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년에 보드 한번타고 올해부터 제대로 타볼려고합니다
시즌시작전 유투브같은데서 단계별로 마스터해야할 턴동작의 짧은 동영상을 보고 기초적인 턴동작 이미지 트레이닝좀 할려고하는데요 ㅋㅋ...
보드의 경우 입문부터 최종적인 턴동작에 이르기까지 마스터해야할 턴동작의 단계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우선 스탠딩과 브레이킹을 마스터합니다.
그리곤 낙엽이라 불리우는 힐턴을 마스터합니다.
낙엽만 마스터해도 사실상 최상급슬로프까지 모두 정복가능하니 슬로프 경사도는 제외하고 말할께요.
낙엽만하다보면 슬쩍슬쩍 토턴도 해 봅니다.
이제 낙엽과 토턴을 붙여서 S자를 그리기 시작하고요~
숙달될 수록 S자 반경이 점점 줄어들면서 롱턴에서 숏턴으로 진화 합니다.
카빙은 뭐...따로 할거없이 턴의 숙련도가 높아질 수록 자연스레 자세는 점점 자연스러워지면서(거만해지면서)
슬슬 엣지가 섭니다. 그러다보면 카빙 완성.
여기까지가 기본적인 라이딩스킬이고 확장판으로 넘어가 본인이 생각하는 모든 것을 구현하시면 됩니다.
강습 커리큘럼에 따라 용어가 조금씩 달라서... 그냥 보통 쓰는 용어로 강습과정을 대충 말씀드리겠습니다.
장비착용훈련 - 평지훈련 - 스케이팅 - 사이드 슬리핑 - 펜듈럼 - 트레버스 - 하프턴 - 베이직턴 - 너비스턴 - 슬라이딩턴
(슬라이딩턴 이후로는 컨트롤 방식이 슬라이딩턴과 카빙턴으로 구분)
요 정도 순서입니다.
강사분들마다 용어가 조금씩 다른 부분은 있어요. 베이직턴을 비기너 턴이라고 부른다던지,
펜듈럼과 트렛버스를 딱히 구분하지 않는다던지, 혹은 자기만의 훈련방법을 중간에 끼워넣는다던지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