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일단  제  베이스는  휘팍,하고  베어스입니다  다름이아니라  작년비발디가  베이스였을 땐   스키어분들이  많아서  보드를  타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지않았는데.....  휘팍에  와보니깐  스키가  느낄  수  없는  매력을  가진 것이  스노우보드라고  느꼇습니다. 정말  재밌어보이고  점프도  스키보단  쉬어보이더라구요...  급사에서도  스키의   패러렐보단   슬라이딩턴이  좀  더  쉬어보이구요  그래서   한번  스노우보드를  타볼까하는데...   도통모르겠습니다.   장비에대해  전혀  감이오지않아요  사실  제가  스키로  비발디ㅣ테크노  미들카빙으로  즐길 정도로 스피드에대  겁도없고  스피드를 좋아하거든요  그래서   스키로는   아무리해도  어려웠던  그라운드트릭, 지빙등을  해보고싶은데  정캠을  타면  트릭 ,지빙이  어렵다고들  하시고  역캠타면  초보자들이  적응하기어렵다고들  하시고....  도저히   답이안나와서   감히  미천한  글  남겨봅니다  고수분들 보드로  리프트한번  안타본 스키어가  어떤데크,부츠를타야  재밌게  탈  수  있을까요???

엮인글 :

부자가될꺼야

2016.12.13 22:40:10
*.214.194.131

일단 보드 기초부터 시작하셔야 하네....

 

그럼 렌탈이나 싸구려 막데크 막장비로

 

베이직 카빙까지 완성하시고

 

그이후 데크를 한번 바꾸셔야 해요... 그때 지금 하는 고민을 하시면 되요

 

데크 하나 사서 평생 쭉 가실려는건 좀 무리...

 

일단 정캠으로 시작하는게 낫지 않을까요?

고딩스키어

2016.12.13 22:43:11
*.62.229.24

한두시즌타고 18년도에  취업예정이어서  월급받으면   장비는  교체할겁니다

보딩홀릭줌마

2016.12.13 22:43:42
*.174.46.107

제생각은 장비걱정보단 보드입문을 먼저하시고 보드의 매력에 빠지신다음 장비맞추셔도 됩니다! 우선 렌탈로 입문먼저 해보세요!

고당스키어

2016.12.13 22:44:42
*.62.229.24

혹시  강습을  꼭  받아야하나요

보딩홀릭줌마

2016.12.13 23:01:58
*.174.46.107

꼭 받으세요! 뭐든 기초가 젤 중요하니! 주변지인중에 보드 중급이상되시는분 있다면 부탁하시고 없다면 강습받아야죠! 헝글에도 강습해주시는 실력자분들 많아요! 강습게시판에 글 남겨보세요! 어느정도 기초강습받고나면 헝글활동하시면서 독학도 괜찮을듯! 프리스키 잘타신다니 어느정도 독학도 가능하다봅니다! 미천한실력의 제가 이런조언아닌 조언을 하는게 우습지만.......ㅡ.ㅡ

고딩스키어

2016.12.13 23:04:37
*.62.229.24

아  조언감사합니다  참고로  전  좀  하드한  일반카빙스키를  주로탑니다  ㅎㅎ   그러다보니   할만한게   라이딩이랑  점프밖에업서엇  ㅠㅠ

보딩홀릭줌마

2016.12.13 23:06:59
*.174.46.107

어서 보드 입문하세요!!!! 스키와다른 또다른 매력에 헤어나오지 못해도 전 책임 안집니다!!!!!!!!! 저도 아직 허우적대고있어요!!!!!ㅋㅋㅋㅋ 여기 허우적대시는 보더분들 천지입니다! ㅋㅋㅋ

안녕상운

2016.12.13 22:52:30
*.36.156.36

강습은 필수일듯합니다 ㅎㅎ
스키로치면 프리스키가 지빙/파크/그트이구요
회전반경긴게 라이딩..이라고보심될듯
근데 스키도 똑같듯이 잘타면 다됩니다 ㅎㅎ

pink

2016.12.13 23:23:31
*.7.58.154

스키 타시던분들은 보드도 빨리 배워요~
슬롭도 익숙하고
스피드도 적응되어 있고
운동감각도 좋거든요
스키보다 보드가 쉽다는 말은 동의하기 어렵네요..
참고로 전 둘다 다 타거든요~
데크를 사실거면 정캠 추천 드려요~

이나중보드부

2016.12.13 23:38:31
*.145.93.140

스키 타시면 프리스키도 괜찮을꺼 같은데요?ㅎ
프리스키로 파크에서도 즐길수 있습니다ㅎ

산적왕루피

2016.12.14 00:24:55
*.144.22.67

우선, 저는 스키어라는 밝히며, 스키탄지는 14년차지만, 제대로 탄건 09/10시즌부터 탔으니  7년간 입니다.

