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는 그렇게 알고 있는데, (렌즈) 제품명이든, 렌즈 표면에든, 최소 둘중 1개 polarized라고 씌인것만 편광이라고요.
근데, 인터넷에서 어떤분이 하기와 같이 썼더군요.
야간에 쓰실때 불편함은 없습니다.<<
저도 헷갈려서, 여기저기 뒤져보니까, 편광은 분명히 편광/polarizied라고 씌여 있었습니다. 가격도 더 쎄고요.
잘 아시는 분 답변부탁합니다.
*참. 편광도 크롬/미러가 있을 수 있나요?선글라스류는 본것 같은데, 스노우 고글류는 본적이 없는 것 같습니다. 이 부분도 답변부탁.
편광렌즈라 함은...
사진을 해보시분은 쉽게 알수 있는 부분인데
쉬운 예로 오후 3,4시나 오전 시간에 태양쪽을 보면 하늘이 짙은 파란색이 아닌 희뿌연 하얀색으로 보이고
태양 반대편을 보면 짙푸른 하얀색으로 보입니다. 가시광선에 의한 난반사때문이죠
편광렌즈는 이런 난반사를 줄여주는 렌즈 표면이 아주 미세한 톱니같은 모양으로 난반사되는 빛을 굴곡시켜 튕겨내는 역할을 해줍니다.
햋빛이 쨍할때 맑은 물을 바라보면 반사되는 빛때문에 물속이 잘 안보이지만 편광렌즈를 사용하면 난반사 되는 빛을 줄여줘서 물속이 잘 보입니다.
그래서 낚시 하시는 분들은 아주 오래전부터 편광렌즈가 달린 썬그라스를 많으 썼었죠.
그렇기 때문에 그 위에 이리듐같은 코팅을 할 경우에는 편광의 기능을 상실 할 수밖에 없습니다.
카메라 렌즈의 장착하는 편광필터들은 보통 필터가 회전할 수 있게 만들어서(CPL필터 라고 합니다,) 사진을 찍을 때 빛의 방향의 따른 난반사를 줄여주지만 고글같은 고정된 방향의 렌즈(PL필터 라고 합니다.)는 빛의 방향과 시선의 방향에 따라 효과를 발휘하거나 발휘하지 못합니다.
인터넷에서 보신 위에 글은 잘 모르시는 분이 쓰신거 같습니다. 주야간 겸용이 다 편광이라뇨...편광은 빛과 렌즈의 방향에 따라 더 선명하게 보이기도하고 오히려 더 안보이기도 합니다.
썬그라스나 고글에 polarizied 라고 써있는게 편광이죠
보통 편광을 쓰고 모니터보면 잘 안보입니다.
고개를 90도 돌리면 보이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