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니컬라이딩 심화편 급사카빙에 이어 두번째로 소개할 부분은 노즈드랍(Nose drop)입니다. 노즈드랍을 처음 들어보시는 분들도 많이 계실겁니다. 말 그대로 소개하자면 데크의 노즈부분을 슬로프 폴라인(Poll line)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행위를 노즈드랍이라고 합니다. 그러면 여기서 노즈드랍이 왜 필요한가?”에 대한 의구심이 발생하게 되는데, 쉽게 설명하면, 노즈드랍은 엣지를 체인지하기 위해 필요한 동작입니다.

최근의 테크니컬라이딩을 하는 사람들은 1개 이상의 해머데크(Hammer deck)보드를 사용합니다. 해머데크는 노즈부분에 라커가 있어 일반적인 데크 보다 강한 엣지를 만들 수 있게 해줍니다. 이러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 대신, 단점은 엣지체인지(Edge change)순간에 엣지가 잘 빠져나오지 않는 것을 한번씩 느껴 보셨을겁니다.

이렇게 좀더 빠르고 좀더 수월하게 엣지를 체인지하기 위해 노즈드랍을 사용합니다. 노즈드랍을 하는 방법은 처음에 연습할때는 뉴트럴포지션(Neutral Position)상태에서 중심을 슬로프 폴라인 방향의 노즈부분으로 이동합니다. 이런 동작을 취하게되면 데크의 노즈부분이 슬로프 폴라인 방향으로 향하게 되면서 엣지가 빠지고 베이스(Base)가 바닥에 닿으면서 데크는 슬로프의 폴라인으로 흐르게된다. 토우엣지(Toe edge)에서 노즈드랍을 시작했다면 중심을 힐방향으로 이동을 시키면 엣지가 체인지되고, 힐엣지(Hill edge)에서 시작했다면 토우방향으로 중심을 이동하면 엣지가 체인지된다. 처음에 연습할때는 노즈드랍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뒷발을 이용해서 살짝밀어서 노즈가 슬로프 폴라인으로 흐르게 해도 됩니다. 익숙해지면 중심을 이동하는 방법만으로도 엣지를 체인지할 수 있습니다. 물론 노즈드랍은 숏턴(Short turn)과 롱턴(Long turn)에 모두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특히 해머데크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턴을 수행할 때 노즈드랍을 사용하시면 엣지체인지를 수월하게 하실 수 있습니다. 기존의 턴을 하는 방식에서 엣지체인지 순간에 노즈드랍하는 기술을 사용하시면 예전보다 턴이 쉬어지는 것을 느끼실 수 있을겁니다.

노즈드랍.jpg


 여기까지 심화편 2번째 노즈드랍에 대해서 설명해드렸습니다. 15-16시즌에 저에게 강습받으신 분들은 이미 접해보셨을 겁니다. 지금까지 저의 칼럼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퍼가실분들은 꼭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민스™

2016.10.22 15:26:41
*.36.159.10

칼럼 잘 보았습니다.
제가 이해한게 맞는지 궁금한게 있는데요 노즈드랍을 할때 앞 무릎을 이용해서 폴라인으로 떨어뜨리는거 맞는건가요? 계속 생각하고 있던 부분인데 이 칼럼에 비슷한 의미일거라 생각이 들어서요.

┓푸른바다┏

2016.10.22 17:42:02
*.33.181.89

중심이 앞으로 이동하는 것입니다 물론 무릎도 이동하여야 겠지만 상체와 하체 모두 이동해야지요!!!

민스™

2016.10.22 23:15:38
*.58.237.66

답변 감사합니다. 제가 올해 해보고 싶은게 스윙앤 글라이드를 연습하려고 하는데 뒷발 말고 앞발도 적극적으로 사용하면 어떨까 하고 생각중이었거든요.
제가 생각한거랑 조금 차이가 있지만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푸른바다┏

2016.10.25 20:59:20
*.33.165.158

글라인드 기술은 설질이 빙판에 가까울때 유용한 기술이지요!!!

스크래치

2017.01.01 15:01:14
*.232.110.67

좋은 칼럼입니다. 오타 있어요. Poll line -> fall line

┓푸른바다┏

2017.01.02 08:47:28
*.62.178.199

넵!!! 고친다고 해놓고 아직 못고치고 있네요!!!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8302
3032 기타 [보딩동영상]유튜브영상에서 음원 추출법 이클립스♠ 2016-11-04 2 4859
3031 일반 논란중인 다운과 프레스의 관계 file [15] -Double.J- 2016-11-04 14 6462
3030 초보를 위한 강좌 2016/17 스노보드 라이딩 리포트 [5] 문박사 2016-11-02 18 3615
3029 초보를 위한 강좌 프레스를 제대로 주자(부재 : 상체오픈의 함정) file [20] 민스™ 2016-11-01 1 7232
3028 초보를 위한 강좌 다운 가압 감압 그 안따까운 이야기 [4] 심장이통통 2016-10-31 8 3290
3027 초보를 위한 강좌 "곱등이 " 한방에 보내기 [6] guycool 2016-10-28 1 7757
3026 기타 시즌 준비하기에 앞서 아주 허접한 팁 한가지.. [2] 1004s 2016-10-27 1 3082
3025 일반 상체를 오픈하고 싶으신가요...? [27] TeamEdgeFre... 2016-10-27 14 7177
3024 기술(테크닉) 테크니컬. 그리고 물리 . 자유. [50] 카릴 2016-10-26 10 5377
3023 기술(테크닉) 카빙과 급사 - 1.급사 라이딩은 왜 어려울까 file [38] Lunatrix 2016-10-20 89 23001
3022 기술(테크닉) 전향각과 그 나머지? 각각의 장단점. [13] guycool 2016-10-20 1 6858
3021 기술(테크닉) 그라운드트릭,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 2번째 [13] G×Union.최윤석 2016-10-20 6 5115
3020 초보를 위한 강좌 양질의 턴을 알수 있는 잣대 [6] orthodox 2016-10-17 3 5009
3019 기술(테크닉) 턴 한줄 팁 [3] 홍이00 2016-10-14 3 3365
3018 기술(테크닉) 3018번 " 기를 쓰면 카빙 되기 " 속편? [1] guycool 2016-10-13 2 3064
3017 일반 완전생초보녀에게 로테이션을 안가르쳐 보았... [74] 심훈Film 2016-10-11 64 12654
3016 기술(테크닉) 기를 쓰면 카빙되기.. vs.. 카빙 유지위해 ... [6] guycool 2016-10-10 14 3688
» 기술(테크닉) 테크니컬라이딩의 이해 심화편2탄(노즈드랍) file [6] ┓푸른바다┏ 2016-10-09 6 6017
3014 해외원정 JSBA 뱃지테스트 원정기 file [2] ┓푸른바다┏ 2016-10-08 7 3051
3013 장비 튜닝 제대로 열 성형해 보야요.. 5-6편 끝.. [2] guycool 2016-10-07 1 1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