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안녕하세요 며칠전에 태어나서 처음으로 스키장에 갔다왔습니다 곤지암에 다녀왔는데요


보드 타는 방법은 강좌 영상이 많아서 어떻게 타야지 하는 감이 잡히는데 문제가... 리프트 탈때 입니다


한발 묶고 스케이팅 하면서 타고싶은데 너무 어렵더라구요.. 낙엽 타기 보다 스케이팅이 더 어려운거 같아요..


아무튼 그래서  리프트 탈때 보드를 들고 타는데요 안전바에 걸려서 안전바가 완전히 안내려갑니다.. 


이게 표현이 잘 될지 모르겠는데

________
   ↖ㅣ↗


리프트에 앉았을때 위에서? 본 모양이라고 치면 양옆 화살표가 다리 위치고  위에 가로 선이 안전바 손잡이 가운데 세로 선이


안전바에 붙어있는.. 뭐라고 말해야되나.. 가랑이 분리바??;;;;; 표현을 못하겠네요 곤지암 다니시는 분은 아마 아실거라


생각됩니다  보드를 오른쪽 허벅지 안쪽으로 해서 가랑이 분리바?랑 안전바 손잡이 사이에 대각선 방향으로 / 이렇게

________
   ↖ㅣ↗↗ 보드를 넣어서 타는데요 안전바 내리면 안전바가 보드부분에 살짝 닿아서 완전히 밑으로 안내려가고 살짝 떠있거든요


리프트 다른 분들과 같이 탈때 신경 안쓰는 분들은  그냥 저상태로 가는분들도 계신데 안전바 완전히 내릴려고 힘 꽉줘서 누르는


분들이 있으면 보드랑 발이 눌려서 낑기는 상태로 갑니다ㅠㅠ 안전상의 이유로 안전바를 확실히 내리는게 맞을텐데 저렇게


낑긴 상태로 올라가게되서 힘듭니다ㅠㅠ 뚱뚱해서 허벅지가 과하게 굵거나 그런것도 아니구요 다른분들 보면 이런 문제는


전혀 없는거 같은데 제가 뭘 잘못 하고 있는지 알수가 없습니다.. 혹시나 저와 같은 문제를 가지고 계셨던 분이 계실까 하고


글남겨봅니다


엮인글 :

아흐흐흐흥

2017.01.04 01:29:28
*.235.50.42

아....그 가랑이 분리바라고 하시는게 가랑이 분리바가 아니고 사람 분리바에요


그 말씀하신 바를 가랑이 사이에 끼우시는게 아니라 옆사람과 나의 사이에 놓여야 맞는거구요 


그래서 보드를 ㅣ 두시는게 아니라 --요렇게 놓으셔야 편하십니다 


 그리고 스케이팅이 힘드신건 리프트 오르시기전에 다른 분들 어떻게 

하나 함 보시구 딱 리프트 타기전에 30분만 연습하시면 

훨씬 편해지실거고 실력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되시리라 봅니다 


균형 잡는데도 많은 도움이 되실거구요 


제가 몇년전에 딱 그랬거든요 

올 시즌엔 딴 거 말고 스케이팅만 제대로 배우면 

많이 배운거다라고 스스로 다짐했는데 그거 하고 나니 

뭔가 더 늘은 기분이랄까요 


실제로 하고나서 더 늘기도 했구요 


막상해보시면 그리 어렵지 않으실거에요

빡기연

2017.01.04 01:32:18
*.70.53.180

리프트 탈때 잘 보시면 어린이전용 이라고 써있는 게이트가 보입니다 (보통 가운데 세개 입니다)그쪽에는 애들 떨어지지 말라고 가랑이에 T형 바가 설치 되어 있는데 그쪽에서 타게 되시면 가랑이 사이가 아닌 한쪽 무릎쪽으로 데크를 옮기셔서 들고 탑승하시면 가능합니다~~

ㅇ꾸러기ㅇ

2017.01.04 02:08:57
*.36.146.35

혹바인딩을 몸쪽으로 향해서 두시는게 아니신지.. 그렇게놓으면 저처럼 뚱땡이는 안전바 다안내려오더라구요.. 항상 바인딩이 바깥쪽우로 한쪽 바인딩으로 안전바에 걸친뒤 다리로 감쌉니다. 날씬한사람들은 데크안쪽으로도 발이 들어오더라구요.

