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생각했던 다운언웨이팅과 업언웨이팅을 통한 압력에 대해 글을 씁니다.
증명된 내용이 아니고 제 개인적인 생각을 글로 쓴 것이기 때문에 토론게시판에 쓸것인가 고민을 했지만 제 생각과 의견이
글에 다 들어나 있기 때문에 토론의 시작글로는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했고 잘못된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충분히
토론과 합의가 도출되어 다른 분들에게 그 또한 좋은 정보를 제공할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압력과 다운언웨이팅, 업언웨이팅


데크에 적용하는 압력에는 슬로프에 의한 압력이 있고 우리가 컨트롤을 통한 압력(업 다운)이 있고 마지막으로 원심력을 통한 압력이 있습니다.
슬로프에 의한 압력은 우리가 임의로 증가하거나 감소시킬수 없는 압력입니다.
간단하게 작은 언덕이 있다고 보면 언덕에 올라가는 시점에는 데크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됩니다. 간단하게 오르막길을 오를때 다리에 드는 힘이 더 많은것과 같습니다. 반대로 내리막의 시점에선 압력이 낮아질것입니다. 그러나 슬로프의 경사를 우리가 임의로 조절할수 없기 때문에 임의로 사용할수 있는 압력은 아닙니다. 하지만 다른 압력을 이용해 압력을 상쇄시키거나 더 강하게 만들순 있습니다. 둔턱에서 점프하는것이 슬로프로 인한 힘에 컨트롤을 통한 압력을 합쳐 이용해서 점프를 하는것이지요.


컨트롤을 통한 압력과 원심력을 통한 압력은 같이 설명해야 합니다. 컨트롤을 통한 압력(업 다운)에 이미 원심력을 통해 압력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원심력은 턴이 발생하면 자연스럽게 발생됩니다. 그런데 원심력이 데크를 누르는 압력으로 전환을 시키는것이 우리가 사용할수 있는 압력이 될것입니다. 데크 엣지의 각이 제로인 상태에서 원심력은 데크에 아무런 압력을 행사하지 못합니다. 그힘은 원의 밖으로 팅겨내는데 전부 사용될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턴을 유지하기 위해서 엣지 각을 세울수 밖에 없습니다. 설사 각을 전혀 세우지 않는다 할지라도 몸의 무게 중심은 턴의 안쪽방향으로 위치해야만 턴이 유지가 됩니다. 만약 바깥쪽으로 위치하게 된다면 우리들이 아는 역엣지 상황이 되고 바로 나가 떨어지게 되는것이지요. 역엣지로 자빠지면 큰부상을 입기 쉬운것이 가해지던 원심력의 힘이 클수록 더 크게 날라가기 때문이죠. 또한 실력이 증가될수록 원심력이 더 커집니다.
엣지각을 줌으로 해서 원심력을 버틸수 있게 하고 그 원심력의 일부가 데크를 누르는 압력으로 사용을 하게 됩니다.

컨트롤을 통한 압력에서 업 언웨이팅의 경우에 다운으로 압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다운을 통해 몸의 무게
중심을 낮춤으로 해서 데크의 각을 세우는데 용이하게 됩니다. 같은 각을 세웠을때, 몸의 중심이 낮으면 그만큼 몸의 무게 중심이 데크의 턴 안쪽으로 적게 나가게됩니다. 즉 간단히 말해서 몸의 중심이 적게 데크 바깥쪽에 위치하게 됩니다. 이것은 엣지를 더 세울수 있게 하고, 엣지의 각이 증가될수록 원심력이 데크를 누르는 힘은 더욱 커지게 됩니다.  
물론 각이 계속해서 커진다고 해서 데크를 지면에 누르는 힘이 계속해서 증가되지는 않을겁니다. 각이 어느정도 이상 커질수록 지면을 누르는것보다는 데크를 누르고 휘는것에 더욱 많이 작용을 할것이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업 언웨이팅에서 다운을 통해 압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입니다.

