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주는 설 연휴 전후로 들어갈 예정입니다. 26일 31일... 그리고는 2월 13~17일 예정이네요....
주말은 큰애랑 언제 갈 지 작전 짠 다음 결정 될 듯 합니다.
일단 이번주에 전향각으로 셋팅하고 기울기만으로 베이직 카빙하는 연습을 할 생각입니다. 여태 약한 전향각 (18/3)으로 힐턴이 안되서 고민했거든요.... 경가가 조금만 높아지면 툭툭 터지니......ㅋ
그런데 기울기로 베이직 카빙 할 때... 전향 각으로 똑바로 선 상태에서 골반을 오픈하도록 신경 쓰며 좌우로 카빙을 하는 걸 말하는 거죠? 다운 없이 그저 데크가 가는 방향 그대로...... 시선은 전방 멀리 두고........ 맞나요??
일단 완전 초기상태라면은 앞무릎은 완전히 펴시고 뒷무릎만 살짝 접으시구요
상체는 골반은 완전 열으시고 똑바로 새운 상태에서 기울기로만 카빙을 하시면돼요
어딘가 접을려고 하지마시고(고관절도포함) 시선은 노즈와 같은 방향 보시면돼요
멀리 보시는거보다 앞에 보시는게 좋을거같아요^^ 최대한 정면을 다 바라본다 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첨엔 이자세에서 보통 카빙보단 슬립형으로 타는데 걱정하지마시구요
슬립형으로 익숙해지면 좀더 기울기를 주셔서 엣지날이 자연스럽게 박히게 하시면돼요
그러다 보면 데크가 버틸수 있는 최대 기울기를 주실때가 있는데 그때는 부담가지지마시고 넘어지세요
기울기를 어느정도 했을때 넘어지는지도 알아야 데크가 딱 그때까지는 잡아주는구나 라는 감이 생겨요
몸이 완전히 선 상태에서 최대 기울기로 완벽히 적응 댔을때 그때부터 양쪽 고관절을 이용해서 누르는 방법으로 타시면돼요
* 힐턴의 경우엔 기울기를 주실때 레귤러 기준 상체 오른쪽 가슴이 왼쪽 허벅지에 가게 하시면 됩니다^^기울기만큼만
기울기를 조금만 주시면 상체가 조금만 이동하면 돼구요 기울기를 많이 주시면 그만큼 상체도 허벅지에 가까워져야해요
평소에 움직이지 않는 무릎정도 오는 의자나 벽을 잡고서 타는 자세를 연습하면 좋아요
이걸 연습할떄는 가장 중요한점은 양쪽발에 무게가 실리는 상태로 연습을 하셔야돼요
보통 그냥 벽만 잡고 기대게 돼면 양발에 무게가 실리는 느낌을 받지 못하거든요
토나 힐이나 뒷굼치 또는 발가락 쪽에 내 무게가 다 실리는 느낌으로 연습하세요^^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참고로 저는 상체로테이션 없이 탑니다..;;;)_기존에 배우시던거와 틀릴 수 있습니다 정확하지 않습니다.ㅎㅎ;;
1. 토턴시 엉덩이가 너무 뒤로 빠져서 인지 양발에 프레스가 균등하게
들어가지가 않고 뒷쪽에 조금더 들어가는 느낌이나고 라이딩 끝난후에도
마찬가지로 레귤러기준 오른쪽 허벅지가 더 아픈데 이게 맞는 건가요!?
답 : 제자리에 서있는자세에서 앞무릎은 최대한 피고 뒷무릎은 접어서 앞무릎쪽에 붙인다라고 하였을때 상체는 서 있는 상태 엉덩이는 내려가있는 상태가 취해지는데 그때 뒷발에 힘이 많이 실립니다 그래서 상체를 허리가 펴져있는 상태로 앞으로 숙이듯 내려가면 앞발에도 힘이 전달돼는데 이게 앞4~5 뒷 5~6 힘배율이 들어간다 싶을때가 정확한 자세입니다.
아픈부위는 사람마다 다를수있기에 타시면서 정확히 힘배율로 누르시는지를 먼저 확인해야될거같습니다 뒷발에 힘이 더실리면 앞발쪽에 상체가 안갔다는거일수있으니까요
2. 토턴시 가끔 노즈가 꼽혀요.. 턴중후반 에 이런 현상이있는데
이유가 뭘까요...
답 : 1번과 비슷한거 같습니다 앞쪽으로 체중이 더 많이 실리는거 같습니다 정확한건 글쓴이분의 영상을 확인해야될거같습니다
3. 힐턴시 앞다리가 펴지지가 않습니다 . 아무리 생각하면서 초급에서 약간 속도를 내면서 타도 어깨가 계속 닫히고 앞뒤무릎 나란히 굽혀집니다..
토턴은 그래도 전향처럼 타는데 힐턴시는 기존 카시 처럼 진행이 됩니다.
답 : 다리가 펴지지않는건 기초가 부족한거 같습니다 상체를 세운상태에서 양발 5:5 4:6맞추어놓고 일단은 다리 유지하고 기울기로만 초급에서 충분히 연습후 조금씩 상체를 내리면 될거같습니다~
어께가 닫히는것도 기초 부족....