그동안 09/10시즌부터 시작해서 겨울시즌 외에 2010~13년 웅진에 1년에 150회이상 다니고 있었습니다.

지금도 웅진은 자주 다니고 있는데, 올해는 상단을 않열어서 10회도 않갔네요.

2010년부터 모글을 타고 있는데, 제 주변환경상 프리스키어들 여럿과  모글 국가대표 10여명을 알고 지내고 있습니다.

모글대회 나가면 입상을 족족하는, 아마추어 모글스키어도 꽤나 알고 있는데, 이분들 대부분이 최소한 점프는 하고 지내십니다.



그분들이 공통적으로 하는 말이 뭐냐면, 스키로 치면 패러렐까지 마스터하고선 키커나 그라운드트릭에 도전하라는 것입니다.

보드도 마찬가지지만, 스키는 키커나 그라운드 트릭을 할때 체축과 업, 그리고 어깨축선과 시선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체축, 업. 어디서 들어본 얘기 아닌가요?

네 맞습니다. 전경, 후경 할때 나오는 체축과, 업다운할때의 업입니다. 

그리고 상체를 고정시키고 골반이하로만 턴호를 그리는 로테이션을 하는...그때 나오는 어깨축선입니다.

시선도 마찬가지죠. 바로 인터에서 나오는 가장 중요한 포인트가 프리스키에도 적용이 되더군요.


가령 내가 점프대에서 점프를 할때, 그냥 무작정 뛰게 되면 몸이 뒤로 살짝 넘어간 상태에서 뛰는 것이기 때문에

착지할때 내 몸은 뒤로 젖혀져있는데 착지는 앞으로 숙여야 할수 있는 각도라 결국 넘어집니다.

그래서 체축을 앞으로 숙인 상태에서 업을 해야 합니다. 체축과 업을 같이 병행해야하죠.보통 전진업이라 표현합니다.

배치기랑은 틀려요. 전진업 하는 방식이 따로 있지요.


그리고 1바퀴, 2바퀴, 3바퀴 등등 점프한 상태에서 돌고 싶을때는 어깨축선을 제대로 돌리지 않으면 착지할때 굉장히 어렵습니다. 이때 시선도 같이 병행을 해야 됩니다. 이게 엄청 어렵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3바퀴도는(1080도라 우리는 텐이라 합니다만) 것 이상 돌릴때 않돌아갑니다. 그런거 무시하고 억지로 돌리면 2바퀴정도까진 돌릴수 있습니다만 그 이상은 보통 못돕니다.


이처럼 스키만 해도 인터에서 연습한 것을 가지고 프리스키에 적용을 시켜야 하는데

보드도 마찬가지로 기초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말짱 꽝이에요. 다칩니다.

스키든 보드든 즐기는게 우선이지 돈내고 시간쓰며 스트레스 받으며 굳이 연습해야 한다? 맞습니다. 그게 정답이에요.

최소한의 연습과 이론을 배우고 나서 타야하는게 맞습니다.

지산에서 모글타는 국가대표주니어 아이들 보면, 제대로 못타면 걸어올라와서 될때까지 가르치고 점프시켜요.

이렇까지 강조하는 이유는 뭐냐면, 좀 독한 말입니다만, 모르고 멋있다는 이유로 뛰면 '니가 뒤지기 때문입니다.'


자동차를 단순히 즐기고 싶다고 해서 면허증없이 운전해도 되는건 아니듯이,

최소한의 기초, 이해와 연습을 하지 않으면 본인이 죽거나 다칩니다. 그만큼 위험하고 남에게도 피해를 줄수도 있는 경우에요.



그리고, 스키보다 보드가 더 어렵습니다.

첫째 두 발이 묶여있다는 것이 생각보다 훨씬 어려운 부분이고,

둘째 스키를 타다 넘어오면 진행방향의 시야가 틀려지다 보니 많이 답답하고 안전하게 느껴지지 않을수 있습니다.

         쉽게 말하자면, 등 뒤쪽으로 턴을 할때 시선이 스키만큼은 보이지 않는다는거죠.



잘 생각해서 타시길 바랍니다.

굳이 타시고 싶으시면, 먼저 프리스키를 타보고 넘어오셔서 강습받고 타시는 걸 제일 추천합니다.

