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mxkxhghks7xrybzbqvjg.gif



마누라가 ABS나 TCS 같은거 궁금해 하길래 이야기 해주고 찾다 보니깐 이런게 나오네요. 

첫번째 차량(ABS 작동)이 정지한곳에 콘을 세워놓은겁니다. 



보통 사람들지 잘못 알고 있는 상식중의 하나..




소리조각

2016.12.20 17:50:00
*.90.74.125

제동거리는 오히려 더 긴건가요? 그냥 미끄럼 방지예요?

hello072

2016.12.20 17:50:52
*.36.138.198

abs가 제동거리가 더 길다는건가요?
사실 abs는 제동거리 단축이아니라 제동중 조향을 가능하게 해주는 장치죠....

파리루베

2016.12.20 17:51:44
*.253.82.235

실질적으로 브레이크잠기는 시간은 줄어드는거라 차가 미끄러지는걸 방지하는거지 제동거리가 줄어드는 건 아닌 걸 말씀하시는거죠?? 

2016.12.20 17:55:22
*.134.234.254

abs가 제동거리가 더 길지요


대신 콱 밟았을때 abs가 없으면 미끌려서 제어가 안될확률이 높지만


abs 는 안미끌리고 멈추지요

soulpapa

2016.12.20 17:59:23
*.96.183.173

ABS 걸리면 제동걸이 길어지는게 맞습니다. ABS 작동할 때 발에서 먼가 기어 걸리는 소리처럼 '따따따' 소리를 내며 브레이크가 깊게 안밟히게 됩니다. 대신 차가 획하고 돌지 않도록 조절해 주는 기능을 하게 되죠.

TEAM제로

2016.12.20 18:04:46
*.146.246.225

허얼 몰랏엇네요

덜 잊혀진

2016.12.20 18:10:17
*.138.120.194

눈이 쌓여 있는 특별한 상황이군요.

빙판에서 촬영된 경우도 있을까요?

올시즌카빙정벅

2016.12.20 18:19:34
*.62.229.253

실지 경험 해 보면 뜨끔 합니다

ABS느낄려면 브레이크 꽉 밞음.느낄수 있어요

ThreeSevenZero

2016.12.20 18:35:21
*.195.49.116

ABS - anti lock braek sys ....브레이크 밟았을 때 휠이 잠기는걸 막아주는 겁니다

휠이 잠기면 그냥 미끌어지면서 조향이 불가능해지집니다

ABS는 휠이 잠기는거를 감지해서 브레이크를 잡았다 놓았다를 짧은 시간에 반복해서 바퀴가 계속 굴러가게해서

조향이 가능하게 해주는 기능인데 실제 정상적 노면에서 제동거리를 줄여주진 않습니다. 비슷하죠 

 미끄러운 노면에서는 제동거리가 늘어날 수 있습니다.

초록방수도료로 코팅된 주차장에서 비온날 물기 있을 때 경험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저 짤은 아래에 ABS 작동안하는 경우 운전자가 휠안잠기게 정말 자~알~ 브레이크를 밟은 경우입니다

일반적으로 쉽지 않죠 

  

포포로포

2016.12.20 18:52:01
*.124.92.14

제가 그래서 빗길에서 앞차를 박았습니다
제차만 250...
다다다 소리만 나고 속도가 줄지 않더군요 ㅎㅎ

ㅇㅇ

2016.12.20 19:22:54
*.101.22.182

오히려 ABS에 대해 자세히 모르면서  글을 쓰신듯...


ABS의 개발 시초는 항공기에서 사용되면서 부터인데.. 이야기 각설하고, 개발 자체가 제동력으로 개발된 것입니다.


최대정지마찰력을 이용하여 최대한의 제동력을 뽑아내면서도, 타이어의 모든면을 골고루 쓰면서 비싼 타이어의

교체시기를 늦추기 위해 개발된 것 입니다. 개발하고보니 락이 걸리지 않는다는 장점도 추가로 발견되었고, 이를 차량에서 더 유용하게 써먹을 수도 있게되었죠. 즉, 제동력보다 조향가능이 더 큰 메리트로 다가온 것이지요. 마치 비아그라처럼 말이죠.


본론으로 돌아와 조금더 정확히 말하면 제동력은 노면이 변하지 않는 일정한 상태에서의 최대정지마찰력을 이용하기에 유리하게 되는 상황이라,  눈이라던가 아주 미끄러운 구간? 모래밭 등에서는 오히려 제동거리가 길어질 수 있습니다.

