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유지
2016.08.28 00:35:59 *.130.242.23
누진'세'가 아니라 누진'제'입니다. 전기요금은 세금이 아니니까요.
겨울에도 마찬가지로 많은 양의 전기를 사용하면 누진제 적용대상이 되서 전기요금 폭탄 맞습니다.
일반 가정에선 별로 없고, 가끔 전원주택이나 별장, 주말주택에서 바닥 난방을 전기패널로 하는 분들이 있는데 보일러 쓸 때처럼 후끈거리게 해놓고 며칠 쓰면 엄청 때려맞습니다.
2016.08.28 01:19:27 *.70.14.116
2016.08.29 09:59:13 *.44.25.226
지열 보일러는 설치시 비용이 많이들어가기때문에 어느정도 혜택이 돌아가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지인분이 이번에 집짓는중이신데 지열보일러 설치하는데만 8천이던가? 들어가신다고 하더라구요
초기 비용은 많이들지만 뭐 앞으로 평생 거기 사실 예정이라 나중을 생각해서 투자하신다고 하시더라구요
2016.08.28 05:39:21 *.200.84.91
보일러는 대부분 심야 전기 많이 써요.
계량기를 따로 달아서 심야 시간대에만 전기를 공급해서 큰 물탱크에 물을 끓여 놓고,
그걸로 하루종일 난방도 하고 온수도 쓰고...
심야전기는 가격도 일반 전기보다 싸고 누진제 적용도 안되요.
2016.08.29 15:41:37 *.192.69.163
예전에 홈쇼핑에서 판매한 전기난로때문에 전기요금폭탄 맞은사건 생각나네요.
구입한 소비자들이, 홈쇼핑설명만 믿고 몇천원 추가되는줄 알고 있었다가, 난방비 아끼려고 구매했는데 뒤통수맞은 사건이요.
누진'세'가 아니라 누진'제'입니다. 전기요금은 세금이 아니니까요.
겨울에도 마찬가지로 많은 양의 전기를 사용하면 누진제 적용대상이 되서 전기요금 폭탄 맞습니다.
일반 가정에선 별로 없고, 가끔 전원주택이나 별장, 주말주택에서 바닥 난방을 전기패널로 하는 분들이 있는데 보일러 쓸 때처럼 후끈거리게 해놓고 며칠 쓰면 엄청 때려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