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
집 소파에서 널부러져 봤으니 "관람"이라는 각잡힌 단어가 적절치 않을 수도 있겠습니다만..
개인적인 소감으로는 T. Rice가 나이도 있고 하니 너무 폼을 잡으려고 하는 경향이 심해지는게 아닌가 합니다.
That's it, that's all이 벌써 9년 전 작품이니, 청년이 아저씨가 되기에 충분한 시간이긴 한데요.
음악도 그렇고 내용도 그렇고 너무 진지한 척을 합니다.
여기서 진지한 척이라고 한 건... 나름 물의 상태를 단계로 나눠서 생명의 순환이라는 주제를 담으려고 한 거 같은데,
그냥 쫙 내려깐 목소리로 나레이션만 몇 번 쳐주고 영상 전체에는 별로 저 주제라는걸 느낄 수가 없어요.
사실 백컨트리 타는 모습이 대부분인 영화에다가 저런 주제를 담는다는거 자체가 사실 말이 안된다고 보기 때문에, 그냥 저런 폼을 안 잡는게 좋지 않았을까... 하는거죠.
게다가 "스노보드는 내 인생"이라는 소리도 너무 많이 들었더니 물릴 지경.. 여기에다 더불어 이제는 거물중에 거물이 되었다보니 주변인물들의 후빨이 영상 전체에 가득합니다.
등장인물들의 대사란게 T.Rice 형은 자신이 얼마나 강철같은 인간이며 집착이 강한지 어필하는거 뿐이고, 주변인물들 대사는 T.Rice가 얼마나 대단한 인간인지에 대한 후빨밖에 없어요.
그러다보니 결국 남는건 멋진 영상 뿐인데, 이나마도 art of flight에서 나온거랑 별 차이도 없거든요?
영상 자체가 증-말 지루합니다.
지금까지 스노보드/스키 관련 영상물 중에 제일 기억에 남는게 Supervention인데, Supervention이 좋았던 점은, 충격적인 초반 인트로 후에 이어지는 기가 막히는 영상미는 물론이고, 구도자에 가까운 백컨트리 스키어/스노보더들과, 어반 스트릿 보더/스키어들을 교차편집으로 보여주다가, 마지막에 그들이 다 모여서 파크에서 뛰어노는 모습을 조화시킨 밸런스입니다. 그리고 쓸데없이 폼잡는 대사도 없고요.
여튼 좀 실망했습니다. 연출을 한 감독이 문제였던건지..
ps. 영화라는 상관 없는 이야기긴 한데, 2010년 동계올림픽 떄 자신의 불기둥에 동메달을 걸고 파티를 하다가 조기귀국한 스노보더가 Scotty Lago였더군요. 당시 뉴스에서 얼핏 본적은 있는데, 그 사람이 이 사람일거라고는 생각을 못했었습니다 ㅋㅋㅋ..
트레일러 영상 보고 4K 감상용으로 괜찮겠다 싶어서 어제 저녁에 바로 결제하고 시청했는데
스노우보딩 자체만 놓고 보면 특별히 대단히 색다름을 발견하기가
비단 이 영상만을 논하기에는 어렵지 않을까 싶구요. (볼 영상이 너무 많네요 ㅎㅎ)
저는 그 부분은 내려두고 저녁 먹으면서 잠깐 봐야지 하고 틀었다가
꽤나 집중해 버렸던것 같아요, 4K 해상력을 잘 살린 영상들의 조합과
물의 순환, 해류의 이동과 같은 다큐멘터리 요소가 좋은 영상력으로 묘사되어
오히려 보딩만 하는 영상들에 비해서 시선을 더 둘수 있지 않았나 싶네요
이렇게 감상평 하니 다소 내셔널지오그래픽 한편의 느낌 같지만
영상 전반을 관통하는 쌀형의 열정은 영화의 느낌으로 받아들일만 했었네요
영화적 요소일지 모르지만 중간중간의 고난과 역경, 부상 등이 결국은 스토리텔링이 되긴 하고
그래서, 라스트신 즈음하여 맞이하는 눈사태는 상당히 몰입하게 되었고 그 뒤를 잇는 장면들에서
다소 뻔한 전개와 오글거림이 있었지만 경쾌하게 감상을 마무리 짓게 해주더군요 ㅎㅎ
제가 전문적으로 해외 유명 보딩영상 시청을 많이 접하질 못해서인지 결제한 2만원 정도는
아깝지 않게 두고두고 볼것 같아요~
비록 pepepo 님은 아쉬움을 남기셨지만 좋은 영상 소개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 'b
물론 영상 자체는 부족한점은 별로 없었습니다만.. 결국 오야시오 해류를 거꾸로 거슬러 오르는 구성이 메인인데요,
일본에서 쿠릴열도, 그담에 알래스카의 구성이었죠.
