15.51.219

리쉬코드.... 바인딩사면 설명서하고 같이 끼어져 있더군요. 처음엔 저도 이게 뭔가 했습니다
매장직원도 설명도 안해주고 이건 필요 없는거라고 하더군요
리쉬코드...즉 안전과 관련된 인식자체가 잘못되어있지 않나 생각해봤습니다.

Priority

2007.12.11 05:02:02
*.123.175.245

초보때 친구말 듣고 상급 올라갔다 기어 내려 온 기억이 없는 사람이 몆이나 돼겠습니까 ㅜㅜ;; 여튼 저도 스케이팅은 꼭 필요하다고 봅니다. 그리고 가끔 외국에서는 사람이 없어서 그렇다 하시는 분들, 평일, 그리고 동네 사람들이 자주 찾는 스키장 가보세요, 한국처럼 줄이 길지는 않지만, 줄이 빽빽한건 마찬가지 입니다. 그런데도 스케이팅 하면서 타구요. 그리고 또 외국 한다고 한국에서 까지 따라해야 하냐고 하는 분들... 이런 분들은 정말... 어찌 구제할 방법이 없는 분들이네요 -_-;;

당근쥬스

2007.12.11 09:00:31
*.227.148.140

정말... 안전에 대한 인식이 좀 달라져야할 것 같습니다.
저도 보드 잘 타게 되서 다른 친구 가르칠 입장이 되면~ 꼭 스케이팅부터 가르치도록 할게요~

그리구... 줄 길어서 보드 들고 가는 건...
스키어들도 긴 스키 신고 있는 걸 봤을 땐, 그리 문제가 안되는 거 같아서요~
데크 찍히는 게 문제지만... 저도 담에 갈땐 스케이팅 연습해서 신고 타겠습니다~

그냥

2007.12.11 09:50:39
*.131.231.50

그냥 꽉 잡고 탑시다!!

신경쓰고 자나깨나 안전생각 하며,,,

이래저래 위험한거 타지면 보드뿐만 아니라 사람도 떨어질수 있습니다.

전 스케이팅 안하는 이유는 스케이팅 하나 누가 쳐 받으면 무릎 돌아갈까봐 안합니다..

조심해야 되는데....조심하기전에 보드장에 사람이 너무 많습니다.

그래서 지금은 별로 가고 싶지 않습니다...옛날 롤라장도 아니고 ....

그냥

2007.12.11 10:36:17
*.131.231.50

나도 모르게 댓글을 달았다만,,, 근데 이게 무슨칼럼인지....

잘가르친 초보 나중엔 동반자가 될수 있다!! 란 주제의 칼럼인가..

Grumbler

2007.12.11 13:47:00
*.52.18.135

리쉬코드는 그리 꼭 안하셔도 됩니다...다만 꼭 바인딩을 꼭 끼고 스케이팅을 한다는 전제하에 입니다....
외국도 미국이나 캐나다는 리쉬코드 거의 안합니다....스케이팅 한다면 그리 필요는 없습니다...
예전에 스텝인 바인딩을 때는 반드시 해야 했지만 .....요즘은....이렇게 따지면 스키가 더 필요하죠....넘어지면 그냥 스키만 날가가는데....
암튼 꼭 다음엔 혼자라도 스케이팅 연습하시구요...친구분 같은 분들 때문에 사고 납니다....실력에 맞는 슬로프 꼭 이용하시구요....
우리나라 스키장만 사람 많다고 하시는데...저쪽도 주말 날씨 좋은날은 리프트 30분씩 기다려서 탑니다....사람 많다고 벗고 기다리는건 말이 안됩니다....
그럼 스키어도 벗고 줄섭니까? 왜 유독 보드만 벗습니까? 스키도 같이 벗던지...길면 스키가 더 길지 짧진 않죠....더더욱 폴도 휘두르는 판에...
이건 말도 안되는 핑계입니다..
그리고 최소한 무릅 보호대는 하고 타세요....