강철어린이

2017.01.04 08:13:04
*.36.142.179

작년 처음 곤지암을 가고 당혹감을 겪은 제 모습이 떠오르네요ㅎㅎ

요령은 금방 생기실거에요ㅎㅎ

오늘도난참는다

2017.01.04 08:23:18
*.205.56.111

1.그 봉이 가랑이에 들어가있으면 자리가 잘못된겁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보드를 가랑이 사이에 바로 넣고 바인딩이 바깥쪽을 향하게하고 

  바인딩은 안전바에 걸처서 탔습니다 당연히 손으로 잡아주었구요 떨어지면 큰일이니까

2.탑승하는 리프트가 자리가 많이 남는다면 데크를 등받이와 엉덩이 의자 사이에 틈이있거든요 

   거기에 끼우고 한손으로 잡고 가셔도 됩니다 

3.혹시라도 데크가 추랑할 가능성봐 여러가지 안전면에서 스케이틸을 배우시는것을 추천합니다 

   베이스에서 한쪽발만 걸고 연습해보세요 딱 처음에 한번 성공하면 그 다음은 쉽습니다 

짙은눈썹

2017.01.04 08:45:00
*.62.219.148

사람 분리하는 바가 아니구요

어린이가 그 밑으로 빠질경우가 있다고 해서

안전상의 문제로 가운데 막대기 장착 한것 입니다.

그리고 또한, 데크를 들고 타는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데크를 떨어트리게 되면 밑에 지나가는 사람에게 상해를

입히게 되기 때문에 슬라이딩을 연습하셔서

꼭 발에 장착 하고 타셔야합니다

참고로 가까운 일본의 경우 6살 아이도

데크를 발에 착용하고 리프트 탑니다

은랑

2017.01.04 09:55:58
*.45.207.76

저도 초반에 스케이팅이 어려워 들고 탄적이 많았습니다. ^^;

그런데 나중엔 들고 타는게 더 번거롭더라구요.


스케이팅 연습 하시면 됩니다.


리프트 내릴 때 넘어지거나 느리게되면 알아서 멈춰주니 너무 겁먹지 마시구요. 평지에서 스케이팅 연습하시고


리프트 내일 때는 활강하시는 것 생각하면서 다른한쪽 발을 살며시 얹어주기만 하면 됩니다.


멈출 지점에서 다른발을 내려서 멈춰주시면 되구요.

덜 잊혀진

2017.01.04 12:46:30
*.138.120.194

댓글 붙이러 왔다가, 웃고 갑니다. ;; ^^

에휴그돈이면

2017.01.05 09:48:56
*.143.115.238

답변 주신 분들 모두 감사드립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9] Rider 2017-03-14 96918
165601 k2스텝인 괜찮을까요? [6] 미틴곰탱이~ 2017-01-04 800
165600 플로우 인업고 바인딩 하이브리드와 그냥의 차이 [11] 고추삼겹살 2017-01-04 1231
165599 플럭스 바인딩 부품 구매처? [9] 민하킴 2017-01-04 697
165598 바인딩 간격? 다리 넓이 관련 질문있습니다. [10] 은서공주 2017-01-04 1317
165597 K2 부츠에 대한 문의 [11] pepepo 2017-01-04 561
165596 해머뎈 다양하게 써보신분들께 [9] 닥춋 2017-01-04 751
165595 카빙턴하고싶은데 발전이없어요ㅠ 문제점이 뭘까요? [13] 김턴현 2017-01-04 992
165594 베어스타운 이용문의요(랜탈,리프트권등) [5] noms 2017-01-04 381
165593 욘평 드래곤파크 오픈??? [3] 모냐헝글-_- 2017-01-04 303
165592 1617 f2 월드컵우드랑 베이직 선택도움좀요... [3] 새에엥 2017-01-04 862
165591 라이딩시 오른쪽 발목만 통증 [5] 질문 2017-01-04 535
165590 헤드셋 어떤게 좋을까요 [6] 낙엽20년 2017-01-04 428
165589 여자사람 부츠, 바인딩추천해주세요 [9] 뻐기 2017-01-04 672
» 곤지암에서 보드 들고 리프트 타는데 안전바에 보드가 걸려요..... [9] 에휴그돈이면 2017-01-04 973
165587 보드에 막 입문한 초보인데 보드복 상의 사이즈가 고민이에요 [18] lastborn 2017-01-04 628
165586 프로토콜에 어울리는 바인딩과 부츠 알려주세요~ [10] 나홀로보드123 2017-01-04 360
165585 플로우 nx2 gt 어떤가요? [13] 남이랑 2017-01-04 1136
165584 부츠 뒷꿈치.. [5] 고올 2017-01-04 707
165583 카레타 AS또는 교환환불 해보신분? [3] 김까망이 2017-01-04 371
165582 드바이브 스핀 질문즘드릴게요 고수님들... [7] 준한이 2017-01-04 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