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 고관절은 골반하고 허벅지를 연결해 주는 부분 관절이에요
이렇게 설명드리면 엉덩이살짝 아랫부분이 되니 여기를 어찌 접나 하시겠죠?
제가 그랬거든요 정확하게 접는다기보단 내린다의 느낌이 아닐까 싶어요
톱니로 생각을 하면 무릎에 톱니두개가 맞물리고 엉덩이랑 허벅지부분에도
두개가 맞물리고 몸이 움직이는 관절부분은 그렇게 된다고 생각하심 될 거 같구요
모양상 오른쪽 복숭아뼈부터 엉덩이까지 알파벳 N 자를 만든다는 느낌이 아닐까 싶어요...
물론 완벽한 N자라기보단 그런 느낌으로 접히는 거죠
N에서 꺽임이 앞에 꺽임이 무릎 뒤에 꺽임이 고관절이라고 생각하시면...
도움이 되셨을지....;;
"카빙 연습중인데 엉동이가 잘안내려가고 계속 곱등이라 되네요"
힐턴에서 엉덩이가 잘 안 내려간다 즉 기울기를 더 확보하지 못한다는 것은
무릎을 굽히면서 엉덩이를 내리려하기 때문입니다.
무릎을 굽히면 엣지각이 작아져서 슬리핑이 되어버릴 것이기 때문에
더이상 무릎을 굽히지 못하는 것이지요.
무릎을 굽히기 보다는 살짝 펴면서 즉 보드를 밀어내면서, 상체를 숙이면서 엉덩이를 내려보세요.
"골반을 보드 진행방향으로 열면 자꾸 보드가 왼쪽으로 돌아 가계 되네요"
힐턴에서 골반을 열면
노즈쪽은 앞꿈치가 들리면서 토엣지가 세워지고
테일쪽은 앞꿈치가 눌리면서 엣지각이 줄어들게 됩니다.
테일쪽 엣지각이 작아지도록 데크가 비틀어지는 거지요.
그래서 테일이 미끄러지는 테일슬맆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영상을 보면 힐턴에서 토턴으로 전환할 때
어깨를 닫으면서 토턴으로 넘어가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비기너턴, 나비스턴, 슬라이딩턴에서의 버릇일 수도 있지만
테일슬맆이 일어나고 있어서일 수 있겠네요.
영상에서 토턴도 살짝 불안정해 보이는데
일단은 더 불안정하게 여기시는 힐턴을 먼저 다잡으시고 ...
음 .... 다른사람들 타는것이 멋져보이고 하지만요
그게 다 단계가 있더라구요
해머댁으로 바꾸시면서 적응하는 단계이신지 ??
암튼 해머댁이든 아니든
라이딩의 기초는 시선 어깨 골반 하체 순으로 따라 와야 하며 롱턴 위주로 연습하다 숏턴으로 가야하고
기울기를 얕은 정도에서 깊에 가져가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야하고 그러다 보면 기울기만으로는
힐턴이 터지는구나를 깨우치게 되고 그러면 고관절 접는 연습을 하게되고
그러다보면 토턴시 자연스럽게 오른쪽 무릎이 슬롭에 쓸리는 경험을 하게 될것이고
그러면 바인딩 각도 조정과 무릎은 선행하는 무릎쪽에 붙이려고 연습하게 될것이고
그 다음에 손을 안 짚으려고 해도 손이 닿을거예요
이상 오징어가본 짧은 느낌과 조언이어써요 ^^ 즐보딩 이 항상 제일 중요해요 ^^
제가 본 느낌은 뭐랄까 손을 일부러 땅을 짚으려고 하다보니 그런 자세가 나오는거 같네요
고관절을 접고 가면 좀 이쁜 자세가 나오지 않을까요
억지로 짚으려고 하지 마시고 다운이 자연스러워지면 손은 편안한 자세에서 닿게 되는거 같구요
골반을 보드 진행방향으로 열면 보드가 왼쪽으로 돌아간다는 건 힐턴에서 그러시는건가요?
그건 제 생각에 엉덩이를 다운하면 후경이 되는데 그 상태에서 상체로 균형을 맞춰주면서
중앙에 무게가 실리는 느낌이 되야 하지 않을까 하는 소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