다운 언웨이팅에서 업으로 압력을 행사하는 경우를 볼까요?
이때에는 업을 통해 자기 무게의 힘을 더욱 증가시켜 +되는 힘 만큼 데크를 더욱 눌러줄수 있습니다.
이부분에 대해 간단히 설명해보면
체중계 위에 올라간 상태에서 무릅을 굽히고 펴서 그다음엔 펴서 일어난다고 생각을 해보죠. 무릅을 굽힐때에는 체중계에 무게가 감소할것입니다. 이때 감소하는 정도는 얼마나 빠르게 굽히느냐에 따라서 무게가 감소하는 정도가 커집니다. 이것이 바로 다운을 통한 언웨이팅, 다운언웨이팅이지요. 자 이제 굽힌상태에서 무릅을 펴서 일어나 봅시다. 일어나는 순간에 체중계는 증가할것입니다. 일어나는 시점이 끝나면 체중계는 다시(미세하게나마) 감소할것이구요. 그리고 원래 무게로 돌아올 것입니다. 아예 일어나는것이 아니라 점프를 한다면 점프를 하는 시점에는 체중계의 무게는 크게 증가할것이고 공중에 뜨기 시작하는 시점부터 체중계의 무게는 감소할것입니다. 공중에 완전히 떠있는 상황에선 체중계의 무게는 제로겠지요.

다운언웨이팅에선 이처럼 다운의 상태에서 업을 통해 압력을 증가시킵니다. 그리고 업이 끝나는 시점에 압력을 줄이고 압력을 줄이는 상황에서 다운까지 이어지는것이죠. 점프를 하고 착지를 할때 무릅을 굽히며 착지함으로써 압력을 분배하는것과 마찬가지죠.
반대로 업언웨이팅은 다운을 통해 얻어진 엣지각만큼의 원심력으로 압력을 증가시킵니다. 업을 하면서 엣지각이 줄어들고 이로써 원심력이 데크에 작용하는 힘이 작아져 압력이 줄어들게 되는거죠.


다운언웨이팅이 업언웨이팅 이후에 배우고 쓰이게 되는것이 이유는 여기에 있습니다.
다운언웨이팅에서 업을 통해 압력을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서 업언웨이팅에서 사용되는 업을 함으로써 무게중심으로 인해 엣지각이 줄어들고 압력을 줄이는 일을 막을수 있는겁니다. 다시 말하자면 다운언웨이팅에서 업을 통한 압력으로 무게중심 상승의 문제를 상쇄시켜 엣지각을 유지할수 있는것이죠. 업을 통한 압력이 더욱 크다면 업을 하면서 엣지각을 더 세울수도 있습니다.
업언웨이팅에선 천천히 다운을 하면서 엣지각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처음 업다운을 하면서 배우게 되는것이지만 다운언웨이팅에선 다운이 압력을 줄일수 있을정도로 빠르게 이루어지며, 그 순간에 엣지각을 줄수 있어야 업을 통해 압력을 증가시킬수 있는거죠.
엮인글 :

여유만만

2010.01.28 07:51:21
*.241.151.50

글 잘 봤습니다..
이해하기 쉽게 풀이가 되어 있네요..
보통은 다운과 업 두가지만 가지고 이야기해서 좀 어려운 부분이 있었는데..
다운, 업 + 슬로프 + 원심력 이렇게 분할하면 좀더 쉽게 풀이가 되네요..

Ronaldo no.9

2010.01.28 09:38:47
*.199.215.82

글 잘봤습니다만, 너무너무 어렵네요.
아직 실력이 미천한지라;;

소담

2010.01.28 10:23:20
*.232.201.88

따랑해님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드려요

다운언웨이팅에선 다운의 상태에서 업을 통해 압력을 증가시킨다 라고 하셧는데

그 이론은 이해가 되는데요

업을 통해 압력을 증가시키는건 순간적인 증가일텐데

원심력에 의해 튕겨져 나가려는 압력은 지속적인 것이고..

