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아직까진 테크니컬 라이딩을 많이들 선호하시죠?

저도 한참 젊은(?) 30대 초반이다보니 멋진자세와 안정감을 가지고

테크니컬 라이딩을 할려고 하는데여.

한가지 궁금한 사항이 생겼어요 !!

바로 라이더의 체중이 프레스를 가할때 영향을 어마어마 하게 주느냐 마느냐 인데여

제스펙은 176 / 60 kg  = 21살이후로 현재까지 58~60kg 을 벗어나질 않네요 .
(다들 말랏다고 살쪄야한다하지만..전 제몸이 좋아요....♥)

살을 찌워볼까 했지만 것도 쉬운일도 아니고 ㅠㅠ

하체운동은 .. 작년시즌말 부상으로 인해 발목골절로 핀으로 고정술을했다가 지난 10월초 제거 및 치료를 완료해서

이제 매일매일 스쿼드량을 조금씩 늘려가는데요..

항상 매번 라이딩시 프레스가 부족하단 지적을 받네요... 고관절을 접고 말고를 다떠나 ㅠ_ㅠ

팩트는.....  라이더의 체중이 카빙시 큰비중을 차지하는가? 아닌가 하는건데요..

살이찌고싶어 어마어마한 량의 탄수화물 단백질, 술과 안주..를 섭취해도 찌지않는 체질이라ㅠ_ㅠ 어찌해야할지....ㅠㅠ

엮인글 :

닭덕후

2016.10.17 12:44:43
*.246.68.132

살이찌면 그만큼 그립력이 좋은 데크를 선택해야하고 데크가 길어지면 회전반경도 달라지죠 개인적으로 체중은 크게 문제가 안된다고봐요

엄마찾아원에리

2016.10.17 12:46:50
*.165.176.82

체중보단 근력이 중요하다 생각합니당.


1415 조인트 dvd 중 활력에서 라마 상 인터뷰 내용중에


"프레스를 준다는것은 딱히 생각하지 않고 엣지를 세우는데만 집중합니다" 라고 하더군요


물론 전 이해못했지만. 그렇다고 합니다.

가을가을

2016.10.17 12:48:28
*.93.198.91

"프레스를 준다는것은 딱히 생각하지 않고 엣지를 세우는 데만 집중한다"
저로선.....정말 어렵고 이해할수 없는 글이네요.ㅠㅠ

하늘_92

2016.10.17 12:54:19
*.151.70.163

개인적인 생각인데
일본분 영상을보면
프레스 라는 동작을 취하는게 아니라
일단 날을 세우고
그 날세운 자세에서 균형을 잡는것같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토요일에 심훈상영회다녀왔는데 거기서도 프레스라는 단어보다는 밸런스라는 단어가 훨씬 많이나왔던것같구요

가을가을

2016.10.17 12:55:52
*.33.181.240

그렇다면 프레스를 줘서 날이 박는게아니라,
날을 세운이후 밸런스(균형)을 잡는다 ..
라는건가요...? 이해력이 부족해서 ㅠㅠ

하늘_92

2016.10.17 13:09:23
*.151.70.163

네 그렇게 생각한번 해보셔도 괜찮을것같습니다.


저도 이론만 듣고 실제 몸으로 해보지는 않아서 올해 한번 해보려구요\



베이KinG소다

2016.10.17 12:50:49
*.36.135.140

몸무개 많아지면 그만큼 더 하드한 데크가 필요하지 않을까요?? 데크마다 한게 체중이 있듯.. 적당한 체중에..
근력이 더 중요할듯 합니다.

쉐도우레이싱

2016.10.17 13:09:08
*.238.53.107

타는 스타일이 굉장히 많아서 프레스를 주는 방법은 여러가지겠죠

그중에 무게와 허벅지 힘으로 프레스 운용하는걸 고민하고 계신데

요즘 최신라이딩스타일은 큰 허벅지힘이 필요없어요

오히려 허벅지는 말랑말랑해져가요..

같은 테크니컬라이딩 하고있다해도 자세가 다 다릅니다

어떤게 올드한지 어떤게 트렌드인지도 한번 연구해보세요~


이스타

2016.10.17 13:11:55
*.33.164.62

제 생각으로는 중력+원심력으로 카빙시
엣지가 박히는거라 생각하는데
중력과 원심력은 무게의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죠

같은 데크에 몸무게가 틀려지면 데크에 눌려지는 힘이 틀려질거고 회전반경도 달라지겠죠
그냥 제 생각입니다^^

태조

2016.10.17 13:13:16
*.154.54.108

부럽네요 살이 찌지않는 체질이라니 저는 카시스타일로 타는 보더 입니다만 테크니컬 라이딩을 하지는 않습니다. 카시스타일은 압력을 쓸때 몸무게로 쓰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테크니컬 라이딩도 같을거라 생각 해봅니다. 그리고 압력의 기준이라는건 슬로프에서 튕겨져 나오는 압력이지 몸무게가 아니라는걸 생각 해보시길 바랍니다.