이유는 노면이 변하면서 (타이어가 락걸리면서 미끌리면서 눈을 끌어모아 앞쪽으로 뭉친다거나..하면 기존에 사용하던 눈 노면의 최대정지 마찰력을 넘어서는 눈모글(경사면, 업힐상태.. 기본 마찰에너지 + 위치 변경을 위한 운동에너지)로 인해 차가 나아가지 못하는 것이요.. 꼭 저런 경우가 아닌 일반 도로에서도 조건이 맞으면 타이어가 뭉게지면서 마찰력이 오히려 더 증가하는 경우도 있긴 합니다만, 일반적인 마른도로에서는 대부분 ABS가 제동거리가 더 짧습니다.. 


그리고 사진 보니 차 자체에 락이 안걸렸네요.. 저건 운이 좋은건지 실력이 좋은건지.. ABS 개입 타이밍보다 더 좋은 감으로 브레이크 잡은 겁니다. 

ABS가 제동거리가 늘어난다는 속설은 상황에 따라 그럴수도 아닐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인 상황이라면 ABS 있는게 훨씬 좋습니다. 당신이 프로급 센스의 드라이버가 아니시라면요.

01030431438이경진

2016.12.20 21:05:26
*.111.1.213

ABS 고장나서 브레이끼에 휠 잠기면서 블랙아이스에 쫙 미끌어지면서 차가 돌면서 앞뒤로 6번 정도 쾅쾅 처박아보니 아 고치고 탈껄 하는 후회가 들더이다

슬림형

2016.12.20 21:49:22
*.33.160.24

저랑 비슷한 경우네요! 다만 저는 사고는 안났고
경고등 뜨고 무시하고 걍 다녔는데 빙판길에서
차가 빙글 돌아버리더군요.. 얼마나 놀랬는지..
정비사업소 가서 ABS모듈 가격 물어보니
자그마치 100만... 지금도 걍 다니는데 눈오면
불안 불안...

싼도싼도

2016.12.20 22:52:18
*.142.217.240

오옷 좋은 정보네요 ㅎㅎ 강추 !!!

소나차

2016.12.21 00:10:21
*.223.26.171

abs없이 차량운전은 프로드라이버급아닌이상 힘들죠
브레이크락안걸릴정도의 브레이크양을조절한다는건
일반인으로는 불가능합니다

김진표씨사고도 브레이킹미스였죠
레이싱차량들은 abs가없습니다
드라이버가 순전히 브레이킹을조절합니다

왕초보가족보더

2016.12.21 00:17:17
*.247.188.102

흠... 근데 영상을 그대로 믿기 어렵네요... 아무리 무게밸런스 잘맞고 직진중이라지만... 하고 쓰려다 뭔가 이상해서 영상을 다시보니

드라이버 실력이 장난 아니네요~~~

눈길에서 브레이크 락 안걸리고 바퀴가 굴러갈 정도로 약하게 브레이킹해서 차를 저렇게 세우다니~~~~


일반적으로 눈길에 부레끼 좀 밟으면 곧바로 차가 획가닥하죠~~~

두발을묶고얻는자유

2016.12.21 00:26:27
*.100.81.157

abs덕에 앞차 추돌 피한 경험이 있습니다. 꼭 달고 다니시고 고쳐서 다니시길 추천 드립니다

케르베로스♂

2016.12.21 01:30:58
*.4.238.135

abs 느낄려면... 요철? 속도방지턱?  앞바퀴 올랐다 싶을때 브레이킹 하면 파바박~ 하면서 abs 작동 느껴집니다~ ㅋ


abs 없이 고속에서 급 브레이킹 시전하면 차가 돌 위험이 상당히 많이 증가하고...


타이어는 걸레짝 단면 마모 되어서 못쓰게 됩니다~ 꿀렁꿀렁~ ㅋ

saeba

2016.12.21 04:09:43
*.52.215.173

본 글은 '일반화의 오류'를 범한 글입니다.

영상에서의 브레이킹은 위에서 몇 분이 말씀하신대로 드라이버가 컨트롤을 아주 잘 한 특수한 경우이고 ABS는 분명 빗길과 눈길에서 NON-ABS에 비해 제동 거리가 짧습니다.

드라이빙스쿨 가보시면 맨 처음해보는게 ABS와 NON-ABS의 빗길에서의 비교 테스트입니다.

ABS가 브레이킹 시 락을 방지하여 조향에 유리하기도 하지만 빗길, 눈길에서 락을 방지하여 NON-ABS에 비해 제동거리도 짧습니다.

또한 NON-ABS 차량이 락이 걸릴 경우 스핀이 발생하여 사고의 확률이 훨씬 높습니다.