그런데 결국 해외촬영의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일본의 비중은 꽤 낮은 편이고, 쿠릴열도에서는 아예 보딩에 실패, 결국 일정의 대부분은 알래스카가 되고 말았는데, 이 구성 때문에 너무 거대한 주제였던 "순환" 이라는 주제가 용두사미가 되어버린 느낌이 많이 들었습니다. 결국에 일본이랑 알래스카밖에 안 나왔잖아요?
사실 이런 주제는 BBC 다큐멘터리 중에서는 볼만한 것이 차고 넘치도록 많고, 저는 BBC 다큐멘터리 매니아라서(특히 데이비드 아텐보로가 참여한 다큐멘터리는 안 본게 없습니다) 흔해빠진 주제를 제대로 표현조차 못한 느낌이 들었네요. 이럴바에야 그냥 똘기나 보여주지...하는 생각이 들었거든요.
차라리 다양한 해류의 영향을 받는 세계의 다양한 스팟을 짤막하게나마 보여줬으면 좋았을것 같은데요. 예를 들자면 해당 지역 로컬들과 같이 교류를 하는 모습이라든지..
사람이라는게 참 간사해서.. 예전에는 HD영상의 쨍하고 광활한 영상만봐도 지릴것 같았었는데 말입니다. 눈이 많이 높아진 거 같긴 합니다 ㅋㅋㅋ..
사실 제4의 상태는 이미 발견되어 있습니다. 콜로이드 상태라고 하는 상태죠. 물이 얼음이 되기 전에 양이온과 음이온이 분리되면서 분산매질 속에 입자가 떠 있는 상태입니다. 분자구조도 달라서 H3O2에 가깝죠.. 사실 해당 영화의 제목인 제4상도 이 상태를 말하는 겁니다. 인트로부분의 영상을 보시면 물방울이 떨어지는데 물 위에 떠다니는 모습이 있는데, 이 모습을 설명할 수 있는게 콜로이드 입자와 분산매질이거든요.
근데 T.Rice가 하고 싶은 말은 이 제4의 형태는 학교에서는 안 가르쳐 준다는거죠. 깊이 사유해 봤을때 도달할 수 있는 진리를 나타내는 대표적 이미지로 물의 제4의 상태를 차용한 듯 합니다.
너무 폼을 잡으려고 하는 경향ㅋㅋ
관람후기 ㅊㅊ
시간 날때 봐야겠네요.
공교롭게도 화학과라 .. 물성에 대해서 조금 아는데 ... 플라즈마 상태가 모든 물질의 4번째 상이고..
T.R이 말하는 4번째 상은 ... 물의 플라즈마 상태라기 보다는 눈이 4번째 상이다라고 말하는것 같습니다.
물론 정확하게 말하면 물의 4번째 상이 이온화 상태이긴 한데요 ..
물도 될수있고 얼음도 될수 있고 기화해서 공기도 될수 있는 눈을 4번째 상으로 지칭한거 같아요
제4상은 눈이요. 'this cycle we ride'라고 나오고요. 사실 눈 snow 자연설파우더 학술적으로는 고체상태가 맞습니다만 실제로 우리가 라이드하는 자연파우더 눈을 스노보더라면 고체라고 말하지 않을 겁니다.
불기둥이라 하면...거시기에다가...ㅋㅋ
외계인이라 불리는 유명 스노보더 들은 주로 똘끼 있고 무모한 친구들이 많죠...이런 유전자가 보드를 공격적으로 타는 건 인정할 수 밖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