최소한의 맛은 볼수 있거든요.

낙엽만프로

2016.12.14 06:59:08
*.223.12.130

스키 오랫동안 타다가 보드로 전향했는데... 첫날 넘힘들어서 때려치고 다시 편하게 스키탈까? 라는
생각에 고민 많이 했어요. 종목 바꾸고나니 딱하나. 리프트 타는것만 익숙하고 나머지는..온통 @.@
안전장구(엉보. 무릅보.손목보. 헬멧. 고글) 반드시 우선하길 권해요.
눈 에 스키장에 익숙하다는거 외에는 모두 다시 시작한다 는 생각으로 출발하면 됩니다.
일단 렌탈로 보드 라는거 한번 맛보고 시작하세요.
부디 안보 하세요 ^^

보드꼬마

2016.12.14 09:21:44
*.61.23.220

최대한 빨리 전향하는걸 추천합니다 저도 원래 스키유저였다가 점점질려서 보드로 전향준비했다가 지금은 다시포기상태 ㅋㅋ


우선 스키타면 넘어질일 단한번도없고 내가하고싶은 스킬하면서 다녀서 재미있는데 보드타면 완전 초보니 초급슬로프에 넘어지기반복 이게 너무 노잼이더라고요

거기다 발이 따로따로 분리되잇다가 합쳐지니 더욱 적응안되고 

처음부터 보드배웠으면 모르겠는데 스키로 최상급에서 내려오다가 보드로 초급가면 흥미안나요 ㅠ

초반배울때 지루함을 잘 견뎌야합니다

류니주야

2016.12.14 09:56:32
*.122.208.102

자기주변에 본인에게 보드를 알려줄 수 있는사람이 있다면 과감하게 보드로 전향하셔도 후회안하시겠지만 지금 그래보이진 않으시네요... 패러렐보단 보드의 슬라이딩턴이 좀 더 쉬워보인단건 본인이 스키 강습을 제대로 받아보시면 패러럴로도 쉽게 내려오실수 있으실겁니다. 스키는 강습을 토대로 즐길수있는 스포츠라고 생각합니다. 지금상황에서 스키를 타시던 보드를 타시던 강습은 필수인것 같은데.. 만약 보드로 전향하실 거라면 막데크를 중고로 구매하셔서 베이직턴까진 강습 받아보세요 ㅎ 

덜 잊혀진

2016.12.14 13:52:37
*.138.120.194

고딩인데 더블 베이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9] Rider 2017-03-14 167500
162736 동영상을 찾습니다 [9] 작전참모 2016-12-13 418
162735 바인딩 셋팅하다보니 상태가 이상합니다.. 이거 사용가능한가요?? file [5] BigBoss 2016-12-13 590
162734 아노락 vs 톨후드 [12] 보드왕초보2 2016-12-13 650
162733 첫 장비 구입합니다~ 조언을 부탁드려요 [2] 사이다17년산 2016-12-13 340
» 보드가 타보고싶은 고딩 스키어입니다 [15] 고딩스키어 2016-12-13 994
162731 언니오빠동생들 ^^ 여기 붓아웃 좀 봐주세용~* file [16] 묭슈이♡ 2016-12-13 665
162730 부츠 사이즈 질문드립니다. [2] 꼴통대마왕 2016-12-13 410
162729 버튼 데크 질문있습니다. file [3] 나기노기누기 2016-12-13 466
162728 (첨부파일) 데크 바인딩 부츠 정보좀알려주세요! file [2] 시리즈3 2016-12-13 394
162727 보드복 이요 [6] 쪽지함 2016-12-13 452
162726 진공유저분들 [3] 소태동비둘기 2016-12-13 415
162725 에덴밸리는 야간시즌권이? [1] 웅가요 2016-12-13 379
162724 헤드해머 [2] 바람의끝까지 2016-12-13 487
162723 보아부츠 추천좀 해주세염~ [10] 바둑이지존 2016-12-13 721
162722 혹시 전향각 [3] 궁민 2016-12-13 650
162721 k2다코부츠 보아고장ㅠㅠ [6] 이카포 2016-12-13 878
162720 하이라이프 스탠스 질문이요 [4] 짱쥐 2016-12-13 425
162719 어린이 바라클라바가 있나요? [4] 딕보이 2016-12-13 429
162718 바인딩 센터링 관련 질문드립니다 [2] 재이아빠 2016-12-13 307
162717 입문 초급자용 세트 길들이기 왁싱 굳이할필요있을까요? [4] 엠마휴잇 2016-12-13 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