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야할 일이 많을 수록 잡생각이 많이 나죠...
회사에서 밤새며 캐드 작업을 하던 중 문득 보드의 회전반경을 구할 방법이 생각나서 정리해봤습니다. ㅎㅎ
아래 그림과 회전반경 계산은 CAD가 해주셨습니다.
일단, 가상의 보드 스펙은
유효엣지 1.2m, 사이드컷 래디우스 7.5m 입니다.
아마도 많은 분들이 이정도 스펙의 보드를 갖고 계시리라 생각됩니다.
위 그림을 보시면 대충 감이 올것입니다.
제가 궁금했던 것은 보드를 기울이는 각도와 회전반경의 관계입니다.
보드가 그리는 회전반경을 구하기 위해
보드의 유효엣지 양 끝단과, 허리의 가장 잘록한 부분의 3점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기 위해 보드가 얼마나 휘어야 하는지를 그려보았습니다.
계산하는 방법은 지루하니 생략하겠습니다. 그림을 보시면 어떻게 계산했는지 감이 오실것입니다.
사실 계산한건 아니고..(계산 못합니다.^^;) 무식하게 캐드로 그린후 값을 찍어본거죠.
수학 전공하신분 계시면 계산 좀 해주세요.^^
15도는 초보자들이 보통 구사하는 각도라고 봤고,
45도는 상급자들의 턴이 되겠으며
60도는 거의 극한 값이라고 생각되는 각도입니다. (더 세울수 있는분도 계실까요?ㅎㅎ)
15도 정도 기울였을 때에는 보드의 사이드컷 래디우스와 거의 같은 크기의 호를 그립니다.
기울기가 커질 수록 호의 크기는 급격히 작아지죠.
45도 에서는 반지름 5.3m의 호를 그리는군요.
여기서 자세한 수치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어차피, 제가 계산을 간단하게 하기위해 이상적인 상황을 설정해 구한 값이니까 실제와는 좀 차이가 있을 것입니다.
게다가 눈에 줄자가 달린 것도 아니고, 내가 그린 호가 반지름이 얼마인지 알 수도 없죠.
.......
새벽 5시가 되가니 정신이 몽롱하고...
무슨 얘기를 하려고 이 글을 시작했는지 까먹었네요...ㅡ,.ㅡ;;;
오늘은 이만...조만간 내용을 보충하겠습니다....죄송...^^;;;
이상 허접한 미완성의 칼럼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