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힐턴 터지는 문제를 해결하신, 고관절 접기 (상체 숙이기) 를 린아웃이라고 합니다.
린아웃은 외경이라고도 하고, 바깥쪽으로 기울이다라는 뜻으로, 턴호의 바깥쪽으로 몸을(상체를) 기울이는 것을 말하는데
힐턴에서의 린아웃은 크게는 고관절 접기 (상체 숙이기) 와 무릎 펴기 (보드 밀어내기) 두 종류가 있습니다.
bbp 자세를 기준으로, 고관절을 더 접는다거나, 무릎을 더 편다거나,
또 둘 모두를 같이 행한다거나 하는 동작 또는 자세를 말하지요.
이는 당시 기울기 상태에서, 엣지를 더 세워주는 자세입니다.
턴(보드가 턴호를 그리는)을 하려면 기울기가 필요한데
기울기가 만들어지면, 중력이라는 녀석은 기울기를 계속해서 더 증가시켜서 라이더를 넘어뜨리려고 하지요.
이 때, 당시 턴에서 필요한 만큼만 기울기를 확보하고 더 이상은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기(넘어지지 않기) 위해서는 대개
비비피 자세보다 엣지를 더 세우는 자세, 즉 린아웃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린아웃이 과하면 어떤 결과가 나타날까요?
기울기가 다시 세워지게 됩니다.
다음 턴으로 넘어가려면 기울기를 세워서 다음 턴쪽으로 넘겨야 되는데
이러한 과한 린아웃이 바로 다음 턴으로 기울기를 넘기는 방법 중에 하나인 것입니다.
린아웃으로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턴을 이어나가다가 이제 마무리하고 다음 턴으로 넘어가려면
린아웃을 더 크게 해서 기울기를 넘기는 거지요.
힐턴에서는 상체를 더 숙인다거나 (고관절을 더 접는다거나) - 벤딩턴(다운언웨이트턴)
보드를 밀어낸다거나 (무릎을 더 편다거나) - 스트레칭턴(업언웨이트턴)
하면 기울기가 세워지고 넘어가게 되어 토턴으로 전환할 수 있게 되고
토턴에서는 상체를 더 세우거나 (고관절을 더 펴거나) - 스트레칭턴
무릎을 더 구부리거나 - 벤딩턴
하면 기울기가 세워지고 넘어가서 힐턴으로 전환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보더는 스트레칭턴을 배우는데
아헤헤님은 어쩌다가 벤딩턴을 터득하신 모양입니다.
바이크에서 린아웃 린인 개념은 이해를 했었는데, 보드에서는 이런 의미군요.
외경, 벤딩턴, 스트레칭턴 등등 못보던 단어들을 이해하느라 여러번 읽었습니다.
정말 자세하게 설명해주셔서 이해가 갔습니다.
저는 엣지 타이밍에 고관절을 더 접어서 벤딩턴(다운언웨이트턴)이 된거군요.
만약 힐턴에서 토턴 중간 사이에 무릎을 피면 스트레칭턴(업언웨이트)이 되는거구요.
상상도 못했습니다. 힐턴에서 힐엣지를 빼낼때 무릎을 펴면 역엣지로 땅에 박을까봐하는
두려움이 가득했는데, 오히려 반대로 무릎을 피면 엣지가 빠지면서 업언웨이트가 되는군요.
이건 두려움의 문제인거 같은데, 많이 타보겠습니다.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신 조언들 너무 너무 감사합니다.
그런데, 업언웨이트는 일어서면서 프레셔를 해소하는거 같은데
다운언웨이트는 어떻게 프레셔를 해소하나요?
사람들 보면 엣지로 타다가 속도가 붙으면 어느정도 업힐턴을 하면서 슬로프 중간 중간에 쉬는거 같은데
타는 요령이 없다보니, 허벅지에 많은 무리가 가는 느낌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