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말씀하시는게 가족보험... 인가 확신할 순 없지만
가족보험이라는 가정하에 말씀드리면은
운전경력인정이 안되서
나중에 따로 보험들게 되면 할인이 안되서 비싸요..
동생도 차를 사고 차 명의가 아빠여서 가족보험을 들었는데
그 차를 4년 몰고 차를 바꾸면서 자기 명의로 했는데
4년 경력이 인정이 안되서 보험비를 왕창 냈지요.
저도 동생이 4년 몬 차 제가 가져다 쓰면서 가족보험으로 들다가
다행히? 결혼하고 지금은 신랑명의차 끌면서 제 명의의 차를 가져본적이 없는데
나중에 제 명의의 차를 가지게되면 보험료가 많이 비쌀 단점이 있더라고요.
위 분 말처럼 고려 잘 해보세요
지금 몇%를 내고 있는지 오르는건 몇%가 오르는지? 확인을 해보세요
물론 나이가 30세 넘어가면 좀 많이 내리긴 하지만요
아버지 이름으로 차량 두 대를 가입할수는 있습니다. 날짜가 달라도 상관 없습니다.
동일 증권으로 가입이 가능하며 차량 두 대중 사고가 한 대만 난다고 해도 두 대가 전부 보험료 인상이 되는건 아닙니다. 사고난 차량만 다음연도에 할증이 되거나 할인이 멈추거나 합니다. 지금 내는 보험료가 100%넘는 다면 3년동안 아버님 명의로 하다가 다시 본인 명의로 한다면 이득일수 있지만 지금 80%정도 되는데 20%인상이면 별로 명의를 옮길 필요는 없다고 생각이 듭니다. 3년동안 차동차 보험 계약이 없을시에는 다시 100%부터 시작 하니까요 할증률이 많이 올라서 150%이상이면 명의를 옮겨야 겠지만 100%~110%인데 명의 옮겨서 가족 추가 하면 그게 그걸일 거라는거죠. 뭐 대충 이정도 설명 드리겠습니다. 글이 길어지면 읽기 짜증나잖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