그것이 순간적인 압력으로 커버가 가능한가요?


음.....제 질문의 요지는...

다운언웨이팅은 용도...가 될듯합니다.

숏턴에서만 이용하는것인가?라는 추측이 들어서 질문드립니다...

지나가다

2010.01.28 11:36:04
*.34.234.61

소담님...

지나가다가 한글 적고 갑니다.

위 칼럼에 동의 하는 부분도 있고 그렇지 못한 부분도 있습니다..

일단 기본적인 인식의 전환이 필요할듯 하군요...다운이란것으로 보드를 누른다는 생각 자체를 안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다운으로 통해 우리가 백사이드 프론트 사이드 턴에서 필요한 몸의 포지션을 가져 가서 정확히 엣지에 원심력을 실어 주는게 중요합니다. 실제 우리가 저울 위에서 다운을 한다고 저울의 눈금이 올라가나요...오히려 내려가는 순간에서 압력이 줄어 듭니다.

그럼 다운시 우리의 다리에 주어지는 하중은??? 그건 폴라인을 지나고 몸의 원심력을 다리로 받아 주니 폴라인 보다 다리에 하중이 주어 지는 겁니다.

다운언웨이팅 계열의 엣지 체인지를 할때 님이 말씀하신것처럼 순간적으로 다리를 아주 살짝 펴는 경우도 있긴 합니다만 정석은 아니고여 살짝 부드럽게 튕긴다는 느낌으로 넘깁니다. 그리고 엣지 체인지 순간까지 무릎의 힘을 빼주셔야 하죠..

다운 언웨이팅의 용도를 물어 보셨는데요...모글이라든지 불규칙한 사면에서 유용하게 쓰일수 있겠죠..
그보다 가장 중요한 용도는 급사에서 우리가 크로스오버식의 엣지 체인지를 하면 엣지 체인지가 늦기 때문에 엣지를 세우는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엣지를 세우기전에 이미 슬립이 나겠죠..

다운 언웨이팅은 크로스오버계열보다 엣지 체인지가 빨라서 급사면의 카빙에서 슬립없는 카빙을 만들어 줍니다. 중요한건 빠른 엣지 체인지로 얻을수 있는 장점을 생각해 보세요...그리고 크로스 오버라고 다운언웨이팅보다 무조건 나쁜건 아닙니다.

장단점이 있죠...이상..

코나와

2010.01.28 13:01:05
*.77.78.35

아 어렵다... 보드는 왜케 어려운거임...
글은 잘보구 갑니다.... @,.@

leeho730

2010.01.28 15:27:19
*.235.161.231

보드는... 어렵게 생각하면 어려운 거고 쉽게 생각하면 쉬운 거죠... ^^;;;

저는... 무릎의 접고 펴기 정도로 생각한다는... -_-ㅋ

HellO DK!

2010.01.28 18:58:56
*.191.176.237

그럼 데크의 길이와 사이드컷, 보더의 무게 등 기타 조건이 같다고 가정했을때..

다운웨이팅시
1. 완벽에 가까운 원을 그리며 턴을 할수록
2. 턴을 그리는 속도가 클수록
원심력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다는 것이고, 두 조건이 모두 충족되면 엣지각을 더 세울수 있다는 말인가

요? (슬로프에 더욱 누울수 있고)

힐턴을 배우면서 기대야한다는 말을 많이 들어서
1. 스피드
2. 슬로프에 가능한 기대기
이 두 조건이 충족되어야 좋은 힐턴이 나온다 라고 생각해왔는데

따랑해님의 글을 읽다보니
1. 완벽에 가까운 원을 그리는 힐턴(자세가 뒷받침된다는 가정하에)
2. 턴을 그리는 속도의 증가
이 두가지를 통해 엣지각을 더 세우게 되는(슬로프에 더욱 눕는) 흐름인것 같다는...
뭐가 먼저냐의 문제인데요..
그냥 저혼자 혼란스러워하고 있네요 ㅜ

관광모드

2010.01.28 21:11:11
*.31.168.99

그냥 한가해서요...먼저 잘 읽었습니다...예전에 스키를 배워놔서 무슨 말씀인지 다 알겠는데요...
잘 읽었습니다...해박하시네요..
그냥 한가해서 넘 복잡한거 아닌지? (절대 딴지 아닙니다..)

