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
오늘 영하로 떨어진 날씨를 보며 춥지만 웃음 지었습니다.
자동차 계기판에 -4도가 왜 그렇게 기쁘던지 *^^*
그러나 타이어 공기압은 32 psi .. ㅜㅜ
주행중 38psi 에 마추는 저는 맨붕 ..... 주말마다 스키장 가서 타이어 넣을 시간이 모자란데 ...
간단한 정보 하나 적어 봅니다.
내차의 타이어의 적정 공기압은 도대체 얼마 일까 ?
아시는 분도 많으시겠지만 모르시는 분도 계시겠죠 .
운전석 문을 열고 문닫히는 부위를 살펴 보시면 내차의 적정 타이어 압력이 나옵니다. (아래사진)
-작년에 제차를 찍어둔 사진이 이렇게 요긴하게 쓰일줄이야 ..
혹시 없다 그러면 바퀴를 보시면 됩니다.
- 이건 제차 아닙니다 어디서 퍼온것 입니다.
2개의 공기압을 같다고 보시면 않됩니다.
위의 첫번째 사진은 주행전 표준 공기압이고 (실제 주행하면 올라 갑니다. )
아래 사진은 타이어의 MAX 압력 즉 저거보다 높으면 터질 가능성이 많다는 말이죠 ..
자동차의 타이어 마다 적정 공기압이 틀려 꼭 찍어서 말할수는 없지만
겨울철에는 공기 밀도가 높아서 많이 떨어지니 평소에 넣는 공기압보다 10% 더 넣으셔야 합니다.
TPMS [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 가 언제부터 인지 모르지만 법으로 규제하고 있어서 요즘차에는 다 달려 있죠 .
이센서가 달려 있는 차들은 수시로 공기압을 체크 할수 있어서 모자랄때 카센터를 가셔서 채우시면 되는데
없으신 분들은 힘들겠지만 겨울철 한달에 한번정도는 꼭 체크 하시기 바랍니다.
잘모르시는 분들은 오토큐나 블루핸즈 가시면 무료로 점검해주니 겨울철에 잊지 마시고 꼭 한번 들려 주시기 바랍니다.
안전 보딩 하시고 안전 운전도 꼭 하시기 바랍니다.
그냥 적정공기압이 제일 좋습니다.. 헬라 같은 공기압 측정기로....수시로 체크하시면 항상 타이어 상태도 좋게 유지 할수 있구요.그렇지 않으면 윗분 말씀이 옳습니다..겨울에는 공기압이 별로 빠지 않습니다.. 여름에는 공기압차이가 많죠..예를 들어서 냉간시에 32라면 일반도로 주행하면 35까지 고속주행하면 38까지 올라갔다가...정차하면 32밑으로 떨어지기도 합니다... 겨울에는 아무래도 온도가 낮으니... 변동이 크지 않습니다. 겨울에는 오히려 적정공기압보다 10%적은게 좋을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적정 공기압에서 20%이상 낮으면 타이어 성능을 제대로 발휘하기 힘듭니다..
여름은 더 많이 넣으라고
자동차명장이 말했어요ㅎ
겨울엔 타이어가 추워서 수축하는데 공기압이 조금적어야 적정 공기압이돼고
여름엔 타이어가 더워서 팽창하는더 공기압이 조금더 많아야 적정 공기압이돼는데
그걸 평균치해서 냬놓은게 적정 공기압이라고 문짝옆에 있는 그거래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