2007.12.11 16:13:41
*.50.8.59

그 친구분들과 타시는 것도 좋지만, 좀더 제대로 된 강습을 받아보시는 게 본인스타일에 잘 맞을 것 같네요.
제 경우엔 스케이팅도 하고 리쉬까지 매는 편인데(소심해서^^), 보통 보드타는 사람들 가끔 바인딩이 헐겁지 않은지 확인하는 정도만 확인하면 리프트 타면서 데크가 바인딩에서 떨어질 위험은 없을테니 리쉬까지는 꼭 안하셔도 될 듯 합니다. 물론 하면 좋겠죠.
전 별로 신경 안쓰지만, 리프트 대기줄에서 데크에 흠집나는 거 신경쓰이시면 바인딩채운 발을 토우엣지로 박아서 기다리면 흠집이 좀 덜 날겁니다.
근데 아예 신경 안쓰시는게 좋습니다. 어차피 타다보면 여기저기 부딪치고 상처나는게 데크잖아요.
남들 안전 신경안쓰고 곱게곱게 안고 모셔봤자, 십년쓰는거 아닙니다.
데크 떨어뜨려서 한사람 다치게 하면 그 데크 10장 값 정도 우습게 나갑니다.^^

그리고, 보드장에서 폼나는 사람은 보드 잘타는 사람이지, 깨끗한 데크 타는 사람이 아니라는 거.^^

호랑이기운

2007.12.11 19:20:57
*.178.147.247

Grumbler/ 딴지는 아니고요.. 그냥 지식의공유(?)차원에서..^^;;;
스키같은 경우는 딘수치로 적용이되는 자동이탈바인딩시스템이구요, 이탈과 동시에 베이스면에 물려있던 스토퍼가 나오지요. 그래서 스키는 이탈이되어도, 보드처럼 혼자 질주하지 않는답니다^^

Grumbler

2007.12.11 23:48:36
*.52.18.135

호랑이기운님 하하 잘못된거 잘 지적해 주셨습니다....스키 타본지가 하두 오래되서 그새 까먹었네요.....바인딩이 분리 되면 밑어서 스토퍼 나오는걸 깜빡했네요......ㅋㅋ...순간 무식이 탄로 났네요....스토퍼 없는 숏스키 몇년전에 타보곤 그뒤로 관심도 안가지다 보니, 정작 정식 스키 생긴걸 까먹었네요.....한가지만 파다보니 이런 무식을.....

BONO

2007.12.12 01:07:11
*.74.96.45

스케이팅으로 리프트 내리다가 엎어져서 그만둬버렸는데..-_-;;;
이번 시즌엔 스케이팅을 배워봐야겠네요 ㅋ

정녕..

2007.12.12 04:31:49
*.115.51.170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저 밑 186개의 리플들이 맘에서 떠나신겁니까?

ㅉㅉㅉ

제시켜알바

2007.12.12 13:22:09
*.128.224.23

당연히 묶는게 원치기이지만 우리나라 스키장이 여의치 않다보니 생기는 일이죠.
워낙에 줄이길다보니 30분씩 한발 묶고있기도 힘들고,
줄도 다닥다닥하다보니 도리어 매고 있는게 주변분들에게 걸리적거려 피해를 주게 되더군요.

동현이닷

2007.12.12 16:26:49
*.248.182.218

호랑이기운님// 저도 태클은 아니구요 ㅅㅅ.
오래되서 그런건지 어쩐건지는 모르겠는데 질주하는 스키한짝 봤어요.. ;; 무섭더군요...
보드위를 지나 점프도 하고.. ㅎㅎ 뭔가가 이상한 부분이 있어서 그렇겟지만...ㅅ.ㅅ

발케노

2007.12.12 18:35:59
*.211.202.72

스키가 분리됐을때 가끔 스토퍼가 안나오기도 합니다 ^^; 그럼 스키한짝 질주 고고씽

당근쥬스

2007.12.12 19:23:33
*.227.148.140

와~ 스키는 스톱퍼라는 게 나오는군요~ 뭔가 멋지네요;;
보드도... 분리되는 순간 철커덕 하면서 뭔가 나온다면 멋질 듯 합니다^-^;; ;;

호랑이기운

2007.12.13 02:51:47
*.214.217.159

Grumbler/
아뇨^^; 그럴 의도가 아니였습니다. 정말로 지식의(?)공유차원이었으니, 기분안상하셨으면,,^^;