동후니 님과// 리호730님 처럼 그냥 처음엔 누르면서 타다가 실력좀 되면 바운스 이용하면서 타보기두 하고
보드로 스키들 타는 모글밭 들어가보구 싶으면 열심히 충격흡수하는 무릎 접는 법좀 연습하면 되고
턴이야 뭐 다리 뻗어도 되고 접어도 되는 거니까....--------아 내가 뭔소릴할려고...죄송합니다..

무릎 구브리고 턴하기 // 반대로 무릎 피면서 턴하기 // 충격 흡수하면서 또는 바운스 이용하면서 스티어링 및 엣지 체인징
알아먹기 더 쉽지 않을까요...일반턴 / 벤딩턴 2가지 이름으로 충분하지 않나 해서요..

코요

2010.01.28 23:31:29
*.199.144.207

글이 어렵긴 하지만
지금 밴딩턴 배우고 있는 저로썬 유용한 글이네요
어떤 원리로 다운 언웨이트로 압력을 행사하는지 많이 궁금했는데
잘 정리해 놓으셨네요
감사감사~~

Nikki

2010.01.29 09:48:56
*.117.218.178

다운과 업이라는 용어때문에 다운언웨이팅을 혼돈하는 분들이 계시는것 같네요..

다운 = 플렉션(몸을 웅크림), 업=익스텐션(몸을 펴줌) 이라고 한다면 다운언웨이팅시 업(몸을 펴주면서)을 하면서 가압을 한다는것을 더 이해하기 쉽지 않나 싶습니다.

silstar

2010.01.29 12:53:37
*.250.100.7

왜 자꾸~ 다운과 업을 분리해서 이야기를 하시는지~
이거 둘다 라이딩의 방법일 뿐인데~
상황에 따라 다운언웨이팅과 업언웨이팅을 잘 섞어서 하면될텐데..
문제는 슬롭의 상황에 따라 이 둘을 얼마나 조화롭게 구사해서 라이딩을 재밌게 하는냐가 아닌지~
업으로 턴하면서 쭉펴서 한번더 프레스를 줄수도 있고,
모글 같은거 넘을때 팅기지 않게 다운 언 프레스로 부드럽게 넘어갈수도 있고...
나도 같은 소리하고 있는건가????
어찌됐든 다운은 이거다, 업은 이거다 이런얘기 수차례 나오던데~~ 이건 아닌가 하는 생각에.....

바보1

2010.01.29 14:48:24
*.144.22.68

다운언웨이팅 = 장미란 선수가 역기를 들고 번쩍 일어설때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

몸은 업시키나 전체적인 하중(데크에 전달되는)은 오히려 증가....

이렇게 이해하면 되는거죠^

그냥..

2010.01.29 15:44:56
*.223.209.168

다들 다운언웨이팅을 너무 어렵게 생각하시는데..

다운 웨이팅과 다운 언웨이팅의 차이는

무게중심을 낮추면서 다리를 접느냐(다운웨이팅) 무게중심을 그대로 있으면서 다리를 접느냐(다운언웨이팅)으로

구분하시면 쉽게 이해되실겁니다....

업웨이팅과 업언웨이팅도 같게 생각하시면 쉽구요..

그냥..

2010.01.29 15:46:57
*.223.209.168

무게중심을 낮추고 안낮추고의 의미가 이해안되시는분은

아직 다운언웨이팅의 느낌을 모르시는분이라고 생각됩니다..