카릴

2016.10.17 14:25:02
*.199.184.154

,.. 저도 덕스텐스로만 타봤지만..

"비교적!,상대적!",으로 태조님 말씀처럼, 카시가 테크니컬라이딩보다 프레스에 있어서 체중의 비중이 적습니다. 

섹파르타쿠스

2016.10.17 13:32:05
*.102.111.105

프레스는 몸을낮추면 자동으로 들어가는거구요  턴진입시 제대로된 엣지각도를잡는게 중요합니다

Sido

2016.10.17 14:18:20
*.62.203.193

라이더의 체중은 자세를 바꾸어도 변화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소위 '다운'자세 또는 '업'자세를 취하여도 체중에는 변화가 없어요.
이는 체중계에 직접 올라가셔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체중이 더 나가는 라이더에게 기본적인 프레스가 더 강하며, 체중이 고정된 상황에서 보면
라이더가 데크의 엣지각을 세우면 세울수록 해당 체중에 대해서 보다 더 큰 힘의 분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정리하면, 프레스는 다운이라는 자세에서 얻어지는 것이라기 보다는 엣지각 확보를 통하여 상대적으로 더 효율적인 프레스 운용이 가능하다 입니다.

'프레스를 어떻게 줄까' 는 '엣지각을 어떻게 확보를 할까' 라는 측면에서 고민해보시면 좋겠어요.

제 개인적인 라이더 스펙도 176-60이구요.
저체중분들도 효율적인 프레스 운용을 하시면 강한 프레스를 확보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카릴

2016.10.17 14:51:36
*.199.184.154

오우. 매우 적으시네요. 체중이.

역시, 그 전향각의 특성에,,sido님만의 그 특유 몸눞힘과 엣지세움각.

!

카릴

2016.10.17 14:46:46
*.199.184.154

이스타님. sido님. 섹파르타쿠스님이 말씀 합치면 완벽한 답이 될듯 합니다.~ ^^'


*참고로, 태조님 말씀에 덧붙여,
카시는, 엣지를 세워 더 눕기보다, 근력을 보드를 미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좀 큽니다. 테크니컬라이딩은,단순히엣지를 세우고 몸을뉘여서 생기는 프레스(원심력)을 다리-근력이 버텨주기만하면됩니다.

물론 테크니컬도 다리로 미는 부분이 잇을 수 밖에 없고, 카시 역시 다운?을 통해 몸을 최대한 뉘이려고 하지만,,기본적으로 비중-비율이 좀 차이가 납니다.


**전향각/테크니컬 라이딩에 있어서, sido님의 말씀이 물리적으로도 정확하다고 생각합니다. 메인 핵심은 저것이니까요.


그러나,, 체중계부분에 있어서, 카시의 경우,up-weighting이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동시에 down-unweighting이 있죠.
다리 근력으로 보드를 밀어서 프레스를 순간 증가시키는것이죠. 카시에서 리바운딩을 최대한 끌어올리려면,,아무래도 몸 기울기만으로는 약점이 있어서 이 방법이 필요합니다. 테크니컬은,,무조건 최대한 누웠?다가(몸을 기울엿다가) 되돌리면 되지만. ^^;

(아..물론,,상대적인 비중입니다. 그러나 그 효과는 무시할정도라고 생각합니다. 연습을 위한 핵심에서.)


***뭐 꼭 이것과 상관은 없지만,, 저는 고등학교 운동회때 줄다리기를 하는 이유를 납득?할 수가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어느쪽의 근력이 더 쎄든,, 이기는 쪽은 몸이 무거운 쪽이거든요. ㅎㅎ. 물리적으로.

암튼, 기본적으로 체중은 프레스의 비중에서 절대적인 비율 차지합니다. 테크니컬은 거의,,90~100%?에 가깝다고 해야할 것 같고,, 카시는,, 음..50~70%?(사람능력치에따라 다름)라고 하겠습니다. 그냥..말로할때,,비유적으로요. 느낌?상.