동현이닷,발케노/
아마도 정비안된 렌탈스키일겁니다.
우리 보드 이상한거보면 렌탈보드이듯이, 스키도 렌탈스키가 좀 이상한게 많습니다.
스키의 스토퍼란게 스프링으로 되어있어 그위에 부츠(사람의 무게)로 누르고 있다가 이탈되면 스프링이 복귀되면서 펴지는 것이라 당연히 100%펴지는게 맞구요,
허나 스토퍼 팁 끝에 갈고리가 보통 프라스틱재질인데 이게 무뎌졌던지, 아닌 스토퍼자체의 스프링이 연해져서 제구실을 못한경우를 보신듯 하네요.
일반 정상스키라면 이탈시 스스로 멈춘답니다.
그리고..... 이것도 역시 딴지가 아닌 지식의(?)공유차원이니, 너그러이...^^;

얼렁뚱땅

2007.12.13 14:49:45
*.88.234.205

모든 프로들의 강좌동영상이나 모든 스포츠의 정석 플래이를 보면
항상 기본이 중요하다고 들 하죠 ^^
바로 안전입니다 나를 생각하기 보다는 남을 배려하고 생각 한다면 남 또한 나를 배려 생각 하겠죠./.
모든 일에는 안전이 최우선 입니다..
리쉬코드가 유행한다면 우리나라 정서상 아마도 100이면 100 다 착용할겁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8305
1812 일반 [중급자] 힐턴 카빙이 더 어려운 이유 [51] 몽블랑설 2007-12-13 22 14244
1811 장비 튜닝 나도 해보자~!! 캐픽스 헬멧 튜닝 도색기 (B... [10] 밭에서컸다 2007-12-12 45 5062
1810 기술(테크닉) 지빙시 프론사이드, 백사이드에 관해... [17] 지빙콜 2007-12-12 74 4136
1809 일반 한국 초창기 스노우보드의 작은 역사... [24] Ricky 2007-12-11 56 8814
1808 장비 튜닝 케픽스튜닝2 (미키마우스) [15] 김번영 2007-12-10 27 4817
» 의학,부상,사고 리프트 탈때 보드 들고 타는 것에 대해 [25] 당근쥬스 2007-12-10 9 6562
1806 헝그리 캠페인 작은 실천. 큰 기쁨 talk play love [11] 2007-12-10 36 3190
1805 초보를 위한 강좌 라이딩..그리고 초보의 접근법 &스위치라이... [20] 2007-12-09 39 6908
1804 장비 튜닝 캐픽스에 스피커 이식수술...-.-;; [10] JB 2007-12-06 46 5432
1803 장비 튜닝 바인딩 도색-실패기 [8] 보드앙마 2007-12-06 52 6428
1802 장비 튜닝 캐픽스 나름도색~!( 스텝 차일드 S*T) [4] 인생한방JT 2007-12-06 28 4893
1801 장비 튜닝 케픽스튜닝 (도라에몽^^) [29] 김번영 2007-12-05 47 4926
1800 장비 관련 장비구매시 중복투자를 최소화 하는법. [16] 이남자의순정♬ 2007-12-04 15 5826
1799 기타 * 장터에 사진여러장 올리기* [4] 시티헌터 2007-12-04 92 2992
1798 헝그리 캠페인 보드장에서 이런건 안됩니다!! [28] .. 2007-12-04 63 7229
1797 헝그리 캠페인 리프트 탑승 시 데크를 들고 타는 것에 대해... [196] 호랑이기운 2007-12-02 36 13127
1796 헝그리 캠페인 초보친구 데리고 오시는 고수분들께(특히 동... [31] REDorDEAD 2007-12-01 49 8811
1795 일반 라이딩이 부족한 분들에게 드리는 같잖은 말씀. [31] 하아하아 2007-11-30 40 11407
1794 일반 장안의 화제 '고카' 바람 [28] 푸른볼펜연필 2007-11-30 44 7263
1793 헝그리 캠페인 야간운전시 운전매너 [57] 눈아파 2007-11-27 25 5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