환자

2010.01.29 16:16:25
*.111.184.10

지나가다님 // 글의 요지를 잘못 이해하신 것 같습니다. 글쓴분은 단순히 다운 = 데크를 누르는 것
이라고 주장하시는 것이 아닙니다. 단순히 관성에만 의존하여 설명한다면 다운 = 감압이겠죠.
하지만, 이를 단순한 연직방향에서의 작용으로 간주하시면 곤란합니다. 이는 분명 몸이 기울어진 상황에서의
얘기이기 때문이죠. 몸이 기울어진 턴 상황에서는 힘을 수직항력과 원심력으로 분리하여 설명해야 합니다.
이 때 다운을 주게되면, 업 상태와 비교하였을 경우에, 원심력보다 수직항력으로 작용하는 비율이 더 커진다는
의미인 것 같네요.... 힘의 작용점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데크위에 있게되는 체중 비율이 더 높아지기 때문이라는
원리라고 설명을 하시는 겁니다.....

저도 뭐 100% 동의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어려운 내용을 아주 잘 설명해주신 것 같습니다.
훌륭한 칼럼이네요. 추천 잘 안하는데 하나 찍고 갑니다 ^^

지나가다

2010.01.29 23:42:14
*.34.234.61

환자님..

위의 댓글은 소담님의 댓글을 기준으로 말씀 드린거구요...

환자님의 쓴글 전적으로 동의 합니다. 제가 말한 크로스 오버계열의 턴의 장점은 수직항력이 높아져 가속도가 붙는거죠..
실제 알파인 선수들도 대회전 경기에서는 주로 크로스 오버식의 턴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기문의 여유가 있고 경사가 급사가 아니면 크로스 오버가 유리하겠죠..

허나 기문의 여유가 없고 급사일때는 크로스스루(다운 언웨이팅)로 엣지 체인지 합니다. 그래서 주로 회전 경기에서 사용하죠.

아...이것도 깊게 들어 가면 선수들은 크로스 스루도 크로스 오버를 섞어 사용합니다. 조금이라도 가속도를 붙이기 위해서...좀 복잡해 지네요..이 부분은 패스..

그리고 제가 글쓴분의 글을 정독 하진 않았지만 동의 하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다운 언웨이팅에서 업을 통해 압력을 증가 시킨다고 하셨는데 이는 받아 들이는 사람 마다 어떻게 받아 들일지 모르지만 데크를 누른다고 표현하면 좀 틀린게 아닌가 싶습니다.

급사에서 이미 원심력 만으로도 충분히 데크에 가해지는 압력은 충분 하죠....거기에 더 누를 필요가 있을까요??

저또한 위의 저의 댓글에서 정석이 아니라고 한 부분 (순간적으로 다리를 펴면서 데크를 휘게 하면서 엣지체인지)

을 사용 하긴 합니다. 가끔 턴이 밀려서 늘어 지거나 하면 데크의 반발력이 줄어 크로스 스루로 엣지 체인지 하기 힘든때에 사용 하지만 말그대로 정석은 아니죠.. 다운 언웨이팅에서 엣지 체인지는 데크의 반발력을 이용하는 거라고 생각 합니다.

모 알파인 프로가 한말이 생각 나네요...보드는 원심력을 이용하는 것이고 어떻게 체중을 엣지에 실어 주고 보드의 움직임을 만들것이가 고민하라고...

지나가다

2010.01.30 00:25:29
*.34.234.61

아...그런데요...결과적으로 저도 다운 언웨이팅에서 업 상황에서 최대 하중이 데크에 전해 집니다. 표현의 차이 일수도 있고여...생각의 차이일 수도 있겠죠...말로 표현하기 참 어렵네요..

그리고 중요한건 엣지 체인지 차이가 중요한 문제이지 다운 언웨이팅으로 데크에 하중을 증가 시킨다는 건 아닌거 같습니다.