벌써 딱 봐도,,자신의 몸무게를 버티는 근력만 있을경우를 비교하면,,,추가적인 근력이 없어도 테크니컬이 훨씬 유리하죠.. 턴/프레스에서. 테크니컬은 자신의 체중에서 생기는 프레스를 최대한 끌어낼수 잇는 라이딩 방법입니다.

그러나 카시는 그것에 비교적 한계가 있습니다. 그러니까 비율상 천장이 테크니컬보단 다소/훨? 낮다는 정도. ^^;


즉, 전향각 전용 극하드플렉스 데크를 가지고, 덕스텐스로 전향각탈때 생기는 정도의 턴을 만들려면,, 그 만큼의 극강의 허벅지 근력이 있어야 한다는.. 핫.

가을가을

2016.10.17 15:27:34
*.33.181.240

다들 말씀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공부를 해야 겠네요
감사합니다!

가을가을

2016.10.17 15:43:06
*.33.181.240

기본적으로 라이딩을 교육(?) 및 배우는 과정에서는
프레스를 이용하여 엣지를 설면에 박은 상태에서
엣지각을 세워 턴을 연계해 나간다 . 라고 배운것 같은데.. 다들 이론은 이해하는데, 실전이안된다 하지만..
저는 실전보다 이론이 더 어려운것 같아요ㅠㅠ
물론 실전이 뛰어나다는건 아니구요 ㅜㅜ

Garbbro

2016.10.18 09:42:01
*.212.159.51

 프레스를 준다는 느낌이 아니라 옆으로 가는 힘과 슬로프 밑으로 내려가려는 힘을 버틸 수 있는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포인트 인 것 같습니다.  허벅지나 다리 힘으로만 가속과 중력을 이길려 하지 마시고, 하체는 잡아준 상태에서 상체로 덮어준다는 느낌?이라고 할까요?^^;;;



가을가을

2016.10.18 16:46:56
*.226.207.89

오 이말씀 매우 와닿고 느낌이 살짝!? 오는것 같네요!

범댕

2016.10.18 16:26:56
*.52.69.67

체중이 가벼워도 속도가 빨라지면 원심력이 세지고 그 원심력을 데크에 가해 프레스를 만들고 

역시 그 힘을 이용하여 다음턴으로 넘겨서 진입하는것이 상급자의 라이딩이라 배웠습니다.


저는 할줄 모릅니다.


그리고 전 무겁습니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9] Rider 2017-03-14 96602
156096 장갑에 붙이기 좋은 방수테이프 아시는분? [12] 괴짜보더 2016-10-17 900
156095 탈론 (발등? 및 사이즈) 과 롬 타가 바인딩 궁합. 및 기타. [6] 카릴 2016-10-17 520
156094 오크벨리 시즌권 구매 질문 드립니다 file [6] 내가니매미다 2016-10-17 1132
156093 바인딩 과 부츠 유격 질문이요 file [8] ch2 2016-10-17 652
156092 헬멧 좀 바주세요 ^^ file [9] 대구비기너 2016-10-17 884
156091 데크길이 추천좀 [4] 어우두 2016-10-17 400
156090 데크 그림 뭘로그려야 안지워지나요? [9] 섹파르타쿠스 2016-10-17 508
156089 신상 의류 할인기간이 언제부터인가요? [6] 난나야르 2016-10-17 494
156088 케슬러 데크 문의 file [7] comanet 2016-10-17 1385
» 라이딩시 체중의 한계. [20] 가을가을 2016-10-17 1060
156086 살로몬 홀로그램 싸이즈 [2] 대구보둬 2016-10-17 570
156085 부츠 아디다스 삼바 vs k2 darko [2] 크리스토퍼논란 2016-10-17 560
156084 1415유니티 프라이드 vs 1415 스키티즈 저크 [11] anto 2016-10-17 585
156083 내일 웅플가보려는데요 형님들 [3] 옆집개님 2016-10-17 415
156082 입문자용 고글로 번 고글 어떤가요? [8] bluegrief 2016-10-17 530
156081 헝글 스텀패드 [4] 스픽 2016-10-17 479
156080 나이트로 판테라 / 판테라sc [11] 날아라꿈나무 2016-10-17 790
156079 무릎통 넓은 보드복 브랜드 알수 있을까요?? [13] 부평놀새 2016-10-17 535
156078 디렉셔널 프리데크의 한계는? [24] 양파송이 2016-10-17 1142
156077 스위스 직구 [10] hush 2016-10-17 3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