차량의 ABS나 ESP, ECS 등등 각종 전자장비들은 빗길이나 눈길 등의 특수한 상황 시 브레이크락 또는 언더스티어나 오버스티어로 인한 스핀 발생을 미연에 방지해주어 사고 방지에 도움을 줍니다.

제발 이 영상으로 인해 ABS 없는 차량이 좋다는 판단은 하지 않으셨으면 좋겠네요.

5센치

2016.12.21 09:04:52
*.62.215.123

메이커마다 다르지만 ABS 의 작동조건이 있고 윗분말씀대로 연동해서 같이 작동하는 개입장치들이 많아요. 조건에 따라 제동거리가 길어지긴 허나 본래는 제동거리 단축 + 브에이크 잠김방지로 인한 조향성 확보입니다. ( ㅇ ㅇ 님 saeba님 말이 맞습니다.)

알트

2016.12.21 21:04:01
*.107.25.145

케이스 바이 케이스입니다. ABS 세팅 제대로 하려면, 입력해야 하는 변수 개수가 300 개가 넘습니다. 이게 안 되니까 상당수의 변수들은 퉁쳐서 관계식을 세우고, 세팅을 하는데 메이커에서 정상적으로 세팅을 하는데 거의 연 단위로 걸립니다. MBD 툴 및 타이어 이론으로도 한계가 많아서, 제동거리 시뮬레이션도 딱히 정확하지가 않구요. 노면에 따라 최대정지마찰력이 다른데, 일반 승용/상용차에는 휠 엔코더 센서만 있지, 차속/가속을 측정하는 센서가 없습니다. 단가 문제가 큰데...GPS는 애당초 반응속도가 따라가질 못하구요. 노면에 따라서 ABS가 잘못 상황을 인식하는 경우, 풀 브레이킹으로 락이 걸릴 때보다 제동거리가 길어질 수 있습니다. 다만 마른 아스팔트 기준으로 최대 정지마찰력이 발휘되는 슬립률 0.1 부근의 영역에서 솔레노이드 밸브 등으로 약 50 Hz 내외의 속도로 유압라인을 교번시키는데...이 조차도 줄이기 위해서 피에조 액츄에이팅으로 기술 개발이 이뤄지는 추세이고...이대로라면 어느 환경에서든 ABS가 숙련된 인간보다는 무조건 제동거리 상에서도 우위에 설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61] Rider 2017-03-14 43 220877
149936 ABC와 관련되어 잘못 알고 있는 상식 file [19] 향긋한정수리 2016-12-20 4 1846
» 자동차 ABS와 관련되어 잘못 알고 있는 상식 file [21] ㅁ.ㅁ 2016-12-20 2 2539
149934 하 이번주 목요일 연차 쓰고 용평으로 평일 보딩 가는데~비네요.... [7] 인생은 고독~ 2016-12-20   809
149933 '여고생 나라의 꿈' 이라는 단편영화를 봤는데요 [3] 뼈주부 2016-12-20 2 710
149932 무료 강습 원하시는 분 해 드립니다. [42] 스크래치 2016-12-20 3 2830
149931 강촌 야간스키 타다왔네요 ㅎㅎ file [5] 부릎뜨니숲... 2016-12-20 4 1283
149930 유부 보더의 시즌 나기 일기. [19] led 2016-12-20 20 1223
149929 오늘 엄청 기묘한 일을 겪었습니다. [20] H9 2016-12-20 2 1881
149928 크리스마스 일정 인증 file [13] 강철어린이 2016-12-20 5 1514
149927 웰팍 다녀왔어요 ㅎ file [4] Snowindy 2016-12-20 1 997
149926 내가 이럴려고 자게들어왓나 자게감들어!!!!!! [22] 앨리스양♥ 2016-12-20 6 2010
149925 [에덴]물건을 찾습니다 [6] lihan 2016-12-20 1 741
149924 이런일이 또 없길.. [5] 맑은연 2016-12-20 1 1080
149923 끌올~필요하신분 ~ㅎㅎ(추가 품목) file [2] BlackField 2016-12-20 1 1133
149922 휘팍 제로쿨투어 멋지네요 아주 그냥.... [11] 순살치킨 2016-12-20   1560
149921 하이원은 온도계가 밑장빼기를 하네요 ;; file [5] Dinos 2016-12-20 3 1751
149920 현장사람 입니다. 반팔 입구 일하고 잇어요 ㅡㅡ file [7] 꽃보다스노보드 2016-12-20 1 1763
149919 40대 아재 입니다. 노즈그립 한번에 안되는게 정상이죠?? [13] 호9 2016-12-20   1433
149918 망했다.. ㅡㅡ [6] 착한아빠 2016-12-20 2 968
149917 우결 정혜성.. [8] 고니농 2016-12-20   2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