따랑해

2010.01.31 04:05:37
*.206.13.124

저도 엣지 체인지는 데크의 반발력을 이용한다는것에 동의합니다. 다만 다운언웨이팅에서 업을 통해 다운을 위한 준비와 동시에 데크의 휨을 최대로 해서 다운과 동시에 데크의 반발력을 이용해 엣지를 체인지 한다고 보구요.
제가 표현을 이상하게 해놓은것 같아요.
다운언웨이팅에서 업상황에서 최대하중이 전해지는것도 동의하구요.
엣지 체인징 타이밍은 업이 완전히 끝나고 데크의 반발력이 나올때, 다운을 이용해서 체인징한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다운 언웨이팅이 데크에 주는 압력을 더 키울수 있다고 봅니다. 그러나 다운언웨이팅이 무조건 좋은 기술이라곤 보지
않지요. 짧은 반경의 카빙턴이 필요하지 않는 곳에서 다운언웨이팅으로 어느정도 이상 반경을 줄이려고 하면 오히려 크게 감소
하게 되죠. 그리고 다운언웨이팅에선 무릅이 턴의 중반으로 가면서 펴지게 되므로 경우 예상치 못하는 지면의 불규칙한 반동을
업언웨팅에 비해 흡수하는것이 더 어렵다고 봅니다. 그러니 압력을 높일수 있다고 항상좋은 것은 아닌거죠. 장단점이 있으니까요

feel와?

2010.02.23 12:06:02
*.170.6.201

생각하면서 이글 읽으니깐 허벅지 터자는듯....ㅋㅋ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580
2317 장비 관련 바인딩 토캡방식 쓰시는데 자주 풀린다면... [14] 프리스퇄 2010-01-28 51 8453
» 기술(테크닉) 압력과 다운언웨이팅, 업언웨이팅 [19] 따랑해 2010-01-28 37 6451
2315 기타 보드장...스키장...가는길에 인증샷?(2) [21] 김구라. 2010-01-26 67 5868
2314 일반 [긴급] 일부 게시판 바이러스 감염 주의하세... [20] KEIhyuk 2010-01-26 32 4707
2313 기타 보드장...스키장...가는길에 인증샷?(1) [15] 김구라. 2010-01-24 38 5743
2312 기술(테크닉) 어깨가 열고 닫힘이란 무엇인가~~~?? [17] volcomsnow 2010-01-24 28 9671
2311 의학,부상,사고 무리한 덕풋, 무릅을 망가뜨립니다. file [85] Gatsby 2010-01-22 32 11418
2310 기타 반다나 편하게 하는방법(여자 분들 경우에욤 file [26] 리얼제이 2010-01-21 32 11870
2309 기술(테크닉) 초보를 강습하기전에 고려해야할 사항2 [10] ┓푸른바다┏ 2010-01-21 42 6964
2308 기술(테크닉) balance(발란스) file [7] 문박사 2010-01-20 35 10930
2307 기술(테크닉) 스노보딩을 하다가 놓치기 쉬운 중요한 것들 [25] 문박사 2010-01-20 29 10564
2306 의학,부상,사고 [배상책임보험]이 없는 상태에서 상대방을 ... [2] 피트박 2010-01-20 31 5037
2305 의학,부상,사고 [의학논문] 하이백에 의한 여성 음문(성기) ... [22] poorie™♨ 2010-01-19 33 15133
2304 기술(테크닉) 팔이 라이딩시 미치는 영향과 팔동작과 하체... file [25] 문박사 2010-01-14 37 11748
2303 의학,부상,사고 부상자 발생시 대처 요령 [6] 패트롤 2010-01-14 28 2729
2302 의학,부상,사고 움직일 수 없는 부상자 발생시 응급 조치 [8] 스크래치 2010-01-13 23 3446
2301 기술(테크닉) 웨이팅(weighting)과 언웨이팅(unweighting) [45] 문박사 2010-01-13 29 9050
2300 장비 튜닝 아크릴로 헬멧 튜닝하기~ 케로로 헬멧 제작기 file [22] 뇽뇽 2010-01-12 26 6019
2299 의학,부상,사고 손목 보호대? [36] 얄라셩 2010-01-12 21 7470
2298 의학,부상,사고 근통증과 스노보드 [4] 문박사 2010-01-12 49 45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