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글게시판 이용안내]

불안하다

조회 수 2771 추천 수 1 2016.06.19 13:18:56
     

내년까지 갚아야 할 은행 해외채권 40조원 넘는다

美 금리인상 땐 큰 부담..외화유동성에도 '빨간불'


연합뉴스 | 입력2016.06.19. 07:08 | 수정2016.06.19. 11:11         


(서울=연합뉴스) 김현정 기자 =


올 하반기 중 미국의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는 가운데 내년까지 돌아오는 주요 은행들의 해외채권 만기액이 40조원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해운업종 구조조정 여파로 신용등급 강등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미국 금리가 올라가면 은행들의 외화유동성에 빨간불이 켜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내년까지 갚아야 하는 수출입, KDB산업, KB국민, 신한, KEB하나, IBK기업 등 6개 은행의 해외채권만 37조1천100억원어치에 달한다.


20160619070802104rkgj.jpg


올해 안에 13조2천300억원, 내년에 23조8천800억원이 몰려 있다.


은행별로 보면 특수은행인 수출입은행과 산업은행은 연내 만기 채권을 각각 2조7천800억원과 3조9천500억원어치 들고 있다.

내년까지 만기 채권액은 수출입은행이 10조9천800억원, 산업은행이 8조원이다. 기업은행은 2조4천800억원 규모다.

시중은행들은 해외채권 발행총액의 3분의 2가 앞으로 1~2년 안에 만기가 집중됐다.

내년까지 만기가 되는 해외채권은 하나은행이 6조9천200억원으로 가장 많고, 그다음이 신한은행 4조4천800억원, 국민은행 4조2천300억원 순이다.


이 밖에 농협중앙회는 2조9천300억원, 수협중앙회는 3천522억원, 부산은행은 8천800억원의 해외채권 만기가 내년에 돌아온다.

이 액수까지 감안하면 내년까지 국내 금융사의 해외채권 만기액은 40조원을 훌쩍 넘어간다.

올 하반기에 미국이 금리를 또 올리고 그 여파로 달러 자산이 국내에서 이탈하는 추세가 나타나면 은행들의 해외채권 상환능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은행권의 한 관계자는 "국내 금리가 떨어지는 상황에서 미국 금리가 오르면 국내에 투자된 외국자금이 빠져나갈 여지가 커진다"며 은행들의 외화 유동성에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사전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런 배경에서 금융당국은 외화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Liquidity Coverage Ratio)을 내년부터 모든 은행에 적용하기로 하는 등 은행들의 외화유동성 관리에 나섰다.


LCR는 은행이 보유한 미국 달러, 국공채 등 현금성 외화 자산을 외화유출 상황에서 30일간 유출될 외화순유출량으로 나눈 값이다.

이 지표가 높을수록 위기 상황에서 은행이 대응할 수 있는 여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가운데 해운·조선업종의 구조조정 여파로 해외 자금조달 시장에서 국내 은행들의 신용도가 하락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해외 신용평가사들이 신용등급을 내리면 자금조달 비용이 커지는 것은 물론이고 해외 시장에서의 차환이 이전보다 여의치 않을 수 있다.


국제신용평가사인 무디스는 지난 4월 우리은행 등 국내 7개 은행의 신용등급 또는 신용등급 전망을 한꺼번에 낮췄다.

국내 기업들의 수출이 부진하고 취약업종 구조조정으로 부실채권 부담이 커질 것이란 전망에서다.

무디스는 우리은행의 신용등급을 'A1'에서 'A2'로 한 단계 낮추고 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아울러 부산, 대구, KEB하나, 경남, 신한 등 5곳에 대해선 기존 등급을 유지했지만 등급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조정했다.

향후 등급 강등 가능성을 예고한 것이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와 피치(Fitch Ratings)도 기업 구조조정을 진행 중인 국내 은행의 신용등급을 전면 재검토하기로 했다.

이는 해외발행 채권 대부분을 차환하려는 국내 은행들의 계획에 차질을 야기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한편 국내 신평사들도 은행들의 신용도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다.


이혁준 나이스신평 연구원은 "은행권이 대우조선해양 등 부실화한 기업들에 대한 위험노출(익스포저) 여신을 대부분 정상여신으로 분류해 충분한 충당금을 적립하지 않았다"며 "은행권의 실질적인 수익성, 자산건전성, 자본적정성이 외견상 지표보다 훨씬 열위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그는 "올 2분기부터 여신 건전성 재분류 및 충당금 추가 적립이 불가피하다"면서 일부 은행의 분기 적자 등 수익성 악화를 예상했다.

khj91@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 주소  http://v.media.daum.net/v/20160619070802815    
엮인글 :

스와치

2016.06.19 22:41:32
*.213.127.97

불안이라.. 잘 헤쳐나가야 할텐데

맨탈리스트

2016.06.20 06:09:25
*.224.114.2

국책은행 관리 개판으로 해놓고 양적완화까지 주장하는 무리들이 국가를 장악하고 있으니 걱정스러울밖에...

lindt

2016.06.20 13:11:59
*.50.175.213

양적완화같은 소리하고있네요 하.. 누굴 다 죽일려고

홍이^^gg

2016.06.21 02:02:08
*.151.86.27

국민 등골이나 빼먹을 생각만하는건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펀글게시판 이용안내] [13] RukA 2017-08-17 65605 9
27669 아재 개그 [8] DarkPupil 2016-06-20 7862  
27668 다리씨름........ file [14] o뒤꼽이o 2016-06-20 8985 2
27667 남자가 결혼하면 좋은점........... file [10] o뒤꼽이o 2016-06-20 4362 2
27666 신기한 나무............ file [7] o뒤꼽이o 2016-06-20 2601  
27665 호랑이도...... file [11] o뒤꼽이o 2016-06-20 2742  
27664 김하나 전신노출...... file [4] o뒤꼽이o 2016-06-20 3727  
27663 6월 20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들 [3] DarkPupil 2016-06-20 1123 5
27662 딸에게 절대 사주면 안되는 장난감 [4] 바를린 2016-06-19 3211  
» 불안하다 [4] 가방끈 2016-06-19 2771 1
27660 수영장 물 다 퍼먹을 기세 [2] 보드매니아♡ 2016-06-18 3134  
27659 자식 공부시키려는 특단의 조치 file [2] 보드매니아♡ 2016-06-18 3111  
27658 안전벨트를 해야 하는 이유 file [5] 보드매니아♡ 2016-06-18 3060 1
27657 단체사진 한방 먼저 찍을께요 file [3] 보드매니아♡ 2016-06-18 2843 1
27656 학생 안내리고 뭐해 file [4] 보드매니아♡ 2016-06-18 2701 2
27655 노아의 후예 [2] 가방끈 2016-06-18 2685  
27654 액체설 file [4] OTOHA 2016-06-18 3036  
27653 그.. 그게.... file [6] OTOHA 2016-06-18 2748  
27652 뒤가 구렸으니 성낸거였구먼.. file [8] OTOHA 2016-06-18 3118 3
27651 태공 여러분의 필쑤 아이템! file [9] OTOHA 2016-06-18 2683  
27650 본전손실 file [6] OTOHA 2016-06-18 2745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